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맛있는 수학] 수학자의 팬케이크 정렬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일반식을 구할 수 없다고 해도 팬케이크 문제의 원리는 불규칙한 데이터를 정렬하는 컴퓨터과학에서 필요한 부분이므로 더 효율적인 알고리듬을 찾는 연구는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기본 팬케이크 문제 말고도 ‘까맣게 탄 면이 있는 팬케이크가 섞여 있을 때 큰 팬케이크가 아래로 가되 ... ...
- '오로봇'의 부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경사도를 높이거나 수분 함유율을 조정하는 등 지형 조건을 달리하면서 오로봇의 행동을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와 수차례 비교분석했다. 연구를 이끈 존 니야카투라 훔볼트대 생물학연구소 교수는 “오로봇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에 화석으로만 추정했을 때보다 오로베이츠가 더 곧은 다리를 ... ...
- 수압, 감수하시겠습니까... 해저 36m 수중 데이터센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장비가 필요하고, 이 또한 전력을 소모한다. 냉각 장비의 효율이 좋지 않은 경우라면 컴퓨터 장비의 전력 소모량보다도 더 많은 전력량을 냉각 장비가 소모하는 경우도 있다.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2017년 1월 미국과 한국, 대만, 중국 등 주요 IT 기업들의 데이터센터 전력 사용 실태를 비교 분석한 ... ...
- [나의 중국 유학일기] 한 학기 27학점 이수, 우한대의 1년 3학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것을 했다.예를 들어, ‘아두이노’라는 코딩 프로그램을 이용해 마이크로 보드를 컴퓨터에 연결한 뒤 버튼에 따라 파란색, 빨간색 등 켜지는 불의 색이 달라지게 코딩을 했다. 중국 대학에서 한 학기를 보낸 소감은, 정말 쉽지 않다는 것이다. 아침 8시에 수업을 시작해서 가장 늦게는 밤 9시에 ... ...
- [융복합@파트너@DGIST]정보통신융합전공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자율복원 기술 개발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사이버 세계를 담당하는 컴퓨터 설계, 물리 세계를 담당하는 제어 설계, 그리고 이를 연결하는 통신 설계가 각각 독립적으로 이뤄진 뒤 이들을 합쳐놓았기 때문이다. 박 교수는 “논리 구조대로 움직이는 사이버 세계와 역학적 방식으로 ... ...
- [오일러 프로젝트]앞뒤가 똑같은 대칭수~못 만드는 ‘라이크렐 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아직도 분명히 밝혀지지 않은 것도 그 이유 때문이다.컴퓨터가 발전하면서 많은 학자가 컴퓨터 계산으로 196이 대칭수가 되는지를 알아봤다. 존 워커라는 학자는 1987년부터 1990년까지 100만 자리가 될 때까지 계산했지만 대칭수가 나오지 않았다. 1995년 팀 어빈은 200만 자리까지 계산했지만 결과는 ...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크게 줄어든다.2016년 11월 탕 하오옌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전자공학및컴퓨터공학과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초음파를 이용해 15mm2 지문 면적의 외피와 내피를 초당 38번 w촬영해 3차원 이미지로 만드는 개발했다고 국제전자전기공학회(IEEE)가 발행하는 ‘고체회로저널’에 발표했다.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기본 아이디어가 구체화 된 것은 사실 50여 년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핵무기나 최초의 컴퓨터가 개발된 시기보다 늦은 셈입니다. 대륙은 어떻게 움직일까?1912~1915년 독일의 젊은 과학자 알프레드 베게너는 오늘날 ‘대륙이동설’로 불리는 가설을 제기합니다. 그는 대서양을 사이에 두고 양측의 ... ...
- [과학뉴스] 빛 쪼이면 2분 안에 뚝딱, 회전하는 3D 프린터 나왔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여러 장 찍고, 이 사진들을 합쳐 3D로 재구성한다. 연구팀은 이 과정을 거꾸로 했다. 컴퓨터로 3D 물체를 입력한 뒤, 서로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물체의 2D 이미지 값을 산출하게 했다. 그리고 2D 이미지를 영사기를 이용해 합성수지인 아크릴레이트 액체가 든 실린더에 비췄다.실린더가 회전하는 동안 ... ...
- [과학뉴스] GPS 없이 움직이는 ‘개미 로봇’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기억한다.사막개미가 적은 수의 뉴런을 갖고 있는 것처럼 앤트봇은 매우 단순한 컴퓨터 프로세서를 장착했다. 앤트봇의 눈 역할을 하는 광센서는 14픽셀에 불과하다. 연구팀이 개발한 앤트봇은 5~14m까지 이동했다가 1cm 미만의 정확도로 제 위치로 돌아왔다. 방향의 정확도 오차는 0.4도로 매우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