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수학 하는 AI, 너 정체가 뭐니?수학동아 l2022년 02호
- 빠른 계산으로 카즈단-루스티그 다항식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낸 거야. 박의용 서울시립대학교 수학과 교수님은 “카즈단-루스티그 다항식은 차수가 높아지면 푸는 데 필요한 계산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며, “그런 계산을 AI가 해내 규칙을 찾아낼 수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어 ... ...
- [2022 필즈상 예측] 줄곧 탄탄대로 달려온 루마니아 출신 천재 수학자 기호 3. 아나 카라이아니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카라이아니 교수와 같은 지도교수 아래에서 연구했던 신석우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수학과 교수는 “미로와 같은 문제 속에서 방법을 찾아내고 응용하기까지 했다”며, “2020년 유럽수학회상 등 많은 상을 받을 정도로 정수론 분야에서 크게 인정받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필즈상 ... ...
- [핫이슈] 이런 가위바위보 봤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가위, 바위, 보!’ 소리를 들으면 저절로 손을 내밀게 되지 않나요? 가위바위보는 전 세계인의 단골 게임이에요. 그런데 세 동작으로 하는 가위바위보뿐 아니라 다섯 동작, 일곱 동작, 101가지 동작 가위바위보도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지금 바로 가위바위보의 세계를 더 넓혀 드릴게요! 가위 ... ...
- [수학 기자의 책장] 수학으로 1만 년 뒤 우리의 모습을 그리다!수학동아 l2022년 02호
- 발전해 온 오랜 학문이라는 것을요. 위상수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저자 송용진 인하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우리 대부분이 놓치고 있을 긴 수학의 역사에 집중합니다. 수학이 과학, 더 나아가 인류의 문명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짚어 내지요. 현재에 이르러서는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나면서 수학은 ... ...
- [기획] 만들어서 뿌린다? 인공눈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스키장, 썰매장, 다음 달 중국에서 열리는 동계올림픽 경기장까지! 제가 대활약하는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제가 누구냐고요? 전 자연에 없는 인공 눈을 만드는 스노우맨입니다. 겨울 스포츠 경기장 뿐 아니라 산불, 가뭄 현장 등 눈이 필요한 곳이라면 어디든 찾죠. 올 겨울도 절 찾는 분들이 줄 ... ...
- [기획] 인공 눈 과학자가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우리나라 실험에선 1회당 수십~수백g 정도의 극미량만 하늘에 뿌려지고 있고요. 서강대학교 화학과 이덕환 명예교수도 “아이오딘화은은 맹독성 물질이 아니고 극미량을 넓은 지역에 뿌리고 있어 향후 같은 곳에 아주 많은 양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한 지금 상황에선 우려할 필요가 없다”고 ...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라진 공룡을 찾고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탐사선 ‘헤라’가 이어 관찰할 계획이에요.다트 미션의 연구책임자인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앤드류 리브킨 교수는 “소행성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수 mm만 밀어 방향만 살짝 바꿔도 피해를 막을 수 있다”며, “디모포스는 이집트 피라미드와 비슷한 크기로 비교적 작은 다트 우주선으로도 ... ...
- [그래프 뉴스] 과도한 어획, 자연의 수학 법칙 깼다!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일정하다는 ‘쉘든의 스펙트럼’을 따라요. 그런데 최근 에릭 갤브레이스 캐나다 맥길대학교 지구행성과학부 교수팀이 사람들이 물고기를 너무 많이 잡아 이 법칙이 깨졌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연구팀은 275개에 달하는 논문을 참고해 대규모 어획이 시작되기 직전인 1850년과 2020년의 주요 ... ...
- [특집] 검치호 구출 대작전, 얼음을 녹여라!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으아악! 저기, 잠시만 나 좀 봐 줘요. 저는 검치호라고 해요. 오래 전 갑작스런 추위로 얼음에 갇히고 말았어요. 과학자, 수학자가 발견해 이곳으로 왔어요. 여기서는 아주 아주 서서히 녹기 시작하네요. 이제서야 겨우 팔과 다리가 나왔어요. 저기 절 발견한 분들이 오네요. 빨리 녹여주세요. ▼ ... ...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그래픽 예술이 되다! 픽셀 아트수학동아 l2022년 01호
- 컴퓨터에서 이미지를 아주 크게 확대해 본 적 있나요? 그러면 이미지는 작은 사각형들로 구성돼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이 작은 사각형이 디지털 이미지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이자 ‘점’인 ‘픽셀(Pixel)’이에요. 네모난 점 모양의 픽셀에 색을 넣어 대상을 표현하는 것을 ‘픽셀 아트’라 ... ...
이전98991001011021031041051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