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북"(으)로 총 1,441건 검색되었습니다.
- 홍수 막는 물고기 입 포말하우트과학동아 l1999년 09호
- 약 20개이고, 4등성 이하의 별로 구성돼 있어 눈에 띄지 않는다. 하지만 주위에 백조자리 북아메리카 성운과 세페우스자리의 성운들이 흩어져 있어 사진관측에는 좋은 지역이다 ... ...
- 2. 태풍도 엘니뇨 탄다과학동아 l1999년 09호
- , 그리고 제9호(레이첼)가 연속해 발생했다. 그러자 작년과는 달리 7월 31일-8월 3일의 경기북부 집중호우 시기와 태풍 상륙 시기가 일치해 더욱 큰 피해를 유발했다. 아직 정확한 분석 결과는 없지만, 위에서 서술한 1999년 태풍의 발생과 행동은 열대 태평양의 해수면 온도 분포와 대류활동이 199 ... ...
- 월척도 과학으로 낚는다과학동아 l1999년 08호
- 세계적으로 얼마되지 않는다. 그러나 붕어는 전세계 어디에서나 널리 서식하는 ,심지어 북쪽 노르웨이의 차가운 물속에도 살고 있는 어종이다. 온수성 어종인 붕어는 18-23℃의 수온에서 가장 활발히 자라지만 그보다 훨씬 차거나 뜨거운 물에서도 잘 적응하며 살아간다. 한겨울 꽁꽁 얼어붙은 저수지 ... ...
- 별은 어떻게 죽어 가는가과학동아 l1999년 08호
- 생명도 사라질지 모르기 때문이다.최근 서울대학교 천문학과 박창범-이명균 교수팀은 북쪽 왕관자리에서 초신성으로 보이는 천체를 발견하고 국제천문연맹에 확인작업을 벌이고 있다. 만약 초신성이라면 별의 진화와 우주의 구조를 밝히는데 획기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1 ... ...
- 운주사 천불천탑의 비밀과학동아 l1999년 07호
- 상징하고, 바위의 크기는 별의 광도를 반영한다는 학계의 연구성과를 소개했다. 북두칠성의 방향과 중심불인 거대한 와불과의 관계도 재차 확인했다. 운주사 유적에는 고대의 천문 관념이 매우 깊이 자리하고 있다는 요지였다.그러나 여기에서 멈추었어야 했다. 제작진은 자신들이 천문학을 ... ...
- 내 PC 멀티미디어로 활용하기과학동아 l1999년 07호
- 있기 때문이다. 퀵타임은 최근 인기있는 매킨토시 아이맥이나 G3 데스크탑, 파워북 노트북에 기본 탑재돼 있어 자칫 매킨토시용으로 오해할 수 있으나, 윈도에서도 퀵타임 플레이어를 설치하면 사용할 수 있다.퀵타임 플레이어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은 가급적 브라우저 플러그인을 함께 받아야 ... ...
- 화성에도 지각변동 있었다과학동아 l1999년 06호
- 관측 결과 화성 북반구에서는 자기장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는데, 이는 남반구와 달리 북반구가 활동적인 층이 사라지고 난 뒤 생성됐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 ...
- 은하수 너머의 우주 외부은하과학동아 l1999년 05호
- 대한 우리의 인식이 엄청나게 확장되는 새로운 시대가 열리게 됐다.우리은하의 이웃들북반구 사람들에게 안드로메다 은하가 유명하다면 남반구 사람들에게는 대마젤란 은하와 소마젤란 은하가 있다. 이들 두 은하는 마젤란이 세계일주를 하다 남반구 하늘에서 발견한 것을 기념해 이름붙여진 ... ...
- Ⅴ. 기록에 도전하는 건축 기네스과학동아 l1999년 05호
- 자료: 세계연감, 내셔널 지오그래픽, 초고층 건물 및 도시환경학회(CTBUH)의 보고서, 기네스북 및 관련 학회보고서 등) 가장 긴 다리는 1990m - 3천m가 한계다리는 자연과 구조공학의 조화가 만들어내는 아름다움으로 우리에게 꿈과 낭만을 갖게 한다. 사랑을 주제로 한 유명한 영화에는 거의 틀림없이 ... ...
- 봄의 대곡선 목동과 처녀과학동아 l1999년 04호
- 자정 무렵 남쪽 지평선과 천정의 중간 지점에서 빛나는 1등성 스피카부터 찾아야 한다. 북두칠성 손잡이와 아크투루스를 연결하는 원호의 연장선으로도 스피카를 쉽게 찾을 수 있는데, 이 곡선이 '봄철의 대곡선'으로 봄철 별자리를 찾아보는 기준이 된다. 스피카는 1.0등성으로 밤하늘에서 16번째로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