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식물의 모습으로 기후변화를 알아봐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많은 학생이 만난 식물 계절“안녕하세요! 저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기후변화와 식물 계절이라는 주제로 박사과정을 하고 있는 김종호입니다.”작년 9월 14일에 진행됐던 지구사랑탐사대 온라인 클래스에서 김종호 연구원이 건넨 인사말이에요. 식물 계절이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식물의 ... ...
- [2022 필즈상 예측]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허준이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카림 아디프라지토 이스라엘 예루살렘 히브리대학교 교수, 에릭 카츠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교수와 함께 ‘로타 추측’도 해결했습니다. 로타 추측은 리드 추측에서 확장된 문제로, 리드 추측을 해결한 방식으로 또 다른 수학계의 오랜 난제를 푼 겁니다. 2020년에는 다변수 다항식의 한 종류인 ... ...
- [매스미디어] Formula of Love : O + T = < 3수학동아 l2022년 01호
- 거리 재는 삼각함수 트와이스가 앨범을 발표하고 하루 뒤인 2021년 11월 13일 김상욱 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가 트와이스의 ‘SCIENTIST’ 속 가사 일부를 과학자의 시선으로 재해석해 화제가 됐어요. 가사 속 삼각비 개념을 함께 알아봐요. ‘SCIENTIST’에는 ‘왜 그렇게 각을 재 sin, cos도 ...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미래 예측하기 인공지능(AI)은 어떻게 과거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할까요? 마치 마법처럼 보이지만 그 기본에는 간단한 두 가지 수학 원리가 숨어있습니다. 첫 번째 원리는 ‘대수의 법칙’입니다. n개의 사건이 있을 때 A의 성질이 r번 일어나면 A가 일어날 비율은 r/n입니다. 그런데 이때 ... ...
- [특집] 외계인은 새해가 헷갈려! 달력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놀이북 4쪽, 23쪽과 함께 보세요! “5, 4, 3, 2, 1!”‘펑! 팡팡! 삐요유우우우우~.’으악, 이게 무슨 소리야! 내 ‘반짝 귀’ 떨어지는 줄 알았네지구에서 나는 소리였구나. 설마 나를 보고 기뻐하는 거? ‘지구말 통역기’를 켜고 뭐라고 환호하는지 들어봐야지~!“와아~, 여러분 드디어 2022년 새해가 ... ...
- 날짜가 정답 되는 달력이 있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대한 수학회(KMO)는 매년 수학달력을 제작 하고 있어요. 수학 퍼즐 전문가인 박부성 경남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가 2014년 우리나라에서 열린 ‘세계수학자대회’를 기념해 처음 수학달력을 만들었어요. 당시 뜨거운 인기를 얻어 매해 만들기로 했지요. 수학달력은 겉으로 봤을 땐 평범한 달력과 ... ...
- [특집] COP26 어린이가 감시하자! 다음 숙제는 무엇?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평균 기온은 약 0.5℃로 이산화탄소(약 0.75℃) 다음으로 온난화 기여도가 큽니다.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는 “메테인은 신고되지 않은 소와 폐기물매립지에서도 많이 나와 정확한 배출량을 알기 어렵다”며, “올해 인공위성을 쏘아 공기 중의 메테인을 직접 관측할 예정”이라고 ... ...
- [시사 과학]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mRNA 방식의 백신보다 오랜 시간 면역 효과를 유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한양대학교병원 감염내과 김봉영 교수는 “기업들이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빠르게 개발하더라도, 실제로 사람들이 접종할 수 있게 승인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며 “백신 개발과 승인 속도가 변이 발생 속도를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세제를 넣었더니? 우유 속에 꽃이 피었습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소금쟁이처럼 물 위를 이동하는 로봇이 나왔어요. 지난 10월 25일, 미국 미시건기술대학교 하산 마수드 기계공학과 교수팀이 소금쟁이처럼 물에서 표면장력을 이용해 전진할 수 있는 서핑 로봇을 발표했어요.하산 교수는 물 표면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소금쟁이에게 영감을 받아 로봇을 ... ...
- [가상 인터뷰] 수학 문제의 영감은 개미에서 나온다?수학동아 l2022년 01호
- Q. 최근 과학자에게 큰 도움을 줬다면서요? 알버트 체른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가 제 행동에서 단서를 얻어 최적 운송 이론을 응용해 ‘플라토 문제’에 나오는 ‘극소곡면’을 구하는 알고리듬을 만들었어요. 극소곡면은 임의로 주어진 곡선 경계에서 최소 면적을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