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전쟁 우리를 막을 수 없다! 우크라이나 리비우 수학학회수학동아 l2022년 05호
- 원하면 그 공책을 받아서 풀 수 있었지요. 일부 문제엔 상품을 걸었는데 커피부터 퐁뒤, 동물까지 다양했습니다. 문제가 어려우니까 동기 부여를 하기 위해서였던 것 같아요. 손 기자 공책 속 수학 문제를 푼 특별한 사람이 있다고 하던데 누구인가요? 커피머꼬푸리우 피아니스트로도 ... ...
- [폴리매스 수학자를 만나다] “여러분과 수학계 선후배로 꼭 만나고 싶어요!” 김린기 인하대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5호
- 수학자예요. 본격적으로 그래프 이론에 눈을 뜬 건 군 대 제대 후였어요. 군대에 다녀온 뒤 새로운 것을 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제 기억으론 당시 우리나라 대학교 중 그래프 이론을 가르치는 곳이 몇 안 됐어요. 그래서 굉장히 새롭고 흥미로운 분야라고 느꼈어요. 오랜만에 다시 새롭게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랭턴의 개미’를 만들자!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5호
- 보이나요?랭턴의 개미가 규칙적인 움직임을 보여주려면 약 1만 칸을 움직여야 해요. 그 뒤로는 104칸을 움직일 때마다 같은 모양을 그리며 반복하게 돼요. 2번 그림 속 꼬리처럼 생긴 부분이 반복된 모양들이 모여 만들어진 그림이랍니다 ... ...
- [에디터노트] 더 넓은 과학동아로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사회 전반에 어떤 파급효과가 나타났는지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5년 뒤, 10년 뒤 한국 사회가 어떻게 바뀔지 조심스레 예측할 것입니다. 미리 알면 준비할 수 있습니다. 불안해하지 않고 지혜롭게 대처할 수 있지요. 나와 자녀의 삶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저는 독자분들에게 실질적으로 ... ...
- [과학뉴스] 빙하가 만든 담수, 해류 영향 과대평가돼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영향을 제거한 해양-대기 기후모델을 이용해 1만 1700~6000년 전 기후 분포를 시뮬레이션한 뒤 과거 기후 데이터와 비교했다. 그 결과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한 온도가 과거 기후의 온도와 유사하게 나타났음이 드러났다. 이는 지금까지 AMOC가 담수에 받는 영향이 과대평가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 ...
- [과학뉴스] RNA 바이러스 기원을 찾아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않은 부분을 일컫는 말이다. 연구팀은 5개 해양 121곳에서 바닷물 시료를 수집한 뒤 RNA 바이러스의 염기서열을 분석했다. 그 결과 5500여 개의 RNA 바이러스 종이 새로 발견됐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RNA 바이러스의 오르토나비레(Orthonavirae) 계에 속하는 타라비리코타(Taraviricota), 아르크티비리코타 ... ...
- [SF 소설] 방 안의 호랑이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있는 사람은 젊고 왜소한 여자였다. 여자는 밭은기침을 해가며 그림 앞에 머물렀다. 나는 뒤늦게야 홀로그램 옆 스피커를 켰다. 니키가 말했다.“144cm, 35.3kg, 22세. 이 여성은 외출을 거의 하지 않고 지냈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영양실조와 기관지염을 앓았기에 주로 실내에 머물렀으리라 짐작됩니다. ... ...
- [특집] 내가 지킨다! 굿커뮤니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월부터 두 달간 세 번의 줌 미팅을 통해 평소 불편하거나 개선됐으면 하는 점들을 논의한 뒤 규칙을 제정했어요. 주요 논의 주제는 ‘반말 허용 여부, 실명 언급, 개별 모임, 도배 기준’이었어요. 특히 ‘몇 번을 반복해 같은 글을 써야 도배일까’에 대한 규칙을 두고는 정말 치열한 논의가 이뤄졌죠 ... ...
- [기획] 항바이러스제는 발전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훔쳐다’ 쓰기 때문이죠. 연구팀은 코로나19에 감염된 햄스터에게 TIP를 코로 투여한 뒤 경과를 살폈습니다. 그 결과, 폐 세포의 바이러스 양이 TIP를 투여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100배 줄었습니다. 정용석 교수는 “유의미한 결과”라면서도 “실제로도 치료 효과가 있을지는 더 실험을 해보아야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오늘도 알고리즘이 나를 멋진 신세계로 이끌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깨고 나가기! 영국 작가 올더스 헉슬리의 SF 소설 ‘멋진 신세계(1932)’에는 600년 뒤를 상상한 이야기가 등장합니다. 주인공은 모든 것이 완벽하고 편리한 미래 사회에서 굳이 탈출하려고 하며 이렇게 말하죠.“하지만 난 불편한 편이 더 좋아요.”이미 유튜브나 인스타그램의 알고리즘에 갇혀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