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아버지"(으)로 총 20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헬렌 버먼, 2024 노벨화학상 숨은 공로자2024.11.13
- 취미 연구 프로젝트 함께 해 1943년 미국 시카고에서 태어나 뉴욕에서 자란 버먼은 의사인 아버지의 성실함과 지역사회 활동에 적극적이었던 어머니의 활달함을 물려받은 엄친딸이다. 버먼은 바너드대 화학과를 다니며 결정학에 관심을 가져 1964 당시 미국 결정학의 메카인 피츠버그대 화학과 조지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뢴트겐의 X선 발견보다 앞서 발견한 과학자들도 있다2024.07.28
- 물려받는 대신 공부를 하겠다는 이야기를 꺼냈다. 뢴트겐이 자신의 뜻과 다름을 몰랐던 아버지는 아들의 이야기에 크게 놀랐지만 진지한 아들의 태도를 받아들여 공부를 지원하기로 했다. 우트레히트(Utrecht) 공업학교에 들어간 뢴트겐은 열심히 공부를 했으나 자신의 지적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생활습관이 병을 만든다 2024.06.30
- 한다는 점이다. ● 건강을 지키기 위한 생활습관의학의 중요성 약 2400년 전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는 "건강을 유지하려면 음식을 너무 많이 먹지 않고 수고를 너무 적게 피해야 한다"고 했다. 중국과 그리스 철학자들이 '중용'과 '적당히'를 강조한 것은 개인의 건강 유지에도 중요하다. 현대에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통증 줄이는 마취제 250년 전부터 나왔다2024.04.28
- 개인의 문제일 뿐 아니라 사회환경의 문제일 수 있음을 보여 줌으로써 ‘공중보건학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지만 이보다 앞선 1853년에 여덟 번째 자녀인 레오폴드 왕자를 춘산할 때 클로로포름을 사용한 바 있다. 그는 일정한 간격으로 여왕이 클로로포름 냄새를 맡게 함으로써 무통분만에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2024.03.31
- 법(1561)', '수술에 관한 논문(1564)'을 비롯하여 여러 저서를 남겼다. 그는 외과학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가지게 된 큰 이유중 하나는 수술에서 다루는 작업을 다섯 가지로 분리한 것이다. ① 비정상적인 것 제거하기, ② 탈구된 것 복원하기, ③ 뭉친 것 분리하기, ④ 분리된 것 통합하기, ⑤ 자연적으로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2024.03.03
- 처음 알아냈고, 1882년에는 결핵균, 1883년에는 콜레라균을 발견함으로써 “세균학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가지게 되었다. 헝가리 제멜바이스대 회의실에 전시된 산과 의학자 이그나츠 제멜바이스의 초상화. 이 회의실은 제멜바이스대가 가장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곳이다. 이곳에서 한번 결정된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2024.02.04
- 같이 윤리적 내용을 담았다는 것이 그가 시대를 앞서간 학자라는 평가를 받고 ‘의학의 아버지’라는 별명에 걸맞게 그가 남긴 훌륭한 업적이라 할 수 있다. 버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히포크라테스 선서는 길이가 약 2,000자 정도에 이른다. 따라서 역삭적으로 의과대학 졸업식에서 졸업생들이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대 백내장 수술로 시작된 안과 수술2023.12.03
- 액체가 눈에서 뇌로 흐르는 관을 통해 눈이 뇌에 연결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의 제자들이 쓴 『히포크라테스 전집』에는 눈이 두꺼운 외부 층, 얇은 중간 층, 가장 얇고 손상되기 쉬운 내부 층 등 세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또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용 성형수술, 전쟁터에서 시작됐다2023.11.05
- 세계대전 중에 심각한 안면 부상을 입은 군인들을 잘 치료함으로써 “현대 성형외과학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가진 길리스(Harold Gillies)는 다양한 성형수술법을 개발했다. 이 과정에서 길리스는 다른 선구적인 의사들과 협력하여 안면 재건을 전담하는 전문 부서와 병원을 설립했다. 길리스는 피부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도 혁신이 필요하다2023.10.11
- 불구하고 노벨상을 받지 못한 과학자가 적지 않다. 일본은 지금도 ‘일본 세균학의 아버지’로 알려진 사토시 기타사토가 노벨상을 받지 못한 것을 아쉽게 생각하고 있다. 여성 과학자에 대한 성차별 문제도 더 이상 용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DNA 이중나선 구조의 발견에 결정적인 역할을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