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스로 길을 찾은 수학자, 클레르 부아쟁수학동아 l2019년 04호
- 5개 지역으로 묶어 각각 1명씩 수상자를 뽑는다. 2019년 처음으로 자연과학 분야에 수학과 컴퓨터 과학을 추가했다. 부아쟁 교수의 대표 업적은 미국 클레이수학연구소가 선정한 7대 수학 난제 중 하나인 ‘호지 추측’에 기여한 것이다. 호지 추측은 사영 공간이라는 특별한 대수다양체 안에 ... ...
- 인류의 행성 이주 작전, 프록시마 b에 데려다 줄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매료된 과학자 중 한 명이다. 그는 2017년 세대 우주선의 조건을 정확히 계산하기 위해 컴퓨터 모델을 만들었고, 2018년에는 프랑스의 빅데이터 관련 스타트업 CASC4DE의 입자물리학자인 카밀 벨루피 연구원과 머리를 맞대고 우주선에 몇 명이 타야 적당할지 계산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리고 지난 1월 2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로봇공학전공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폭 수십μm 바늘로 고해상도 신호 처리뇌파를 추출한 뒤 이를 통해 로봇 의수나 컴퓨터 등 외부 기계를 제어하는 기술을 ‘뇌-기계 접속(BMI·Brain Machine Interface)’이라고 한다. 미국 브라운대 연구팀은 2012년 바늘 96개로 구성된 신경전극을 사지마비 환자의 뇌에 심은 뒤 이를 로봇 의수와 연결해 ... ...
- 신용현|국회의원이 된 과학자, 과학 현장의 목소리를 높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펼쳤다. 하지만 그도 처음부터 과학기술 정책에 뜨거운 관심이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컴퓨터를 이용한 측정 자동화를 연구하는 과학자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 들어와, 일과 가정을 양립하기 위해 애쓰던 한 명의 여성 과학자였다. “계기는 우연히 찾아왔습니다. 주변 여성 과학자들과 ... ...
- 수압, 감수하시겠습니까... 해저 36m 수중 데이터센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장비가 필요하고, 이 또한 전력을 소모한다. 냉각 장비의 효율이 좋지 않은 경우라면 컴퓨터 장비의 전력 소모량보다도 더 많은 전력량을 냉각 장비가 소모하는 경우도 있다.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2017년 1월 미국과 한국, 대만, 중국 등 주요 IT 기업들의 데이터센터 전력 사용 실태를 비교 분석한 ... ...
- [융복합@파트너@DGIST]정보통신융합전공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자율복원 기술 개발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사이버 세계를 담당하는 컴퓨터 설계, 물리 세계를 담당하는 제어 설계, 그리고 이를 연결하는 통신 설계가 각각 독립적으로 이뤄진 뒤 이들을 합쳐놓았기 때문이다. 박 교수는 “논리 구조대로 움직이는 사이버 세계와 역학적 방식으로 ... ...
- [오일러 프로젝트]앞뒤가 똑같은 대칭수~못 만드는 ‘라이크렐 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아직도 분명히 밝혀지지 않은 것도 그 이유 때문이다.컴퓨터가 발전하면서 많은 학자가 컴퓨터 계산으로 196이 대칭수가 되는지를 알아봤다. 존 워커라는 학자는 1987년부터 1990년까지 100만 자리가 될 때까지 계산했지만 대칭수가 나오지 않았다. 1995년 팀 어빈은 200만 자리까지 계산했지만 결과는 ... ...
- '오로봇'의 부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경사도를 높이거나 수분 함유율을 조정하는 등 지형 조건을 달리하면서 오로봇의 행동을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와 수차례 비교분석했다. 연구를 이끈 존 니야카투라 훔볼트대 생물학연구소 교수는 “오로봇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에 화석으로만 추정했을 때보다 오로베이츠가 더 곧은 다리를 ...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크게 줄어든다.2016년 11월 탕 하오옌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전자공학및컴퓨터공학과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초음파를 이용해 15mm2 지문 면적의 외피와 내피를 초당 38번 w촬영해 3차원 이미지로 만드는 개발했다고 국제전자전기공학회(IEEE)가 발행하는 ‘고체회로저널’에 발표했다.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기본 아이디어가 구체화 된 것은 사실 50여 년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핵무기나 최초의 컴퓨터가 개발된 시기보다 늦은 셈입니다. 대륙은 어떻게 움직일까?1912~1915년 독일의 젊은 과학자 알프레드 베게너는 오늘날 ‘대륙이동설’로 불리는 가설을 제기합니다. 그는 대서양을 사이에 두고 양측의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