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북"(으)로 총 1,44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과학동아 l2001년 07호
- 자전을 하고 있는데,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에 마찬가지 현상이 나타나지 않나요?답 : 북반구를 기준으로 볼 때, 운동하는 물체는 지구 자전으로 인해 항상 진행 방향의 오른쪽으로 휘어지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지구에 서있는 관찰자의 입장에서는 마치 오른쪽으로 힘을 받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 ... ...
- 13년만에 성큼 다가온 붉은 행성과학동아 l2001년 06호
- 때 발생한다. 반대로 소접근이 이뤄지는 경우에 화성은 항상 겨울철 밤하늘에 떠있다. 즉 북반구에 위치한 우리나라의 경우 대접근 시에는 항상 고도가 낮아 관측이 그리 용이하지 않다. 반면 소접근 시에는 화성이 하늘 높이 떠올라 관측 조건이 대단히 좋아지지만, 상대적으로 화성이 작아 관측이 ... ...
- 재미 좇아 생명의 신비 밝히는 물리화학자 조민행과학동아 l2001년 06호
- 이 문제는 조교수에겐 충분히 흥미롭다. 그래서 단백질 접힘은 조교수의 아이디어 북에 좋은 문제로 올라있다.어렸을 때부터 막연히 과학자가 되고 싶었던 조민행 교수. 순수과학을 하는 것이 좋아보였다는 세상이 지난 것이 아님을 학생들에게 보여주고 싶어하며, 자연 속에는 아직 우리가 풀지 ... ...
- 관측 최적기 맞은 화성 100% 즐기기과학동아 l2001년 06호
- 최대의 크기에 이른다. 화성의 남반구에서도 화성년으로 반년의 차이를 가지고 북반구와 비슷한 계절적 변화가 생기지만 남극의 극관은 한여름에도 쉽게 없어지지 않는 점이 특징이다.화성 표면에는 때때로 한정된 범위를 가진 노란색의 먼지폭풍이 나타난다. 이들 먼지폭풍은 햇빛의 반사도 ... ...
- 발빠른 수성 5월 22일 관측 최적기과학동아 l2001년 05호
- 대개 수성은 최대이각 시점에 관측하게 되며, 이런 기회는 1년에 평균 6회 가량 발생한다.북반구에 위치한 우리나라에서는 수성의 최대이각 시점이, 천구에서 황도의 기울기가 커지는 시점인 봄철 초저녁과 가을철 새벽녘에 맞물리면 수성 관측의 절대적 호기가 된다. 올해의 경우 10월까지 모두 ... ...
- 봄비와 함께 찾아온 누런 용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이런 생각을 증명하는 고고 유물이 있다. 광개토왕의 신하였던 북부여 수사 모두루의 무덤 속에 적혀 있는 붓글씨 묘지명이 바로 그것이다. 거기에 광개토왕을 일컬어 무엇이라 했는가. “해와 달의 아들이신 우리 광개토대왕…”이라고 적혀 있지 않는가.고구려 사람들은 ... ...
- 적도에서 해는 어떻게 뜨고 질까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적도 지방에서 춘분, 하지, 추분, 동지 때 해는 그림처럼 뜨고 진다. 문제의 그림은 북쪽 하늘의 모습이므로 문제(1)의 답은 F다.물론 정오의 고도가 오전 10시보다 더 높지만 차이가 크지 않다. 한달 뒤 정오 해의 고도는 더 높아야 하므로 문제(2)의 정답은 B다. 정오 해의 고도는 계속 높아져 추분이 ... ...
- 쌍안경으로 즐기는 달나라 여행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일)달에도‘알프스 산맥’이 있고 그 속에 알프스 계곡이 숨어있다. 계곡은‘비의 바다’북동 해안에 있으며 바로 옆에 플라토가 있다. 알프스 계곡은 거대한 산맥을 자를듯이 어두운 줄기 모양으로 걸쳐 있기 때문에 상현이 돼 햇빛이 비치기 시작하면 쉽게 관찰할 수 있다 ...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이런 연구는 왜 아직 안나오는 것일까’ 등을 떠올린다. 그러면 곧장 자신의 아이디어북을 펼친다. 그는 실제로 뭔가 생각이 떠오르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서 언젠가 이뤄질, 아니 이뤄질 수 없을 지도 모르는 아이디어들에 대한 소중한 밑그림을 그린다. “아이디어는 곧바로 써놔야 해요. ... ...
- 1. 미르 태평양에 평안히 잠들라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미르에 거주했던 우주인은 모두 1백5명. 이들이 우주에서 세운 기록들은 모두 기네스북에 기록될 만한 것이다.러시아 보건부 산하 의료생화학연구소 부소장을 지낸 발레리 폴랴코프는 한번에 4백38일(1년 2개월 12일)을 미르에서 보냈고, 러시아의 세르게이 아브제예프는 3차례에 걸쳐 7백37일(2년 7일 ...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