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정의"(으)로 총 47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서머타임은 과연 과학적일까2025.04.02
- 자(한자로는 척(尺)) 역시 대략 30cm다. 반면 근대과학의 산물이라는 1미터의 원래 정의는 1790년 프랑스 정부가 지구 적도에서 북극점까지 거리를 1만㎞로 삼아 산출한 길이이다. 따라서 사람의 몸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심리학과 인간공학과 고도로 발달한 오늘날 국제단위계를 만든다면 피트(또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서툴러도 실패해도 아름다운 이유2025.02.01
- 3자의 눈을 빌려 3인칭으로 자신을 바라보며 기억을 회상하고 자기 자신에 대해 평가하고 정의하는 동물이다. 물론 이러한 모니터링 기능의 주된 역할은 자신의 언행을 검열하고 반성하는 것이다. 하지만 때로는 지난 한 해 동안 수고한 자신을 따듯한 시선으로 내려다보며 지난 한 해도 서툴렀지만 ...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세계 12명 중 1명, '소규모 어업'에 의존동아사이언스 l2025.01.25
- 종사자들의 사회 기여는 잘 드러나지 않아 간과되는 경우가 많다. 소규모 어업은 정확히 정의하기 어렵지만 기술 수준이 높지 않고 소자본 노동집약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육지 인근 바다의 어업과 어업 후 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연구팀은 소규모 어업의 어획량, 영양소 공급, 사람들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차별적 판단과 편견을 줄이려면2025.01.18
- 공통점이 훨씬 많다는 사실 강조하기 등 팩트체크 또는 내집단(ingroup) 바운더리를 재정의하게 만드는 것의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다수 있었다. 또한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내면’을 돌아보며 자신이 얼마나 편견에 쉽게 물들기 쉬운 존재인지 깨우쳐서 앞으로는 조심하도록 만들기, 비슷하게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작은 분노들이 모여 세상을 바꾼다2025.01.11
- 이들을 벌써 한 달 째 보고 있다. 차가운 거리에 많은 시민들을 모이게 만든 것은 무너진 정의에 대한 분노(indignation)일 것이다. 역사는 항상 이렇게 자기 신상에 관한 일이 아니어도 분개하고 일어서는 사람들에 의해 발전되어 왔다. 한강 작가의 "죽은 자가 산 자를 구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키고 싶은 자아상 무너질까 두렵다면?2024.12.21
- 모습과 닿아 있을까. 만약 그렇지 않다면 어디서부터 뭐가 잘못된 걸까. 언제서부턴가 정의를 추구하는 것, 약자의 편에 서는 것, 소중한 사람들의 행복을 위해 헌신하는 것 등의 가치들이 더이상 ‘쿨’하지 않게 되어버린 것 같다. 문제를 제시하고 그것을 함께 해결해가는 방식보다는 내가 ... ...
- [의학바이오게시판] 휴온스, 제천공장 내 '장애인 바리스타 카페' 오픈 外동아사이언스 l2024.12.11
- 1차 치료제로 권고하고 있다. 이번 계약에 따라 LG화학은 내년 1월 1일부터 글루코파지정의 국내 의료진 대상 유통을 맡는다. 품목허가권은 한국머크 바이오파마가 계속 보유한다. ■ 메디톡스와 계열사 뉴메코는 중국 투자유한회사 '해남 스터우'와 히알루론산(HA) 필러, 보툴리눔 톡신 제제의 현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계엄군에 맞서는 힘은 어디서 나올까2024.12.07
- 경우 보통 이길 수 없지만 그래도 행동하게 만드는 다른 이유가 존재한다. 심리학에서 정의하는 “용기”란 두려움이 없는 상태보다는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리스크를 지면서도 싸울 가치가 있는 중요한 무엇을 위해 행동하는 것을 말한다. 사람들이 지는 싸움을 하는 이유는 질 것이지만 그럼에도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질병, 병원, 의사, 의학 뒤집어 보기2024.10.27
- "건강을 관리해 주는 사람"으로 정의가 바뀌어야 한다. 세상이 달라지니 병원과 의사의 정의도 바뀌게 된 것이다. ● 의학의 목표 세 가지 몸에 이상을 느껴서 병원에 찾아온 사람이 의사에게 진찰을 받은 후 병명을 알게 되면 다음으로는 치료를 하여 정상으로 돌아가기를 원할 것이다. 의학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통은 '주관적'…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이유2024.10.12
- 통증 뿐 아니라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괴로움들을 아울러 고통을 정의한 것을 볼 수 있다. 관련 문헌들을 더 조사하던 와중 또 다른 흥미로운 연구를 만날 수 있었다. 헨리 비처라는 의사가 전쟁에서 큰 부상을 입고 돌아온 군인들과 사고 등으로 인해 비슷하게 큰 부상을 입은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