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종두"(으)로 총 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질병, 병원, 의사, 의학 뒤집어 보기2024.10.27
- 대상으로 하는 공중보건학이 대두되었다. 이와 함께 1796년에 영국의 제너(Edward Jenner)가 종두법을 발견했고 19세기 후반에 프랑스의 파스퇴르(Louis Pasteur)가 닭콜레라, 탄저, 광견병 백신을 발견하면서 예방을 할 수 있는 감염병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예방을 위한 백신 개발은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 피해, 크게 줄어들고 있다2023.09.24
- 있음을 보여 줌으로써 백신 개발이 널리 이용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제너가 발견한 종두법이 암소를 이용한 것에 착안하여 라틴어로 암소를 의미하는 vacca에서 유래하여 백신(vaccine)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도 파스퇴르였다. 1901년에 첫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베링(Emil von Behring)은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코로나 백신 여러번 맞아야 하는 이유2022.11.22
- 백신.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코로나19 백신을 여러 번 맞아야 하는 이유와 의학의 특징 종두법은 한 번의 백신 접종으로 평생 면역을 가질 수 있지만 두 번 이상 백신을 맞아야 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지난 약 3년간 우리 일상을 완전히 바꿔 버린 코로나19는 이미 3회씩 백신접종을 받은 사람들도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세기의 전환2020.11.12
- 롤모델들이 적어도 방역에 관해서는 더 이상 배울 게 없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최초로 종두법을 시행한 영국도, 최초로 백신을 개발한 파스퇴르의 조국 프랑스도, 제1회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를 배출한 독일도, 어쨌든 지금 세계 유일 최강국인 미국도, 그렇게 20세기를 주름잡았던 나라들이 2 ... ...
- [사이언스N사피엔스]파스퇴르와 백신의 등장 2020.09.03
- 실제로 야생동물에게 광견병 백신이 포함된 먹이를 살포하기도 한다.), 결국 종두법처럼 사람에게 접종할 수밖에 없다. 일단 파스퇴르는 의사가 아니었기에 본인이 백신을 환자에게 놓을 수도 없었다. 더불어 탄저 백신 실패의 경험도 아프게 다가왔다. 그러던 중 1885년 요셉 마이스터라는 9세 소년이 ... ...
- [사이언스N사피엔스]와인 나라의 와인 과학자(19세기 생물학1)2020.08.20
- 지석영이 제너보다 약 100년 뒤인 1880년 처음으로 조선에서 종두법을 시행했다. 종두법은 아주 성공적이어서 1977년 마지막 천연두 환자가 치료됐다. 소말리아의 항구도시 메르카에서 병원요리사로 일하던 23세의 알리 마우말린이 마지막 환자였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마침내 1980년 5월8일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코로나19 이후의 ‘뉴노멀’, 두려워할 이유 없다2020.05.13
- 951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4만 명이 천연두에 감염되었다. 1796년 에드워드 제너가 발명한 ‘종두’가 있었지만 속수무책이었다.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계절형 독감의 피해도 엄청났다. (참고로 1900년의 세계 인구는 16억 5000만 명이었다.) 인간에 의한 환경 파괴가 거의 없었던 산업혁명 이전의 상황도 ... ...
- 전염병의 제왕, 천연두를 박멸하기까지KISTI l2015.08.11
- 잘 알고 있었다고 한다. 본인이 어렸을 때, 천연두로 어려움을 겪은 바 있기 때문에 종두법에 대해 관심이 많았다. 그가 직접 우두법을 시행했다는 설도 있지만, 정확하지는 않다. 하지만 정약용은 천연두에 관심이 높아 인두법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었고, 우두법에 대해서도 소개한 인물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