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 [HISTORY] 우리나라 전기공학의 선구자, 한만춘KISTI l2015.11.14
- 일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번역과 출판이다. 그가 번역 작업에 몰두하기 전만 해도 우리말로 된 교재가 없어 대학에서 일본, 미국의 교재를 사용해 강의를 할 수 밖에 없었다. 한만춘 교수는 1960년 번역 출판을 시작으로 , , , , ... ...
- 원자력으로 자동차를 움직인다?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4.22
- 생각으로 만든 최초의 자동차가 있었다. 바로 ‘페이턴트 모터바겐(Patent Motowagen)’. 우리말로 하면 ‘특허 자동차’라는 뜻이다. 사실 최초의 자동차는 1771년 프랑스 니톨라스 조셉 쿠노가 만든 증기기관 자동차이지만, 증기기관 자동차는 속도나 이동할 수 있는 거리에서 내연기관으로 제작된 ... ...
- 황사, 원자력발전으로 막는다?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4.09
- 글자의 순서만 바꾸어서 土雨라 불렀다. 황사는 일제시대부터 사용된 표현이니, 흙비가 우리말로는 더 적절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 이름에서 암시하듯, 황사의 입자는 무거운 모래가 아니라 미세한 흙과 공기 중의 먼지다. 그렇다고는 해도 조선시대까지 황사는 그다지 큰 문제는 ... ...
- [Tech&Design] ‘특별하게 이상한’ 자동차들KOITA l2015.02.02
- 사람들을 놀라게 만드는 것이었다. 이름 자체도 이탈리아 피에몬테 지역의 감탄사다. 우리말로 치면 '우와' 정도라고는 하나 그냥 우와는 아니고...차마 못적겠다. 어쨌든 격한 감정으로 내뱉는 비속어라고 보면 된다. 이전에 알려진 '카운텍'이라는 이름은 영어식으로 읽은 것. 일설에 따르면 이런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 [가상 인터뷰] 국내 최초 물리탐사 연구선 ‘탐해 2호’ 퇴역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것을 발견하기도 했어. 덕분에 국제수로기구에 ‘독도해산, 탐해해산, 동해해산’이라는 우리말로 해저지명을 수록할 수 있었단다. 왜 더 활약하지 않고 바다를 떠나는 거야? 2023년 12월 8일을 마지막으로 공식적인 탐해 2호 활동은 끝났어. 너무 오래 바다를 누벼서 노후화되고 성능이 떨어졌기 ... ...
- 생물 이름 짓기 달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이름을 넣기도 하죠. 저는 우리나라를 알리기 위해 우리말을 사용하려고 노력합니다. 순우리말 중에서 라틴어로 바꿨을 때 어색하지 않고 발음하기 쉬운 것을 찾았어요. 예를 들어, 한나라(Hannara), 온누리(Onnuria), 미리내(mirinae) 등이 있죠. 지리산, 설악산, 소백산 등 대부분의 산의 이름이 제가 발표한 ... ...
- [꿀꺽! 수학 한 입] 딱 들어맞게! 테셀레이션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3호
- 궁전이 규칙적인 무늬로 유명해진 데에는 또 다른 이유가 있어. 바로 ‘테셀레 이션’, 우리말로는 ‘쪽매맞춤’ 덕분이야. 같은 모양의 조각들로 공간을 겹치지 않게 빈 틈없이 채우는 것을 테셀레이션이라고 하지. 우리가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벌집이 나 보도블록에서도 찾아볼 수 있어 ... ...
- [광고] 출간 20주년 기념 특별판으로 만나다! 마법천자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1월 11일, 출간 20주년을 맞는 은 최근 2200만 부 누적 판매 기록을 세웠습니다. 우리말의 약 80%를 차지하는 한자를 판타지, 마법과 모험이라는 스토리텔링으로 놀이하듯 배울 수 있던 것이 인기의 비결이죠. 의 놀라운 기록을 만나 볼까요? 특별판 더 재밌게 즐기는 법! 2 ... ...
d라이브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