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균
병원균
균류
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병원체
스페셜
"
세균
"(으)로 총 300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나란히 의대 입학...수학 상위 1%의 비밀무기는
수학동아
l
2023.04.22
" Q. 앞으로 어떤 의사가 되고 싶어요? 권태영 "생명과학을 공부하다 보니 바이러스,
세균
, 호르몬 같은 주제에 관심이 생겼어요. 그래서 환자를 열심히 치료하면서 관심 주제를 지속적으로 탐구하는 ‘연구하는 의사’가 되고 싶어요." 김동우 "저는 뇌, 신경 쪽에 관심이 많아요. 그래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19세기 산모 사망률 낮춘 의학자, 정신병원에 수용된 사연
2023.03.28
분만 후에 발생하는 산욕열(산모가 분만할 때 생긴 상처를 통해 감염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
이 침입하여 발생하는 열성 질환)은 산모를 돌보는 의사들이 손을 씻으면 예방할 수 있다고 주장한 제멜바이스(Ignaz Philipp Semmelweis)는 옳은 주장을 했지만 세상을 떠날 때까지 인정을 받지 못했을 뿐 아니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항생제 내성균은
세균
이 진화하는 증거
2023.02.28
것이다. 이는
세균
입장에서 보면 진화과정에서 가지게 된
세균
의 생존원리이기도 하다.
세균
을 포함한 미생물은 인류가 함께 살아가야 할 동반자라는 사실을 깨닫고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감염병 해결을 위한 좋은 방법이다. ※ 참고문헌 1. 폴 이월드. 전염성 질병의 진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사소한 아이디어가 이끈 혁신
2023.02.14
의해 항생제 내성을 가진
세균
이 증가하는 원리다. 플라즈미드 DNA가 변형되면
세균
의 형질(형태와 성질)이 변하므로 이를 형질전환(transformation)이라 한다. 유전자재조합으로 인해 변형된 플라즈미드 DNA를 대장균에 넣어주는 경우 플라즈미드 DNA를 받은 대장균은 그 전과 형질이 바뀌게 되므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수출용 라면 속 유해물질...허용기준은 제한속도와 같아
2023.02.01
물질이다. 에틸렌 옥사이드는 가공식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식품재료에 묻어있는
세균
·바이러스·곰팡이 등의 살균소독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에틸렌 옥사이드는 사람에게 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된 ‘1군 발암물질’이기 때문에 거의 모든 국가에서 가공식품에서의 잔류 허용기준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시대가 질병을 만든다
2023.01.31
주장하면서 이를 증명할 수 있는 4원칙을 정립했다. 이 둘의 업적에 의해 세포병리학과
세균
학이 크게 발전했다. 의학이 한층 업그레이드되기 위해서는 새로운 발견에 도움이 되는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 한 시대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지배하고 있는 이론적 틀이나 개념의 집합체인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
2023.01.17
분들은 열심히 치료함으로써 위암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다. 이런 내용은 모두 위에서
세균
이 살 수 없을 것이라는 고정관념에 구애받지 않고 연구를 진행하여 새로운 발견을 한 마샬과 워렌의 공로에 의한 것이다. ※참고문헌 1. Mark Kidd, Irvin M. Modlin. A Century of Helicobacter pylori; Paradigms Lost – Paradigms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
2023.01.10
두 번째로 맞춘 '새'가 바로 이산화탄소 절감이다. 물론 광합성을 하는 미세조류(남
세균
)로 PHA를 만드는 시스템도 개발됐지만, 아직은 효율이 낮다. 현재 상용화된 시스템에 쓰이는 미생물들은 포도당 같은 먹이를 PHA로 바꾸므로 그 자체로 이산화탄소를 소모하지는 않는다. 그런데 포도당 대신 ... ...
[과기원은 지금] 이재석 GIST 교수팀 항생제 내성 극복 항생물질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21
연구팀은 항생제 내성을 극복할 항생물질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우리 몸 안에서
세균
과 맞서 싸우는 단백질인 항균 펩타이드의 구조와 기능을 모방한 신규 고분자 물질을 개발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앙게 반테케미’에 12일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백승렬 울산과학기술원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새옹지마...에이즈와 HIV감염, 항암제
2022.12.06
한꺼번에 사용하여 바이러스가 내성을 가지기 전에 빨리 퇴치하는 것이 칵테일요법이다.
세균
에 의해 발생하는 결핵 등 여러 질병에서 칵테일요법이 활용되고 있다. ○ HIV 치료약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항암제 최초의 HIV 치료제는 백혈병 치료제 지도부딘(zidovudine, azidothymidine)이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