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티브쌤코딩-마인크래프트] 파쿠르 게임 2탄 복불복 요소를 넣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명령블록을 가져오세요.➎ ‘논리-만약(if)’과 ‘블록-블록 탐지’ 명령블록을 가져온 뒤 블록을 ‘빨간색 콘크리트’로 바꾸고 화면과 같이 좌표를 입력하세요. 플레이어보다 1칸 아래에 있는 위치에 빨간색 콘크리트가 있으면 조건문을 실행시키는 명령이에요. ➏ ‘논리-만약(If)’ ... ...
- [특집] 우주선을 타고 날아서 슝~!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디모포스의 움직임을 바꿀 만한 힘이 생기는지 알아내기 위해 연구원들이 계산식을 세운 뒤, 속도의 값을 바꿔가면서 계산했다”고 말했어요. 그 결과, 1초에 6.58km를 날아가는 속도여야 한다는 답이 나왔지요. 자판기처럼 값이 나오는 수학지난해 NASA의 화성 탐사선 ‘퍼서비어런스’의 착륙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친절한 우왁족과 거대 괴물 부르르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호는 오줌 줄기를 타고 하늘 높이 떠올랐습니다. “으악! 내 해롱 호가 완전히 오줌에 뒤덮였어!”해롱 선장이 괴로워하는 사이 루띠가 외쳤습니다. “해롱 호 발진!”엔진이 움직이는 소리가 나더니 해롱 호가 오줌 줄기를 벗어나 다시 우주로 향했습니다. 딱지는 가슴을 쓸어내리며 저 아래 ... ...
- [기획] 새로운 문제의 등장! 타르스키 문제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넓이는 ‘르베그 측도’로 구해요. 점의 집합을 넓이를 구하기 쉬운 직사각형들로 덮은 뒤 ‘르베그 외측도’와 ‘르베그 내측도’의 값이 같으면 그 값이 집합의 넓이가 되지요. 두 값이 다르면 러츠코비치의 해법에 등장하는 조각처럼 넓이를 측정할 수 없어요 ... ...
- [수학체험실] 에셔 작품 따라잡기 헤슈 타일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오각형, 육각형의 변을 변형한 뒤 짝이 되는 다른 변으로 이동하거나 변의 일부를 변형한 뒤 회전시켜 만든다. 이 타일을 이용하면 에셔의 작품처럼 비대칭 조각으로도 테셀레이션을 쉽게 만들 수 있다. 이제 헤슈 타일을 만드는 변의 이동 방법에 대해 살펴보자 ... ...
- [함께해요, 로블록스 코딩] 점프맵 만들기 3. 밟으면 아웃! 함정 발판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접촉했다는 것이에요. 이제 블록 파트를 추가해 발판을 만들어주세요. 그 발판을 클릭한 뒤 이름을 ‘fadePart’라고 바꿔 주세요. 그리고 ‘탐색기→fadePart 선택→+’를 눌러 ‘Script’를 추가한 다음 본격적으로 코드를 입력해 봅시다 ... ...
- [이달의 필수경제] 중고시장의 르네상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일종의 투자도 이뤄지고 있습니다. 주로 한정판 제품처럼 희소성 있는 제품을 구매한 뒤, 중고 플랫폼 또는 리셀 플랫폼을 통해 되팔아 수익을 내는 것입니다. ‘스니커테크’ ‘레고테크’ 등이 모두 이를 지칭하는 용어죠. 지난해 러시아 고등경제대학(HSE) 연구팀은 단종된 레고의 중고거래 ... ...
- [가상인터뷰] 로봇 개발에 영감을 주는 개미 뗏목의 역학과학동아 l2022년 04호
- Solenopsis invicta)는 홍수가 나면 서로 뭉쳐 ‘개미 뗏목’을 만든 뒤 물 위를 둥둥 떠다닌다. 미국 콜로라도대 볼더캠퍼스 연구팀은 수치 모델을 개발해 개미 뗏목 모양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밝혀 국제학술지 ‘플로스 컴퓨터 생물학’ 2월 1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371/journal.pcbi.1009869 연 ...
- 겁쟁이, 꼬맹이, 또는 변덕쟁이... 암흑물질을 낚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있다. 이현민 교수는 “원시 블랙홀은 초기우주에 에너지 밀도가 높은 영역에서 형성된 뒤 현재까지 남아 있는 블랙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력렌즈 효과가 일어난 곳을 살펴보거나, 감마선 폭발 등을 이용해 관측하는 방식이 제시되고 있다”고 했다. 갑자기 입자에서 태양보다 수백 배 이상 ... ...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국립생태원장상 받았다 생태모방 기술로 새들을 지켜조 (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사이사이에 웰론을 추가로 부착하는 방법과, 써모라이트를 새의 솜털처럼 얇게 자른 뒤 겹치게 부착하는 2가지 방법을 활용했어요. 시중의 패딩과 달리 봉제선으로 단을 나누지 않았지요. 결론 최종 발표까지 무사히!탐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최종 보고서를 작성하고 국립생태원에서 발표했어요.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