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복
극복
복위
조합원의 제복
승리
예복
조합복
뉴스
"암세포의 시간이 거꾸로 간다?"…정상세포로 바꾸는 방법
과학동아
l
2025.04.19
X(구 트위터)에서 이 연구가 큰 화제가 됐습니다. 인류의 최대 적이라고 불리는 '암'을
정복
할 일이 머지않은 걸까요. 3월 6일 KAIST에서 조 교수를 만났습니다. ● 정상 세포 닮은 암세포? 질문의 시작 "암이 생기면, 다시 저절로 정상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나요?" 준비한 질문을 내어놓으려는데 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세포도 생존에 '미토콘드리아' 쓴다
2025.04.16
이들의 정상 미토콘드리아는 받아들여 에너지를 만들어 증식하는 이기적인 존재다. 암을
정복
하기가 어려운 또 하나의 이유인 셈이다. 암세포는 면역 회피의 전략으로 면역세포와 미토콘드리아를 주고받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자신의 부실한 미토콘드리아(빨간색)를 소포에 실어 T세포로 ... ...
[인사] 연세대의료원
동아사이언스
l
2025.03.04
△정신건강의학과장 박진영 △피부과장 김지희 △흉부외과장 박성준 △성형외과장
정복
기 △산부인과장 박주현 △안과장 이상엽 △이비인후과장 강주완 △비뇨의학과장 김종찬 △가정의학과장 박병진 △구강악안면외과장 정승원 △응급의학과장 고재욱 △방사선종양학과장 변화경 ... ...
미국서 바이러스
정복
프로젝트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바이러스 이미지. 위키미디어 제공 우리 몸에는 수조 개의 바이러스가 살고 있다. 세상에 알려진 바이러스는 극히 일부다. 바이러스에 감염돼도 증상이 없거나 오랜 시간이 지난 후 존재감을 드러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언제 어떤 바이러스가 체내에 숨어 있다가 예상치 못한 장기에 영향을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과기원NOW] KAIST, (주)에이티앤씨와 치매
정복
연구협력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왼쪽부터 이광형 KAIST 총장, 이기태 ㈜에이티앤씨 회장. KAIST 제공 ■ KAIST는 9일 에이티앤씨(AT&C)와 포괄적인 상호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KAIST는 이번 협약으로 에이티앤씨와 혁신적인 뇌 질환 디지털 치료 장비 개발 분야에 상호협력한다. 에이티앤씨는 자사 장비를 파킨슨병, 뇌졸중,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대다수 암의 발병 메커니즘이 밝혀졌지만 이 가운데 효과적인 치료법을 찾은 암은
정복
에 가까운 상태이고 그렇지 못한 암은 여전히 고전 중이다. ● 1982년 첫 종양유전자 발견 암 관련 유전자는 두 가지 부류로 나뉜다. 먼저 원종양유전자(proto-oncogene)로 정상적인 세포의 성장과 분열에 관여한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러시아 원정 실패 이유는 '발진티푸스'...나폴레옹의 전쟁(4)
2023.06.27
목적이 ‘유럽 전체를 통치하기’ 또는 ‘가능한한 넓은 땅을 차지하기’라 할 정도로
정복
을 위한 전쟁을 벌이곤 했다. 러시아가 자신의 말을 무시하자 유럽 전체를 통치하기 위해서는 러시아부터 박살내야겠다는 생각으로 수년간 전쟁준비를 했다. 그리하여 1812년 초에 프랑스가 지배하는 여러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美 루이지애나 넘긴 이유는 '황열'...나폴레옹의 전쟁(3)
2023.06.13
신대륙 정벌 과정에서 과거에 유럽에서 유행한 병이 인디언들에게 유행하는 경우
정복
자들은 면역력을 가지고 있지만 면역력을 키우지 못한 인디언들은 훨씬 큰 피해를 입곤 했다. 나폴레옹의 루이지애나 매각으로 인해 미국영토는 전보다 2배로 넓어졌고, 아이티는 1804년에 아메리카 최초로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더 강해져서 돌아왔다...빈대의 습격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인간의 시도는 늘 실패할 수밖에 없다.”_브룩 보렐, ‘빈대는 어떻게 침대와 세상을
정복
했는가’ 중 새로운 연구가 지금 당장 전 세계 빈대를 박멸한다고 해도, 우리는 그것이 언젠가 강해져 또다시 나타날 것을 압니다. 막을 방법은 전혀 없는 걸까요? 이 교수는 “빈대의 저항성이 살충제에 ... ...
[커리어] 과학과 의학 그리고 꿈이 만나는 현장, IBS 나노의학 연구단 랩투어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답했다. 그럼에도 “나노기술이 생명체에 대한 지식을 넓혀가고 있기에 언젠가는 (암
정복
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나노의학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전예지 독자(부천 중흥초 5학년)는 진로에 대해 질문했다. 이 교수는 “과학동아를 열심히 읽으라”고 답해 랩투어 참가자들의 ... ...
[기획] 인공지능까지 나섰다? 일기예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날씨는 수많은 변수로 뒤섞여 있어 예보가 쉽지 않죠. 과학자들은 미지의 영역인 날씨를
정복
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인공지능까지 나섰다? 일기예보Part1. AI, 예보에 도전장 내밀다Part2. 수치예보모델 방정식 풀어 날씨를 본다!Part3. 기상청 ... ...
[대학원 탈출일지] 그곳에 행복이 없는 것은 당연하다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토대로 참신한 아이디어를 통해 아직 발견되지 않은 주제를 찾으면 된다는 것이다. 실험
정복
편(106~108화)은 연구가 무엇인지를 알려준다. 바로 “왜?”라고 묻는 가상의 몬스터, ‘왜몬’과의 싸움이다. 주제를 설정하는 연구의 시작부터 연구를 증명하는 마지막 과정까지 왜몬과 싸우다보면 새로운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인생 책 챌린지] 이것저것의 하루
기사
l
20241220
표정을 그리시는 작가님 입니다. 20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인증한 올해의 과학도서로 꼽히기도 하는 책이고요, 이책으로 과학을
정복
할 수 있습니다!!! 어떤가요, 딱 한번씩만 읽어보셔도 유머와 함께 과학 마스터가 될 수 있습니다. 딱 한번씩은 읽는 거 추천 드리고, 감사합니다! 오연성 기자입니다 ... ...
[인생 책 챌린지] 아무도 본적 없는 바다
기사
l
20241130
인식하고 우리의 미래를 위해서라도 피해를 최소화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특히, 우리 스스로가 인식을 함으로서 자연
정복
이라는 헛된 꿈을 버렸으면 한다. 헛된 이기심은 성공과 결부되지 못한다. 이기심은 당신 자신을 파괴할 뿐이다. ... ...
세계 지질 과학 총회, 지질을
정복
하자.
기사
l
20240903
안녕하세요? 우주기자단의 이소망 기자입니다. 저는 이번에 부산 백스코에서 개최하는 ‘IGC (국제지질과학총회)2024’에 다녀왔습니다. IGC는 1878년 프랑스 파리에서 처음으로 개최하여 4년에 한 번씩 열리는데요, 이 총회는 무려 147년 동안이나 지속되었다고 합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이번이 첫 개최라고 합니다. 그럼 당일 IGC 현장을 살 ...
Oh right man I am
포스팅
l
20240817
우주
정복
드가자~~~~~ ...
제가 새싹 심테를 했는데 캡처를 까먹어서...
포스팅
l
20240817
그냥 적겠습니다! 우주
정복
나왔습니다!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