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균
병원균
균류
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병원체
스페셜
"
세균
"(으)로 총 30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운명
2024.08.21
저명한 위생학자의 틀린 판단이 화제가 됐겠지만 코흐의 명성이 워낙 높아 콜레라가
세균
성 전염병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시기에 별 영향을 주지는 않았을 것이다. 반면 마셜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배양액을 마시고도 멀쩡했다면 연구는 갈피를 잃고 인과관계는 한참 뒤에 어쩌면 다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맥락이다. 우드-융달 경로가 원핵생물의 두 영역인 박테리아(
세균
)와 아르케아(고
세균
) 모두에서 발견된다는 것도 강력한 증거다. 반면 나머지 5가지 이산화탄소 고정 회로 가운데 3가지는 박테리아에만 존재하고(예를 들어 캘빈회로) 2가지는 아르케아에만 존재한다. 5가지는 원핵생물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 생존기능 '질소고정', 해양 조류에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전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식물 체내에서 서식하면서 질소고정을 수행하는
세균
이 진핵세포에 통합되는 진화가 일어났다고 추정했다. 연구팀은 연구팀은 "진핵세포로 구성된 생물체인 진핵생물이 질소고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처음으로 확인했다"며 "이번 연구는 생태계가 마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
2024.03.03
얻었다. 그는 이 결과를 1867년에 논문으로 발표했다. 그는 수술로 인해 생긴 상처에서
세균
에 의한 이차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석탄산에 적신 붕대를 감으면 된다고 주장했다. 그의 논문에 동의한 외국 의사들은 이 방법을 받아들이기도 했지만 영국에서는 큰 반대에 부딪혔다. 리스터는 제멜바이스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광우병' 단백질 '프리온', 바이러스로 오인된 이유
2024.02.17
있던 프리온이 내 피 속에 들어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 때는 이미 광우병이
세균
이나 바이러스같은 미생물 병원체가 아니라 단백질에 의해 감염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에 이명박 정부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 FTA)을 체결하면서 미국산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사람과 같은 진핵세포에서는 아무 효과를 지니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닥티노마이신은
세균
이든 암세포든 DNA에 닥티노마이신이 끼어 들어가면 생존이 어렵게 하므로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를 가리지 않고 같은 효과를 보여 주고 있다. 1964년에 항암제로 개발된 지도부딘은 1987년부터 항바이러스제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낳았다. 1945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3명이 발견한 페니실린은 곰팡이로부터
세균
에 의한 감염병을 치료할 수 있는 물질을 발견할 수 있음을 보여 준 첫 예에 해당한다. 그 후로 다양한 종류의 곰팡이로부터 다양한 항생제가 발견되어 인류를 감염병의 위험에서 구해줄 수 있게 되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미용 성형수술, 전쟁터에서 시작됐다
2023.11.05
위해 오늘날에는 마취제가 이용되고 있다. 수술 후에 몸에 상처가 생겨 병을 일으키는
세균
이나 바이러스 같은 미생물이 몸에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무균처리를 한다. 이런 일은 19세기 중반 이후에야 겨우 해결할 수 있었으니 그 이전에는 수술을 하는 경우 엄청난 통증을 참지 못한 이들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의 '에이즈' 치료제는 폐기처분된 항암제
2023.10.22
세포가 증식하여 수가 늘어나야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몸 속에서 암세포가 생겨나건
세균
이나 바이러스가 침입하여 감염이 되건 몸에 해가 되려면 세포 수가 늘어나야 하며 세포수가 늘어나지 않으면 그 상태에서 더 이상 진행이 되지 않으므로 인체에는 아무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아기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도 혁신이 필요하다
2023.10.11
업적에도 불구하고 노벨상을 받지 못한 과학자가 적지 않다. 일본은 지금도 ‘일본
세균
학의 아버지’로 알려진 사토시 기타사토가 노벨상을 받지 못한 것을 아쉽게 생각하고 있다. 여성 과학자에 대한 성차별 문제도 더 이상 용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DNA 이중나선 구조의 발견에 결정적인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