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진공"(으)로 총 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양자컴퓨팅의 세계, 기초과학이 토대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큐비트는 아주 특별한 소자로만 구현할 수 있다. 영하 273℃의 극저온에서 작동하거나 진공에 가둔 개개의 원자들이 사용된다. 이런 큐비트 회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면 다양한 기초과학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양자컴퓨터의 개발 연구가 기초과학연구원(IBS),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이를 하나씩 옮기는 극소형 저전력 소자 응용의 가능성을 찾아낸 것이다. 원자선은 진공상태에서 실리콘 표면에 1~2㎚로 형성되는 금속선으로, 선폭이 원자 1~3개 수준으로 매우 가늘다. 원자선이 중요한 이유는 앞으로 원자선의 성질을 이용해 전력소비와 발열을 크게 줄인 소자를 만들 수 있고, ... ...
- 나노과학의 대가, 세계 최고를 꿈꾼다IBS l2016.07.04
- 자연대와 공대의 거의 모든 분야를 아우르는 학제간 융합학문이다. 올해 한국진공학회가 20회 IVC를 유치하게 됐고, 현택환 단장은 8월 부산에서 열리는 IVC 현장에서 IUVSTA 기술상을 받게 된다. 현 단장은 지난 4년간 IBS에서 이룩한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기조강연도 할 예정이다. 늘 새로운 것에 ... ...
- 과학, 음식과 요리를 만나 새로운 길을 찾다IBS l2016.02.29
- 가공하는 구체화(Spherification) 기법은 시중의 칵테일 바에서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진공 포장하여 60℃ 정도의 물에서 천천히 조리하는 '수비드(Sous Vide)'는 맛과 향을 최대한 살리면서 영양분을 보존할 수 있어 전통적인 조리법을 따르는 요리사들도 애용하곤 한다. 수비드 기법으로 익힌 ...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인류의 삶이 달라졌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5.12.29
- 떨어뜨리는 실험을 해보면 동일한 순간에 땅에 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진공 상태에서는 깃털과 볼링공도 같은 속도로 떨어진다. 아인슈타인은 이 실험에 주목했다. 질량은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중력에 의해 측정되는 물체의 무게 즉 중력질량과 높은 곳에서 떨어뜨렸을 때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8] 숫자로 보는 핵융합, "-268도"2015.11.30
- 아니다. 완전한 초전도 상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열 침입이 없도록 초고진공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세계 최대 규모의 초전도 토카막 극저온 냉각 달성이라는 신기록을 세운 것도, 극저온 냉각 시운전을 단번에 완료한 것도 한국이 처음이다. 이 같은 극저온 기술은 이제 핵융합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7] 숫자로 보는 핵융합, "1억 도"2015.11.25
- 묶어 둔다면 물질에 직접 닿지 않고 공중에 뜬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자기장으로 진공용기 안에 초고온 플라즈마를 가두는 핵융합장치인 토카막의 원리가 바로 이것이다. 또 다른 비밀은 밀도이다. 이는 목욕물과 사우나를 비교해보면 쉽다. 목욕물은 42℃만 되도 뜨겁지만 사우나에서는 10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5] 본격 플라즈마 실험 시작2015.11.18
- 때문에 초전도자석을 다시 식힐 시간이 필요한 것입니다. 초전도자석을 식히는 동안 KSTAR 진공용기의 타일이나 리미터 등도 본래의 온도로 돌아가며 안정적으로 다음 실험을 진행할 수 있게 됩니다. 다음은 플라즈마 실험이 한 번 진행될 때마다 쏟아져 나오는 어마어마한 데이터양에 그 이유가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4] 플라즈마 실험을 시작하려면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2015.11.16
- 수 있습니다. 그 중에 정적인 토로이달 초전도자석은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고 플라즈마를 진공용기에 가두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실제와 마찬가지인 최대 35kA의 전류를 흘려 자석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반면에 동적인 폴로이달 초전도자석의 경우는 다양한 파형으로 최대 약 15kA의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3] KSTAR의 극저온냉각장치에 대해 알아보자2015.11.11
- 높이는 데에도 비슷한 시간이 걸립니다. 온도에 따라 초전도 자석 및 주변 냉각용기 및 진공용기 등이 급격한 부피변화를 겪어 손상을 입는 일이 없도록 천천히 온도를 낮추고 높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인간이 만들 수 있는 가장 뜨거운 물질인 1억℃의 플라즈마를 담기 위한 인간이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