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정의"(으)로 총 476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셀프 도덕적 판단'의 위험성2024.10.05
- 경우 2021년 선거 결과에 불복하며 국회의사당을 점거한 사람들 또한 자신들이야 말로 정의의 편이라는 강한 신념을 보였다고 한다. 한 가지 확실한 게 있다면 우리가 나 자신이나 타인에 대해 내리는 도덕판단은 자주 우리의 '감정'과 '동기'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꽤나 허술한 편이라는 것이겠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찾는 과학자들2024.09.19
- 생명과학계에서 가장 놀라운 사건일 것이다. '촉매 활성을 지닌 단백질'이라는 효소의 정의를 바꾼 이 발견을 해낸 화학자 토머스 체크가 지난 6월 회고록 'The Catalyst(촉매)'를 펴냈다. 1947년생으로 미국 콜로라도대 화학과 신진 교수일 때 해낸 이 발견으로 체크는 1989년 불과 42세에 노벨화학상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를 이해하는 사람과의 관계는 '나의 일부'가 된다2024.08.17
- 친구이든 연인이든 누군가가 나의 세상을 정의할 수 있고 반대로 내가 타인의 세상을 정의할 수 있다는 것은 멋진 일이다. Auger, E., Thai, S., Birnie-Porter, C., & Lydon, J. E. (in press). On creating deeper relationship bonds: Felt understanding enhances relationship identificat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Advance online ... ...
- [표지로 읽는 과학] 백신 불평등, 사망 늘려…"과학계 식민주의 타파해야"동아사이언스 l2024.08.11
- 부족, 저자의 불균형, 영어권 선호 경향 등이 과학 연구와 관련한 국제 형평성이나 정의에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기고문을 8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또 현재 과학 연구에 대해 "대기업에 유리한 지적재산권(IP) 체계가 조성돼 있다"며 "이러한 불공평성은 과학적 결실에 누가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생활습관이 병을 만든다 2024.06.30
- 식이요법-영양, 운동, 스트레스 관리, 금연 등)을 이용하여 중재를 하는 학문이라 정의한다. 생활습관의학을 강조하는 여러 단체와 개인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이야기는 생활습관이 질병의 치료와 재활, 예방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 건강을 지키기 위한 생활습관의학의 중요성 약 ... ...
- [과기원NOW] GIST, 손욱 세종국가경영연구원 이사장 초청 한국형ESG 특강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6.03
- 참석했다. 특강에서 손 이사장은 “ESG는 땅(E, 자연), 사람(S, 공동체), 하늘(G, 하늘의 뜻: 정의·공의)을 아우르는 천지인 코드와 일맥상통하며, 인류 공영을 위한 홍익인간(弘益人間) 정신과 맞닿아 있다”며 “ESG를 단순히 도구나 전략으로 활용하는 것이 아닌, 조직의 문화(culture)와 마음(mind)으로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2024.06.02
- 위해 절삭용 기구를 이용하여 전립샘으로 절제하는 등 의학의 발전은 과거의 결정한 정의나 이론에 계속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로봇수술.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현대의 수술법을 한층 진보하게 한 로봇 수술 사람이 해야 할 수술을 로봇이 더 잘할 수 있을까.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다빈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함께 하는 성취가 더 뜻깊다2024.03.30
- 가장 소중하고 뜻 깊었던 순간에는 무엇이 있는가. 삶에서 가장 뜻 깊었던 시간들을 정의할 때 사람들은 보통 즐거움과 행복 같은 긍정적 정서뿐 아니라 어떤 경험이 얼마나 큰 '의미감'을 주었는지를 함께 고려하는 모습을 보인다. 예를 들어 도박이나 마약 같이 큰 쾌락을 가져다 주지만 딱히 의미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2024.02.04
- 사고를 지배하고 있는 이론적 틀이나 개념을 가리키는 이 용어는 쿤도 초판에서 명확히 정의를 하지 못했다. 그러나 1970년에 발행된 개정판에서 ‘페러다임’의 의미를 더 명확히 했다. 과학이 점진적으로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패러다임이 바뀌는 순간마다 한 단계를 건너뛰듯이 발전한다는 그의 ... ...
- [과기원NOW] KAIST, 차세대 2차원 반도체 다기능 전자 소자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2.02
- 2차원 나노 반도체 기반 다기능 전자 소자 개발 연구에 참여한 연구진. 왼쪽부터 KAIST 송준기 석박사통합과정생, 이수연 석사과정생. ■ KAIST는 ... 전반적 감소와 사회적 불평등을 완화하는 노력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고, 이를 위해 환경 정의를 고려한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