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질병, 병원, 의사, 의학 뒤집어 보기2024.10.27
- 대상으로 하는 공중보건학이 대두되었다. 이와 함께 1796년에 영국의 제너(Edward Jenner)가 종두법을 발견했고 19세기 후반에 프랑스의 파스퇴르(Louis Pasteur)가 닭콜레라, 탄저, 광견병 백신을 발견하면서 예방을 할 수 있는 감염병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예방을 위한 백신 개발은 지금까지도 계속되고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 피해, 크게 줄어들고 있다2023.09.24
- 있음을 보여 줌으로써 백신 개발이 널리 이용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제너가 발견한 종두법이 암소를 이용한 것에 착안하여 라틴어로 암소를 의미하는 vacca에서 유래하여 백신(vaccine)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도 파스퇴르였다. 1901년에 첫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베링(Emil von Behring)은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코로나 백신 여러번 맞아야 하는 이유2022.11.22
- 백신.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코로나19 백신을 여러 번 맞아야 하는 이유와 의학의 특징 종두법은 한 번의 백신 접종으로 평생 면역을 가질 수 있지만 두 번 이상 백신을 맞아야 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지난 약 3년간 우리 일상을 완전히 바꿔 버린 코로나19는 이미 3회씩 백신접종을 받은 사람들도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세기의 전환2020.11.12
- 롤모델들이 적어도 방역에 관해서는 더 이상 배울 게 없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다. 최초로 종두법을 시행한 영국도, 최초로 백신을 개발한 파스퇴르의 조국 프랑스도, 제1회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를 배출한 독일도, 어쨌든 지금 세계 유일 최강국인 미국도, 그렇게 20세기를 주름잡았던 나라들이 2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 [광고] 읽기만해도 똑똑해지는 만화 과학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천연두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천연두의 예방법이었던 종두법에 대한 설명이 나와요. 종두법은 소에게 난 종기에서 고름을 짠 뒤 사람에게 주입하는 방식으로, 인류 최초의 백신이 되었죠. 책에는 인류가 불을 사용하고, 간단한 도구를 사용했던 것부터 뉴턴, 아인슈타인을 넘어 양자물리학과 ... ...
- [과학사 극장] 지석영이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소개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1894년 우두법이 종두법(천연두 예방접종)의 공식적인 용어로 확정되기 이전까지 종두법이란 인두법을 의미했다. 지석영이 우두법을 전파시키던 1880년대, 조선 정부가 우두법을 공식적으로 천연두 예방법으로 확정한 이래로 인두법은 금지됐다. 우두법과 달리 인두법은 치사율이 1~2%에 이를 정도로 ... ...
- [기획] 바이러스를 먹고, 알리고, 무찌르는 면역 정예 부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킬러 T 세포만 활성화되는 현상을 ‘면역의 특이성’이라고 한답니다. 용어 정리●종두법: 1796년 영국의 의사 에드워드 제너가 천연두를 예방하기 위해 제안한 방법으로, 백신의 시초가 됨 ... ...
-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컸거니와, 신이 내린 벌인 천연두를 감히 인간이 치료하려 한다며 반대했다. 그러나 종두법의 유효성은 점차 인정받게 됐고, 1803년에는 왕립제너협회가 설립되기도 했다.이후에는 백신 접종 강제화에 반대하는 운동이 펼쳐졌다. 1871년, 영국에서는 천연두 백신을 강제적으로 접종하는 법안이 ... ...
d라이브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