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book
책
드럼
서적
Drum
하지
하계
d라이브러리
"
북
"(으)로 총 1,441건 검색되었습니다.
1월 1일 0시의 자오선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해가 뜨기 전에 일어나 볼 수 없었다. 2003년 5월 7일에 수성은 오후 2시 11.6분에 태양의
북
쪽면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고도가 높아 관찰하기가 쉽다수성에 비해 금성이 태양의 앞면을 통과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현상이다.우리나라에서는 1874년(고종13년)12월 9일에 이어 1백30년만인 2004년 6월 8일에 이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앞서 말했듯이 설치된 시계의 수평을 정확히 맞추고 위도를 정확히 측정해서 영침을 정
북
극에 맞추었다면 앙부일구처럼 정확한 시계가 더 이상 있을 수 없다. 시간이 틀린 원인은 오늘날의 시간이 표준시를 쓰기 때문이지 해시계가 부정확해서가 아니다. 잘 알다시피 세계는 그리니치 천문대를 ... ...
Ⅱ. 체질인류학/신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체질적 특성이 변화했을 것이다. 이런 연구를 종합하면 한국인의 뿌리는 추운 시기에 동
북
아시아에 펴져 살던 후기 구석기시대 사람의 한 갈래였으며, 빙하기가 끝나고 신석기시대에 들어서면서 한반도에 고립된 이 갈래에 새로운 유전인자가 유입돼 한국인이 형성되기 시작했다고 추측된다.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지구는 태어나면서부터 지금까지 많은 변화를 겪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그 오랜 역사를 생각하면 1백년이 채 안 되는 인간의 삶은 순간에 지나지 않는다. 푸 ... 1만2천년 후에는 지금의 거문고자리 직녀별이 그 자리를 잇는다. 아마 그 때는 직녀별을
북
극성이라 부르게 될 것이다 ... ...
오리온과 함께하는 겨울의 대육각형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그의 형을 죽지 않게 해달라고 애원해 별자리가 됐다고 전한다. 형제는 오리온자리
북
쪽으로 ‘ㄷ’ 자 모양으로 어깨동무를 한 채 겨울 은하수 속에 발을 담그고 있다. 두 별은 연관된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폴룩스는 34광년, 카스토르는 55광년 떨어진 별개의 별이다. 동생인 폴룩스가 더 밝은데, ... ...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바람은 기압의 중심부를 향해 일직선으로 불 것이다. 하지만 위성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북
반구에서는 전향력 때문에 바람이 부는 방향의 오른쪽으로 휘게돼 반시계방향의 나선 모양을 이룬다.태풍의 진로를 예상하는 예보를 듣다보면 태풍이 열대성 저기압으로 바뀌었다는 말을 종종 들을 수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위에서 W자 모양으로 가을엔 천정 부근에서 M자 모양으로 걸려있는데,
북
두칠성과 같이
북
극성을 찾아주는 길잡이 별자리이기도 하다.하늘 높이 걸린 카시오페이아를 관찰하려면 일단 드러눕는 것이 좋다. 그리고 쌍안경으로 별자리의 좌우를 훑어보면 수정처럼 빛나는 각양각색의 성단들과 ... ...
2. 날씨 따라잡기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예상된다. 한편 전세계적으로는 모든 지역에서 온도가 증가하며 특히 남반구보다는
북
반구에서, 해양보다는 대륙에서 온도의 증가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측된다.기상현상의 원인을 한마디로 하면 지역과 시간에 따라 태양으로부터 받는 일사량의 차이다.100% 예측은 불가능경험적으로 볼 때 ... ...
개미가 지자기를 감지하는 방법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이나라 레알 연구팀에 의한 이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개미들은 주로 남-
북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알려졌다. 이것은 개미들의 이동이 자기장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에스퀴벨 연구팀은 이 개미들의 머리와 배에서 자성을 가진 철을 포함한 광물 결정을 발견했다. 이것은 개미가 자신의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밝기와 모습을 비교해 보면 흥미로울 것이다.■8일-9일: 용자리 감마유성군9일 새벽
북
쪽하늘 용자리에서 주기 6.61년인 자코비니-지너 혜성에 의해 생기는 별똥별을 볼 수 있다. 작년에는 지난 1985년에 이어 모혜성이 지구에 접근하는 13년 주기여서 유성의 대출현이 기대됐지만 그리 많은 유성을 볼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