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가미구멍
구멍
구녕
빵꾸
스페셜
"
아가미
"(으)로 총 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귀상어가 추운 바다에서 체온을 유지하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5.14
연관된 물이나 산소를 흡수하는 능력을 차단한다. 연구팀은 “귀상어는
아가미
기관에서 열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라며 “이러한 전략은 백상아리나 참다랑어의 추위 생존 전략과는 또 다르다”라고 말했다 ... ...
행동대장 상어는 잠을 잘까…결론은 '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11
평평하게 몸을 편 자세를 취하는 경우가 많았다. 보통 상어는 산소가 든 물을 입과
아가미
위로 밀어내기 위해 끊임없이 수영해야 한다. 그러나 드래프트상어는 얼굴 근육이 펌프 역할을 해 오랜 시간 움직이지 않고도 호흡이 가능했다. 상어의 수면 전략을 연구하면 척추동물의 수면 능력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이 제2의 폐가 될 수 있을까
2021.05.25
보면서 대안이 없을까 고민하며 문헌을 찾아봤다. 이 과정에서 몇몇 수중 동물들이
아가미
호흡이나 피부호흡 말고도 장호흡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저산소 상태에서 보조 수단으로 장호흡을 해 살아남는다. 대표적인 예가 미꾸리로, 얕은 물에 살다 보니 가뭄 등으로 물이 말라 산소가 ... ...
독도 바다에서 비늘베도라치 미기록종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04.05
혹돔굴 인근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 한국에 서식하는 기존 비늘베도라치와 다르게
아가미
덮개 위편에 검은 점이 있는 특징이 있다. 현장에서 채집된 비늘베도라치는 종 판별 절차를 거쳐 한국에 보고되지 않은 한국미기록종으로 판명됐다. 분석 결과는 한국어류학회지 최신호에 실렸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살아있는 화석 폐어와 실러캔스, 엇갈린 운명
2021.01.26
공기 모두에 적응한 생태를 보인다. 심지어 호주폐어를 제외한 나머지 5종은 자라면서
아가미
가 퇴화해 전적으로 폐호흡에 의존하고 있다. 현존하는 폐어 6종은 모두 민물고기다. 이 가운데 가장 원시적인 특성을 지닌 호주폐어를 길러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문득 들어 검색해보니 정말 팔고 ... ...
[인류와 질병]점점 북적이는 치과의 비밀 '치아의 진화'
2020.01.25
아마 처음에는
아가미
로 더 많은 물이 지나가도록 하려는 목적이었을 것이다.
아가미
를 지나는 물의 양을 늘리려면 입을 크게 벌려야 하기 때문이다. 턱은 점점 단단해졌고, 원시적인 돌기가 생겨났다. 입을 크게 벌려 깨물 수 있게 된 것이다. 치아를 갖춘 유악어류는 데본기의 지배자가 되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외에도 인슐린이 다량으로 존재한다는 걸 발견했다. 인슐린이 물속으로 퍼지면 물고기
아가미
사이로 들어가 혈관으로 흡수된다. 그 결과 물고기는 혈당 수치가 급격히 떨어지면서 저혈당쇼크를 일으켜 동작이 느려지고 정신이 혼미해져 청자고둥에게 잡아먹힌다. 코누스 지오그라푸스의 ... ...
미세플라스틱의 거대한 위협
2016.10.04
하지만 미세플라스틱의 경우 해양동물들이 있는 줄도 모르고 섭취할 수 있다. 또
아가미
로 호흡하는 과정에서 부유하는 미세플라스틱이 딸려오기도 한다. 그리고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작은 물고기는 미세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해 능동적으로 찾아 먹는 것으로 보인다. 플라스틱 쓰레기의 분포를 ... ...
[영화 ‘하트 오브 더 씨’를 보고] 고래 잠수 능력의 비밀은…
2015.12.14
포유류의 경우 사지가, 펭귄의 경우 날개가 지느러미 형태로 바뀌었다. 그럼에도 물고기
아가미
에 해당하는 기관을 만들지는 못했기 때문에 물에 녹아 있는 산소를 이용하지는 못했다. 결국 숨을 참는 시간을 늘리는 쪽으로 진화하게 됐다. 최대잠수시간(분, 세로축)과 몸무게(kg, 가로축), 근육의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