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돼지의 신장, 사람에게 이식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0월 21일, 미국 뉴욕대학교 랑곤 이식연구소의 로버트 몽고메리 박사 연구팀은 돼지의 신장을 사람에게 이식하는 실험에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뇌사 상태의 환자에게 신장을 이식하고 사흘 동안 정상적으로 활동하는 것을 확인했지요.다른 종의 장기를 이식하는 경우를 ... ...
- [통합과학 교과서] 무지개의 끝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받지 않고 빠르고 정확하게 비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새로 개발했지요. 헬스네트워크대학교 아즈메라이식센터의 폐 이식 프로그램 책임자 샤프 케샤브지 박사는 “약 2kg인 장기를 운송하기 위해 제트기나 헬기를 띄우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다”며 “앞으로 장기 이송용 드론이 넓게 쓰일 ... ...
- [기획] #감각 #기후변화 #유기촉매 노벨상 2021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고추를 먹으면 왜 매울까요? 지구 온난화가 일어난다는 건 어떻게 알게 된 걸까요? 우리가 먹는 약품은 어떻게 만드는 걸까요? 이 궁금증에 대한 답변이 궁금하다면 올해 노벨상을 주목하세요! 노벨상의 주인공과 그 연구를 어린이 눈높이에 딱 맞게 설명해 드림!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 ...
- [기획] 복잡한 세상! 어떻게 예측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현상을 만들어내는 시스템을 말해요. 지구 기후가 대표적인 복잡계죠. 이탈리아 사피엔자대학교 조르조 파리시 교수는 복잡계를 이해하기 위해 ‘쩔쩔맴 현상’이라는 이론을 제시했어요. 쩔쩔맴 현상은 어떤 현상일까요? 예를 들어 한 장소에 서로 다른 색의 옷을 입어야만 하는 세 사람이 있다고 ... ...
- [특집] 우리 동네 발자국 화석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막아주는 보호각을 완공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박용식(경상대학교 국문학과 교수)“정촌면 화석 산지를 지켜낸 건 인생 최고로 잘한 일입니다!” Q화석을 전혀 모르는데 화석 보존 운동을 하셨다고요? 저는 국문학과 교수예요. 화석에 대해서는 전혀 몰랐지요. 2019년 ... ...
- [기획] 물리학상 vs 역학상 사람들이 안 부딪친다 vs 부딪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있음에도, 우리는 길에서 부딪치는 사람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일본 교토공예섬유대학교 무라카미 히사시 교수팀은 그 이유가 ‘스몸비’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스몸비는 길을 걸으며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보행자들의 모습이 좀비 같다는 뜻에서 만들어진 신조어예요. ... ...
- [특집] 세계 최대 발자국 화석 산지가 우리나라에? 진주층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경상남도 진주시 정촌면, 이 한적한 농촌 마을 중간의 조그만 언덕에 세계 최대 규모의 발자국 화석 산지가 있습니다. 무려 1만 개에 달하는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 디딜 틈 없이 가득 찍혀있지요. 이곳이 천연기념물 제566호로 새로 지정된 ‘진주 정촌면 백악기 공룡·익룡 발자국 화석 산지’입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심쿵하는 가을,요리로 마음을 전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카카오 버터 속 지방 결정이 베타 배열로 바뀌죠. 그런데 지난 8월 31일, 캐나다 겔프대학교 알레한드로 마랑고니 박사팀은 이 템퍼링 작업 없이도 광택이 나고 부드러운 초콜릿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냈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먼저, 카카오 버터 속 성분들을 조사했습니다. 그리고 각각의 ... ...
- [특집] 공룡 발자국 1만여 개가 한자리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화석 산지’는 지난 9월 29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습니다.이 화석은 약 4년 전 진주교육대학교의 김경수 교수가 발견했습니다. 2016년부터 정촌면에 산업단지를 만드는 공사가 시작되었는데, 이때 공사가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사후 환경영향평가’를 해야 했습니다. 이를 담당한 ... ...
- [가상 인터뷰] 사과는 왜 사과 모양으로 생겼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1호
- 있었어?안녕! 방금까지 사과의 생김새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어. 10월 4일 미국 하버드대학교 존폴슨 공학 및 응용과학대학의 락쉬미나라야난 마하데반 교수팀이 사과의 모양을 연구하고 그 이유를 발표했어. 마하데반 교수는 이전에 사과의 모양과 성장을 설명하는 간단한 이론을 제시했는데, 실제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