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콤퓨터
컴
컴퓨러
컴터
computer
콤퓨타
전자 계산기
d라이브러리
"
컴퓨터
"(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스로 길을 찾은 수학자, 클레르 부아쟁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5개 지역으로 묶어 각각 1명씩 수상자를 뽑는다. 2019년 처음으로 자연과학 분야에 수학과
컴퓨터
과학을 추가했다. 부아쟁 교수의 대표 업적은 미국 클레이수학연구소가 선정한 7대 수학 난제 중 하나인 ‘호지 추측’에 기여한 것이다. 호지 추측은 사영 공간이라는 특별한 대수다양체 안에 ...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의견이 분분하다. 핀란드 화학자 페카 퓌쾨와 독일 화학자 부르크하르트 프리케는 각각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8주기 원소의 전자 배치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제안했다. 퓌쾨의 경우 8주기 원소 중 165~168번을 8주기가 아니라 9주기일 것으로 예상했고, 프리케는 165~172번을 9주기로 제안했다.이 교수는 ... ...
인류의 행성 이주 작전, 프록시마 b에 데려다 줄래?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매료된 과학자 중 한 명이다. 그는 2017년 세대 우주선의 조건을 정확히 계산하기 위해
컴퓨터
모델을 만들었고, 2018년에는 프랑스의 빅데이터 관련 스타트업 CASC4DE의 입자물리학자인 카밀 벨루피 연구원과 머리를 맞대고 우주선에 몇 명이 타야 적당할지 계산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리고 지난 1월 2 ... ...
[융·복합 파트너@DGIST] 로봇공학전공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폭 수십μm 바늘로 고해상도 신호 처리뇌파를 추출한 뒤 이를 통해 로봇 의수나
컴퓨터
등 외부 기계를 제어하는 기술을 ‘뇌-기계 접속(BMI·Brain Machine Interface)’이라고 한다. 미국 브라운대 연구팀은 2012년 바늘 96개로 구성된 신경전극을 사지마비 환자의 뇌에 심은 뒤 이를 로봇 의수와 연결해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움직이는 수학으로 공부하기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통해 또 다른 수학적 영감을 얻는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이니 틀려도 부담 없다. 또
컴퓨터
뿐 아니라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에서 작동하니 언제, 어디서든 자유롭게 쓸 수 있다. 증강현실 기능도 추가돼 있어 마치 게임을 하듯 수학 공부를 할 수 있다. 최 교사는 다른 나라의 ... ...
[SW 진로체험] 답을 찾는 시간이 즐거운 SW 개발자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APM을 시작한 계기가 있나요?처음 개발자 일을 시작했던 건 LG CNS에서였어요. 당시는 개인
컴퓨터
가 보급되기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서버 장애도 정말 많았던 때였죠. 그래서 장애를 해결하기 위한 팀을 꾸렸는데 그 팀에서 성능 관리를 시작하게 됐어요. 그런데 막상 시작하니 우리나라에는 ... ...
[과학뉴스] 그림자로 물체를 파악하는 법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컴퓨터
가 이미지를 만드는 데 걸린 시간은 48초였어요. 연구를 이끈 고얄 박사는 “
컴퓨터
의 성능이 좋을수록 물체를 재현하는 시간이 줄어들 것”이라며 “언제 어디서 튀어나올지 모르는 아이들을 보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빈 깡통의 화려한 변신 캔 캔 두 잇(Can can do it!)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로봇이 움직이지요. 이때 로봇은 다리가 짧은 방향으로 움직인답니다. 작동 중인
컴퓨터
, 냉장고에 가만히 손을 올려 볼까요? 미세한 진동을 느낄 수 있을 거예요. 어떤 기계든지 완전히 매끄럽게 움직일 수는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기계 장치들은 이처럼 진동을 만들어낸답니다. 이런 ... ...
[수학뉴스] 250년 된 웨어링 문제 해결에 한 걸음 다가가다!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부커 연구원은 해를 좀 더 효과적으로 찾을 수 있는 알고리듬을 직접 만든 뒤
컴퓨터
로 약 3주 동안 계산해 해를 찾았습니다.이제 100 이하의 자연수 중 아직 해를 못 찾은 자연수는 42뿐입니다. 여러분이 한번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 ...
신용현|국회의원이 된 과학자, 과학 현장의 목소리를 높이다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펼쳤다. 하지만 그도 처음부터 과학기술 정책에 뜨거운 관심이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컴퓨터
를 이용한 측정 자동화를 연구하는 과학자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 들어와, 일과 가정을 양립하기 위해 애쓰던 한 명의 여성 과학자였다. “계기는 우연히 찾아왔습니다. 주변 여성 과학자들과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