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복
극복
복위
조합원의 제복
승리
예복
조합복
스페셜
"
정복
"(으)로 총 16건 검색되었습니다.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8] 숫자로 보는 핵융합, "-268도"
2015.11.30
50~60℃의 남극점
정복
에 도전한 지 100년 만에 인류는 절대영도에 가까운 극저온의 세상을
정복
하고 있는 것이다. 그 중심에는 세상에서 가장 뜨거운 물질을 담기 위해 가장 차가운 그릇을 만든 한국의 핵융합 기술이 있다 ... ...
전염병의 제왕, 천연두를 박멸하기까지
KISTI
l
2015.08.11
한 나라의 군주도 천연두의 위력 앞에선 힘을 쓰지 못했다. 16세기 초 에스파냐의 아즈텍
정복
전쟁에서 천연두는 특히 맹위를 떨쳤다. 당시 에스파냐의 군대는 약 600명뿐이었다. 하지만 아즈텍 원주민은 에스파냐 군대보다 30배가 넘었다. 에스파냐 군대는 자신들보다 30배나 많은 아즈텍 원주민을 ... ...
눈(雪) 위의 스포츠! 스키와 스노보드
정복
하기
KISTI
l
2015.02.16
KISTI 과학향기 제공 겨울이라는 계절에 만나게 되는 하얀 눈은 무조건 사랑할 수도 마냥 미워할 수도 없는 애증의 대상이다. 첫눈이 오면 사랑하는 사람과 만날 약속을 잡기도 하고 새하얗게 변한 풍경을 바라보며 따뜻한 음료를 마시는 것도 즐거움 중의 하나다. 한편으로 1cm도 쌓이지 않은 눈 때문 ... ...
"600여 명의 급여, 전부 제가 넣어드립니다"
IBS
l
2014.09.05
회피한다. 독서를 좋아한다 해서 추천할 도서를 물었더니, 버트런드 러셀의 '행복의
정복
'을 꼽는다. 민유나 씨는 이 책을 벌써 6번 정도나 읽었다고 한다. 사람이 왜 행복하지 못한지에 대해 설명하고 행복으로 갈 방법에 대해 적혀 있어 읽을 때마다 자신을 독려해준다고 한다. 요즘 일 때문에 많이 ... ...
[이달의 역사]대항해 시대를 연 캡틴 쿡의 일생
KISTI
l
2014.05.14
것과는 달리 인도주의적인 교양을 심어 놓았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른 문화의
정복
자나 파괴자로 나서지 않았다. 그러나 그가 지리 정치학적 과제를 수행했다고 하지만 그 목적은 영국의 해상 패권 장악을 위한 것임은 틀림없다. 그를 보는 시각이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뜻이다. 선장이었던 ... ...
제대로 된 경쟁 대상이 창조를 만든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8.05
왕의 권좌가 이렇게 불편하게 만들어진 이유는 '왕의 자리는 편해서는 안 된다'는
정복
자 선왕의 지론 때문이다. 많은 기업이 정상에 오른 이후 너무 편한 왕좌에 길들어 자리 지키기에만 급급한 나머지 미래에 대해 대처 하지 못하고 있다. 그렇게 노키아, 모토로라, 코닥 등이 무너졌고 앞으로도 ... ...
인류의 수중탐사는 언제 시작됐을까?
KISTI
l
2013.06.05
할 수 있는 장비였다. 레베타라는 이름도 그리스어로 ‘가마솥’이란 뜻이다. 세계
정복
으로 유명한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그보다 발전된 형태의 콜림파(colympha)에 탑승해 바다 속 경치를 즐겼다. 콜림파는 잠수 틀에 유리창이 달렸으며 가죽호스가 연결돼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었다. 로마인들은 ... ...
자연에게서 배운 인간의 수강 이력
KOITA
l
2013.05.14
인간을 늘 자연의 일부로 다루어왔다. 서구인들에게도 자연을 인간의 지식으로
정복
하겠다는 생각은 그 수명이 고작 300년을 채 넘지 않는다. 유럽만 해도 근대까지 자연은 삶과 문명, 기술로부터 동떨어진 존재가 아니었던 것이다. 유럽 문명의 모태나 다름없는 그리스 신화만 해도 자연을 인간의 ... ...
“의료현장 요구 연구로 이어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암이 곧
정복
될 것처럼 보여요. 봇물처럼 쏟아져 나오는 암관련 연구들이 하나같이 암
정복
을 외치고 있기 때문이죠. 정작 암 환자는 잔뜩 기대만 부풀어 있을 뿐 실제 돌아오는 성과는 거의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지금까지 과학자의 연구결과가 의사에게 잘 연결되지 않아 실제 질병의 예방이나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교수 1997년~1999년 강원대 의대 학장 2000년~2001년 한국뇌신경과학회 이사장 2000년~현재 치매
정복
창의연구단장 2002년~현재 서울대 의대 약리학교실 교수 2005년~현재 국제인간프론티어과학기구 본부이사 2008년~현재 한국뇌연구원설립추진기획단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와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