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우리말"(으)로 총 9건 검색되었습니다.
- [HISTORY] 우리나라 전기공학의 선구자, 한만춘KISTI l2015.11.14
- 일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번역과 출판이다. 그가 번역 작업에 몰두하기 전만 해도 우리말로 된 교재가 없어 대학에서 일본, 미국의 교재를 사용해 강의를 할 수 밖에 없었다. 한만춘 교수는 1960년 번역 출판을 시작으로 , , , , ... ...
- 원자력으로 자동차를 움직인다?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4.22
- 생각으로 만든 최초의 자동차가 있었다. 바로 ‘페이턴트 모터바겐(Patent Motowagen)’. 우리말로 하면 ‘특허 자동차’라는 뜻이다. 사실 최초의 자동차는 1771년 프랑스 니톨라스 조셉 쿠노가 만든 증기기관 자동차이지만, 증기기관 자동차는 속도나 이동할 수 있는 거리에서 내연기관으로 제작된 ... ...
- 황사, 원자력발전으로 막는다?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4.09
- 글자의 순서만 바꾸어서 土雨라 불렀다. 황사는 일제시대부터 사용된 표현이니, 흙비가 우리말로는 더 적절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 이름에서 암시하듯, 황사의 입자는 무거운 모래가 아니라 미세한 흙과 공기 중의 먼지다. 그렇다고는 해도 조선시대까지 황사는 그다지 큰 문제는 ... ...
- [Tech&Design] ‘특별하게 이상한’ 자동차들KOITA l2015.02.02
- 사람들을 놀라게 만드는 것이었다. 이름 자체도 이탈리아 피에몬테 지역의 감탄사다. 우리말로 치면 '우와' 정도라고는 하나 그냥 우와는 아니고...차마 못적겠다. 어쨌든 격한 감정으로 내뱉는 비속어라고 보면 된다. 이전에 알려진 '카운텍'이라는 이름은 영어식으로 읽은 것. 일설에 따르면 이런 ... ...
- 착한 갑상샘암?! 그러나 암은 암이다KISTI l2014.10.27
- 사람 중에는 착한 사람이 있는가하면, 나쁜 사람도 있다. 그런데 암에도 착한 암이 있고, 나쁜 암이 있다고 한다. 암이면 다 나쁜 암이지, 무슨 착한 ... 같은 신체기관이다. 갑상선(甲狀腺)이라는 한자를 더 많이 쓰고 있지만, 최근에는 우리말로 바꿔 갑상샘이라고 사용하길 권장하고 있다. ... ...
- [과학향이 나는 지리여행] 제주 편, 용천 지리여행 KISTI l2014.05.29
- 가득 채워 넣었다. 제주 용천수는 제주의 기후와 지질, 지형이 만든 합작품이다. 용천은 우리말로 샘이라 하며 용천수는 샘물이라 부른다(사진 3). 제주 사람들은 용천수를 ‘산물’로 불렀다. 용천수는 지하수면이 땅과 맞닿은 곳에서 흘러나오는 물이다. 제주에서는 상수도가 보급되기 전까지 ... ...
- 솔잎이 없으면 송편이 아니다?KISTI l2013.09.12
- “엄마 말이 맞아. 송편의 송이 소나무 송(松)자인 건 알지? 편은 떡을 점잖게 표현한 우리말이고. 그러니까 풀어서 말하면 소나무떡이란 얘긴데, 솔잎을 안 쓰면 그건 송편이 아니라고. 우리 엄마 진짜 똑똑하다. 앙, 엄마 좋아!” “우쭈쭈, 우리 아범, 엄마가 좋아쪄유?” “응, 좋았쪄요! 또, 소나무 ... ...
- 천상에서 지상으로, 태양전지의 승리KOITA l2013.07.11
- 미국 언론조차 뱅가드에 ‘플롭닉(Flopnik)’이라는 별명을 붙여주며 조롱했다. 굳이 우리말로 옮기자면 스푸트니크에 빗댄 ‘자빠지니크’쯤 되는, 치욕스러운 별명이다. 해군과 뱅가드 프로젝트는 신뢰를 잃었고 로켓개발의 중심은 육군의 베르너 폰 브라운 팀으로 넘어갔다. 브라운은 1958년 1월 3 ... ...
- “생물자원 전쟁 이미 시작… 과학적 분류부터 응용까지 지원” 동아사이언스 l2010.07.06
- 힘을 쏟았다. 우선 정보가 확실한 1500여종에 대해서 정리해 이달 중 ‘생물자원총람’을 우리말과 영어로 제작해 출간할 예정이다. 김 관장은 “과거 환경부와 자원관 등이 대학교수 등을 통해 진행했던 사업을 정리해 우리나라 최초의 총람을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총람 뿐 아니라 개인과 대학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