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화보] 멸종 위기 동물 사진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여러분이 사는 동네에 식물을 심어 보세요. 살충제, 제초제 같은 화학물질을 사용하면 생태계가 무너질 수 있으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또 멸종에 관해 공부하고, 친구, 가족, 지역 사회에 알려 보세요. 알리는 방법은 다양한데, 사진을 찍고 공유하는 방법을 추천해요. 제가 멸종위기 동물을 알리려고 ... ...
- [지구사랑탐사대] 2024시민과학 프로젝트 올해는 어떤 특별 탐사가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8호
- 모습을 본 적 있나요? 공벌레와 쥐며느리 같은 육상 등각류 동물은 자연의 청소부로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어요. 저는 우리나라에 사는 모든 육상 등각류에 대한 도감을 집필하고 있습니다. 대원들과 함께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다양한 육상 등각류를 조사하고, 지구사랑탐사대 5기부터 ... ...
- [특집] 집비둘기, 왜 많아졌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인간이 만든 새, 집비둘기 집비둘기의 조상은 바위비둘기예요. 지금으로부터 4000년 전, 고대 이집트인들은 해안가 절벽이나 바위틈에 살던 바위 ... “거미줄의 줄이 한두 개씩 끊어지면 거미줄이 점점 약해지는 것처럼, 한 종이 사라지면 생태계의 균형이 무너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
- [기획] 골드수소, 탐사가 시작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7호
- 과정에서는 어떤 온실가스도 나오지 않지만, 쓰고 난 뜨거운 물을 버릴 때는 주변 하천의 생태계가 파괴되거든요.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이진용 교수는 “모든 에너지 자원은 정도의 문제지 기본적으로 한계를 가지고 있다”며 “다만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골드수소는 꿈의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 [어과동 500호] 바닷물로 지구온난화 해결 방안 찾아 기후위기 막는다기사 l20250716
- 분사하면 공기 중의 온실가스와 화학 반응을 일으켜 가스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적이고 유독 물질이 없기 때문에 생태계에 노출 되어도 안전합니다. 연구팀은 "토양의 유해 물질과 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중금속들을 제거할 수 있는 제거제도 만들 예정이다"라고 밝혔습니다. 앞으로 과학자들의 노력으로 환경 오염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 현장 교육기사 l20250714
-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내용으로 연구활동을 하는 시민과학프로젝트입니다.2주에 한 번 우리 주변 하천 생태모니터링을 하면서 느낀점은,평소 계절의 변화로만 보여졌던 하천의 환경변화를 새들의 서식지를 조사하면서 생물 외에도 하천의 주변환경의 변화를 관심있게 관찰하게 되었고 앞으로의 조사에 대해 기대되었습니다.도시에 속해있는데도 다양한 새들 ...
- 현장 교육기사 l20250628
- 안녕하세요. 서원식 기자입니다. 지난 6월 12일, 성동구 중랑천에서 현장 교육이 있었습니다. 이원재 연구원님, 김예은 매니저님, 최선미 리더매니저님, 지구사랑탐사대원 가족과 함께 활동하였습니다. 는 생태학자연구원님, 지구 ... 장점이 명확하게 밝혀지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지금까지 서원식 기자였습 ...
- 어과동 500호 이동하는 식물등장?기사 l20250628
- 회복력이 높아질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학자들은 급격한 식물 이동이 특정 지역의 토착 생물들을 위협하고 새로운 생태계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인류의 과제 식물이 스스로 이동하는 시대는 우리에게 새로운 질문과 과제를 던져주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변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할까요? 이동하는 식물과 ...
- 현장 교육기사 l20250622
- 대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동네나 주변의 개미종을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지구사랑탐사대 앱에 탐사기록을 올리면 개미종의 생태모니터링에 참여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번 안곡습지공원 개미 현장교육에서 만났던 개미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마쓰무라밑드리개미, 그물등개미, 주름개미, 털개미, 극동혹개미, 검정왕개미, 흑색패인왕개미, 네눈개미,냄새개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