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THE LOVE] 수학과 물리는 한 몸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선택하지 않는 무학과로 운영하며, 2학년 때 주전공과 부전공을 선택한다). 기계공학과, 컴퓨터공학과, 전기전자공학과뿐만 아니라 산업디자인과, 경영공학과 등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활동하고 있다. EOE의 특징은 수학과 물리학이라는 두 분야를 동시에 다루는 학술동아리라는 점이다. KAIST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탄력적인 그대 이름은 스트레처블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오늘날의 전자기기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했습니다. ‘손 안의 컴퓨터’로 불리는 스마트폰은 2007년 처음 등장한 뒤 일상의 모든 정보를 연결하는 창구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습니다. 이제는 또 다른 변화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올해 2월 공개한 접히는 ... ...
- 불 난 노트르담 대성당, 복원될까요?수학동아 l2019년 06호
- 김현용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사는 “3D 스캐닝 정보가 복잡한 구조를 해석하거나 컴퓨터로 가상 복원을 하는 과정 등에서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한계도 있습니다. 3D 스캐닝 전문가인 안재홍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는 “실제 복구 작업을 하는 사람들은 3D 데이터에 ... ...
- 수학으로 만든 장난감들의 사연 토이스토리4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실제로 사람들이 보게 될 이미지를 생각하지만, 개발자는 모든걸 숫자로만 인식하는 컴퓨터를 위해 ‘좌표’라는 수학 개념을 사용하지. 2차원 평면은 x축과 y축으로 표현할 수 있어. 이때 x 좌표는 어떤 물체가 좌우로, y 좌표는 위아래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나타내는데, 이런 좌표를 이용해 내가 ... ...
- Step2. 대기오염 물질의 흐름을 예측하라!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아직 그 해를정확하게 구할 방법을 모르는 수학계 난제입니다.그래서 현재 연구자들은 컴퓨터를 이용해 해의 근삿값을 구해 대기오염 예측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또 있습니다. 오염 물질의 움직임을 예측할 때 지구 전체를 잘게 쪼개 계산하면 정확도가높아지지만, 시간이 굉장히 오래 걸려 ... ...
- 지구상 모든 생물은 염기쌍 2개 염기쌍이 4개인 생물은 없을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체계를 보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DNA 데이터 저장 기술에 즉시 응용할 수도 있다. 마치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정보를 저장하듯 DNA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김하성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합성생물학전문연구단 선임연구원은 “데이터를 저장할 때 8개의 염기로 암호화하면 염기가 4개일 때보다 ... ...
- 전자파, 자기장, 전기장 내 몸에 얼마나 흡수되나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포함됐다. 공기청정기, 의류청정기, 전기레인지, 대형TV(75인치), 셋톱박스, 게임용 고성능 컴퓨터, 모니터, 발광다이오드(LED) 전등, 저주파 치료기, 인공지능(AI) 스피커, 와이파이 무선공유기, 냉장고, 에어컨, 실외기, 전자레인지, 에어프라이어 등이다.이 중 무선공유기와 AI 스피커를 제외하면 대부분 ... ...
- 국내 첫 삼성전자 계약학과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수행했던 과제들이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전 학과장은 “기존의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의 교과과정을 토대로 반도체시스템공학과의 교과과정을 구성했고, 수업의 질을 석사과정 수준까지 끌어올리려고 노력한다”며 “학부 졸업생들이 학부와 석사과정을 통합해 이수한 것과 같은 실력을 ... ...
- [미국유학일기] ‘오피스 아워’에 자주 찾아가 교수와 친해지기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화학과는 학년별로 20명뿐이어서 매우 적은 편이다. 그럼에도 서로를 다 알지는 못한다. 컴퓨터공학과처럼 학년별로 수백 명씩 있는 학과는 학과에 대한 소속감이 더욱 낮다.그렇다면 길게는 2년 동안 소속 학과가 없는데, 교수와는 어떻게 친해질까. 다행히 스탠퍼드대에는 ‘PMA(Pre-Major Advisor)’ ... ...
- 시트콤과 애니메이션에서 갑자기 툭하고 튀어나온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수학자는 각종 소수 관련 이론을 이용해 자연수 중 쉘던 소수의 후보를 유한개로 줄인 뒤 컴퓨터로 일일이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2019년 2월 미국수학회에서 만드는 학술지 ‘월간 미국 수학’에 쉘던의 추측을 증명한 논문을 발표합니다.이 증명을 본 빅뱅이론의 과학 자문 담당 데이비드 잘츠버그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