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빠
부친
아버님
아바
조상
애비
아비
스페셜
"
아버지
"(으)로 총 209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이 발전할수록 질병도 발전한다
2023.10.08
흔히 통용된다는 생각을 수시로 가지곤 한다. 고대 그리스에서 활약한 “의학의
아버지
” 히포크라테스는 사람의 몸 내부 또는 내부와 외부의 조화를 강조했다. 이러한 사상은 근대 이후까지도 전해졌고 현대의학에서도 영양소를 섭취할 때 부족하며 영양실조로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지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펜하이머'와 '반중력'
2023.10.04
않았지만, 살인 미수 사건은 대학 당국에 알려졌다. 그러나 마침 그곳에 머물렀던 부유한
아버지
의 로비 덕분에 형사 처벌과 퇴학을 면했다. 영화 ‘오펜하이머’도 이 장면을 각색해 그리고 있다. 이듬해 양자역학 논문을 읽고 흥미를 느낀 오펜하이머는 여름에 케임브리지에서 학위를 받게 될 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육류 알레르기가 드문 이유
2023.08.23
발견하고
아버지
를 쳐다본 뒤 장면은 병원 응급실로 바뀐다. 어느 날 불쑥 나타난
아버지
에게 딸이 서서히 마음을 여는 매개로 이용한 것 같다. 드라마에서처럼 음식물 알레르기로 얼굴이 퉁퉁 붓거나 온몸에 두드러기가 나기도 하지만 드물게는 기도가 부어 호흡곤란으로 죽을 수도 있다. 먹어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과 위생의 중요성
2023.08.22
알아낸 스노의 연구는 공중보건학의 중요성을 잘 보여 주었으므로 그는 “공중보건학의
아버지
”라는 별명을 가지게 되었다. 가장 많은 사람들을 감염시킨 브로드가의 펌프가 봉쇄되면서 콜레라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 스노는 물에 들어 있는 콜레라균이 콜레라를 전파한다는 사실은 알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국도 첫발 뗀 '천연수소' 탐사...땅속 무한에너지
2023.06.28
시작했고 이 현상을 알린 과거 보고서나 논문들이 재조명됐다. 예를 들어 주기율표의
아버지
인 드미트리 멘델레예프는 1888년 우크라이나의 한 석탄 광산에서 수소가 새어 나온다는 보고서를 작성했다. 그 뒤에도 구소련에서는 수소 발생에 대해 종종 보고하곤 했다. 한편 1970년대 심해 중앙해령(해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라거 맥주 시대를 연 결정적 장면들
2023.05.17
효모 균주를 접종해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고 유통기간을 늘릴 수 있게 된 것이다.
아버지
가 소규모 양조장을 운영하는 크리스티안 야콥센은 양조의 과학을 배우기 위해 독일 뮌헨으로 유학을 떠났고 1845년 효모를 주석 통에 담아 코펜하겐으로 돌아왔다. 그는 이 효모를 써서 1847년부터 라거맥주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통조림의 탄생과 나폴레옹의 전쟁(1)
2023.05.16
특허를 구입하여 통조림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약 반세기가 지난 후 훗날 ‘미생물학의
아버지
’라는 별명을 가지게 되는 파스퇴르(Louis Pasteur)는 음식이 부패하는 이유가 세균이 자라기 때문임을 알아냈다. 그는 우유를 멸균할 때 건더기가 생기지 않으려면 끓이기보다 70℃ 정도의 낮은 온도로 ... ...
[오늘과학] 남성 육아휴직, 가족 구성원 성평등 의식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27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고 말했다. 분석에 따르면 육아휴직을 길게 쓴
아버지
가 있는 가정일수록 구성원들의 성평등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족 구성원들은 친여성 정책에 대한 지지가 증가했다. 연구팀은 “남성의 육아휴직 기간을 늘리는 것과 같은 진보적 사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개의 머리를 다른 개에 이식하다
2023.04.25
옮겨 붙인 데미코프가 그 주인공이다. 1916년 농민의 아들로 태어난 데미코프는 3세 때
아버지
가 사망을 했다. 그는 어려서부터 동물과 가까이에서 지내고, 같은 나라 의학자인 파블로프(Ivan Petrovich Pavlov, 1849~1936, 개를 이용한 조건반사 실험을 토대로 1905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의 실험에서 큰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두창'과 잉카 문명의 멸망...분분한 해석과 교훈
2023.04.11
들은 황제는 쿠스코로 방향을 돌렸으나 돌아가는 길에 두창에 걸리고 말았다. “내
아버지
태양이 부르는 곳으로 간다. 얼른 가서 그 옆에서 쉬어야겠다”는 말을 남기고 세상을 떠난 것은 1527년경이었다. 황태자인 니난 쿠요치도 황제가 세상을 떠난 시기 전후에 두창으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