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가미구멍
구멍
구녕
빵꾸
뉴스
'생선
아가미
' 유전자가 사람 귀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25.03.08
그동안 포유류의 외이 진화 과정은 규명하기가 어려웠다. 크럼프 교수는 논문에서 "
아가미
에서 찾은 진화적 연결고리는 포유류 귀의 진화에 새로운 장을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3월호, [과학뉴스] '생선
아가미
' 유전자가 사람 귀 만들었다? ... ...
[동물do감] 플랑크톤 주식 삼던 청어, 동족도 잡아 먹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7
청어의
아가미
는 플랑크톤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지만 다른 물고기를 잡아먹는 이 청어는
아가미
가 독특한 방식으로 변화했다는 것이 연구팀의 분석이다. 연구팀은 다른 물고기를 잡아먹는 청어가 등장한 것은 발트해의 생물종 서식 환경이 변화했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발트해는 마지막 ... ...
[동물do감] '물방울 산소호흡기'로 포식자 피해 잠수하는 도마뱀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사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이 공기방울이 마치 물고기의
아가미
처럼 기능하는지 자세히 검증할 계획이다. 물속에서 숨을 쉬기 위해 기포를 생성하는 곤충들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지 살필 예정이다. 연구를 이끈 스워크 교수는 "그동안 곤충이 아닌 척추동물이 ... ...
물고기에게 잡아먹혀도
아가미
로 탈출하는 뱀장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9.10
아가미
로 탈출하는 것을 보고 정말 놀랐다"고 말했다. 추가 연구 결과 뱀장어들이 언제나
아가미
를 통해 탈출을 시도하는 것은 아니었다. 일부 뱀장어는 탈출구를 찾기 위해 뱃속에서 빙빙 돌기도 했다. 유키 교수는 "포식자 소화관 내에서 먹이의 행동 패턴과 탈출 과정을 관찰한 최초의 연구"라고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표지로 읽는 과학] 귀상어가 추운 바다에서 체온을 유지하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5.14
연관된 물이나 산소를 흡수하는 능력을 차단한다. 연구팀은 “귀상어는
아가미
기관에서 열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라며 “이러한 전략은 백상아리나 참다랑어의 추위 생존 전략과는 또 다르다”라고 말했다 ... ...
행동대장 상어는 잠을 잘까…결론은 '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11
평평하게 몸을 편 자세를 취하는 경우가 많았다. 보통 상어는 산소가 든 물을 입과
아가미
위로 밀어내기 위해 끊임없이 수영해야 한다. 그러나 드래프트상어는 얼굴 근육이 펌프 역할을 해 오랜 시간 움직이지 않고도 호흡이 가능했다. 상어의 수면 전략을 연구하면 척추동물의 수면 능력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이 제2의 폐가 될 수 있을까
2021.05.25
보면서 대안이 없을까 고민하며 문헌을 찾아봤다. 이 과정에서 몇몇 수중 동물들이
아가미
호흡이나 피부호흡 말고도 장호흡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저산소 상태에서 보조 수단으로 장호흡을 해 살아남는다. 대표적인 예가 미꾸리로, 얕은 물에 살다 보니 가뭄 등으로 물이 말라 산소가 ... ...
