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book
책
드럼
서적
Drum
하지
하계
d라이브러리
"
북
"(으)로 총 1,441건 검색되었습니다.
③ 정보통신 : 남쪽 기술과
북
쪽 인재의 결합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전화사업을 제휴하고 있다. 이렇게
북
한과 남한이 같은 미국회사의 네트워크로 묶이면 남
북
간의 인터넷 전화가 실현될 가능성이 커진다. 물론 아직은 정치적인 이유로 당장은 현실화되기 어려운 얘기지만 말이다 ... ...
④ 생태 : 백두대간으로 이어진 한 몸의 남과
북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또 이번 기회에 철책을 없애 진정한 백두대간을 만드는 것은 어떨까. 생태분야의 남
북
한간 교류와 협력은 통일 한반도의 자연환경을 보전해 한반도뿐 아니라 세계 환경에도 이바지하는 길이다 ... ...
간의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알맞도록 뾰족하게 돼있다. 계형의 머리에는 작은 구멍이 있어 실을 통과시키면서
북
극축으로 끌어올린다. 계형에서 올라온 두개의 긴 선은 작은 원을 통과하고 4개의 선 끝은 각기 2개의 계형 양끝에 있는 구멍을 뚫고 나와 고정된다.이제 백각환은 시각눈금이 되고 계형으로 연결된 실은 시침이 ... ...
측우기·수표·풍기죽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풍기죽 끝의 총이 날리는 방향을 보고 24방향으로 매우 정확히 측정하고 기록했다. 동서남
북
각 방향에 6개의 작은 방위를 둔 셈이다. 현재 기상청의 풍향계가 16방향으로 측정하는 것과 비교하면 방향을 매우 세분해서 측정했음을 알 수 있다.나무가 뽑히면 큰바람(大風)풍속은 어떻게 측정했을까. ... ...
1. 비눗방울 표면에 붙어있는 은하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자료들 중에서 가장 먼 우주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 지역은 하늘의
북
극 근처에 있으며
북
쪽 허블딥필드(Hubble Deep Field North)라고 불린다.1998년에는 남쪽하늘에 대해 같은 방법으로 관측을 했는데, 그 지역은 남쪽 허블딥필드(Hubble Deep Field South)라고 불린다. 사진에서 보이는 영역은 하늘에서 ...
위성용 접시 안테나로 외계 생물체 탐색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더 설치해 세계에서 가장 큰 구경의 전파망원경을 만드는 것. 샌프란시스코
북
쪽 해트 크릭 관측소에 1천여개의 안테나가 모두 배열되면 넓이는 1ha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과학자들은 작은 접시형 안테나로도 외계문명의 흔적을 알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신기를 서로 유기적으로 ... ...
남십자성과 에타카리나 성운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남쪽파리자리였다고 한다.
북
쪽 하늘 양자리 위에
북
쪽파리자리가 있었기 때문이다.
북
쪽파리자리는 뒤에 양자리에 흡수됐고 남쪽파리자리만 파리자리로 불리게 되었다.남십자성의 서쪽에는 맨눈으로도 보이는 밝은 빛의 구름모양 성운이 몰려 있는데, 이곳에는 NGC3372 에타카리나 성운이 있다. 이 ... ...
3월 하늘의
북
두칠성 시계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자리잡은 레굴루스다. 레굴루스를 중국에서는 사자의 머리를 이루는 밝은 별들과 그
북
쪽의 별들을 용 모양으로 이어서 헌원(軒轅)자리로 불렀다. 헌원은 중국 고대 전설에 나오는 다섯 왕 중 첫 번째 왕이다. 환단고기에 등장하는 동이족의 전쟁영웅 치우를 격파하고 황제(黃帝)라 칭해지게 된다. ... ...
1만원권 지폐에 새겨진 자동 물시계 자격루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물의 양을 신호로 시침이 건드려 떨어뜨린 쇠구슬 하나가 수많은 기계장치를 거쳐
북
을 치고 징을 치게 만든 정교한 제어공학 기술이 결합돼 있었다. 자격루와 같은 정교한 자동 시보장치는 당시의 기술로는 최첨단 기술이었다. 근래에는 시계가 너무나 흔하고 집마다 괘종 시계나 뻐꾸기 시계를 ... ...
달의 바다가 어둡게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노끈처럼 흐르고 있다. 가센디는 크레이터의 벽들이 목걸이처럼 얇게 이어지면서
북
쪽에는 작은 크레이터가 여러개 겹쳐져 있다. 가센디의 남쪽 고지 속에서는 쉴러와 하인첼이 두드러진다. 쉴러는 길이가 1백90km나 되는 긴 고구마처럼 생겼고, 하인첼은 오뚜기 모양을 연상시키는데 이들은 모두 두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