독도 바다에서 비늘베도라치 미기록종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04.05
혹돔굴 인근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 한국에 서식하는 기존 비늘베도라치와 다르게
아가미
덮개 위편에 검은 점이 있는 특징이 있다. 현장에서 채집된 비늘베도라치는 종 판별 절차를 거쳐 한국에 보고되지 않은 한국미기록종으로 판명됐다. 분석 결과는 한국어류학회지 최신호에 실렸다.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헷갈린 과학] 하나는 양서류? 하나는 파충류? 도룡뇽 vs 도마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도룡뇽 도롱뇽은 개구리처럼 물과 땅을 오가며 사는 양서류예요. 어릴 때는
아가미
로 호흡하며 물속에 살다가, 커서는 폐와 피부로 호흡하며 물과 땅을 오가며 살지요. 도롱뇽은 성체가 되어도 폐가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피부로도 호흡합니다. 이때 피부에 닿은 물속의 산소를 빨아들이며 숨을 ...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노란 유채꽃을 닮았다! 꾀꼬리버섯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8호
주름살처럼 보이지만, 살짝 다른 모습입니다. 주름버섯류의 자실층인 주름살은 생선의
아가미
처럼 여러 날이 튀어나온 듯한 모습이지만, 꾀꼬리버섯은 주름이 아닌 접혀 있는 듯한 무늬를 갖고 있기 때문이에요. 이런 뭉툭한 주름 무늬의 자실층을 가진 버섯들을 꾀꼬리버섯류라고 부릅니다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깃대종/삼투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6호
수분이 빠져나가게 됩니다. 탈수 현상을 막기 위해 바닷물고기는 짠 바닷물을 마시고,
아가미
를 통해 염분을 적절하게 배출합니다. 그 결과 체내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지요 ... ...
[가상 인터뷰] 반세기 동안 수수께끼였던 ‘툴리몬스터’는 무척추동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0호
화석 153개를 3D로 스캔해 자세히 들여다봤어요. 그 결과,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
아가미
주머니로 여긴 부분이 몸에서부터 이어진 ‘분절 구조’의 한 부분이라고 분석했어요. 일본 국립과학박물관 미카미 도모유키 연구원은 “어떤 척추동물도 분절 구조를 갖고 있지 않다”며 “무척추동물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과천 과학관에 있는 파충류 4형제
기사
l
20250303
사료 뒤돌고 있는 우파루파 흑흑... 학명: Ambystoma mexicanum 우파루파, 액솔로틀이라고도 불리는 도룡뇽류에요. 성체가 되어도
아가미
가 퇴화하지 않고 남아있는것이 특징이에요. 재생력이 뛰어나서 팔다리가 잘려도 시간이 지나면 재생이 가능해요 뾰족한 가시가 있는 게리 스파니테일 리자드 학명: Uromastyx ...
신기한 생물 5가지
기사
l
20250119
중에 가장 큰 것은 약 3~4M 됩니다. 2. 칠성장어 출처: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4678416 이 칠성장어는 일곱 개의
아가미
구멍이 있어서 이름이 칠성장어 입니다. 실제로 이 장어를 먹으면 비타민A가 풍부해 야맹성(밤에 잘 않보이는 증상)에 좋습니다. ...
개복치 정말로 잘 죽을까요?
기사
l
20240609
경골어류 중에서 가장 큰 물고기입니다(나무위키, n.d.). 상어, 가오리 같은 연골어류와 달리 경골어류들은 뼈가 단단하고 비늘,
아가미
뚜껑, 부레를 갖지만(이회은, 2022) 개복치는 부레가 없습니다(나무위키, n.d.). 개복치는 최대 길이 4m, 무게 2t까지 크고 피부가 매우 질겨서 다른 생물에게 잡아먹히지 않습니다(나무위키, n.d. ...
친환경과학자 - 240519 - 1
탐사기록
l
20240519
이른 아침 글램핑장 옆 개울에서 개구리 올챙이와 도롱뇽 올챙이를 발견했습니다.주변 돌을 살펴보았지만 아쉽게도 성체 도롱뇽은 찾지 못했습니다.마지막 사진은 도롱뇽 올챙이와 함께 있던 개구리 올챙이 사진입니다.도롱뇽 올챙이는
아가미
가 아홀로틀(우파루파)처럼 돌출되어있습니다. ...
넓적이를찾아서 - 240421 - 4
탐사기록
l
20240421
안산 자락길에서 채집한 도롱뇽 유생입니다.빨라서 채집하기 어려웠고 돌출된
아가미
가 눈에 띄었습니다.약 3cm로 추정되고 도롱뇽 알이 많은 것을 보니 서식지 같습니다.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