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갈라내기
구분
구별
스페셜
"
선별
"(으)로 총 93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비공개 특허 선점 가능 'RID 멤버십 프로그램' 도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4.24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수백만 개의 가상 구조 중 실제로 합성이 가능한 구조를
선별
할 수 있도록 화학자의 직관을 수치화해 적용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달 24일 출판된국제학술지 'JACS Au'의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 KAIST는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업 관련 첨단 과학기술 ... ...
[과기원NOW] KAIST, ‘자연의 구도자’ 박광진 교수 작품기증
동아사이언스
l
2025.03.18
박광진 서울대 명예교수. KAIST 제공 ■ KAIST는 18일 한국 구상회화의 거장으로 불리는 박광진 서울교육대 명예교수의 미술작품 기증 협약식을 연다고 밝혔다. '자연의 구 ... 이번에 평생 제작해온 작품 중 1959년부터 2023년까지의 인물화, 정물화, 풍경화 등 102점을
선별
해 기증하기로 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짓기 시작하면서 농부들이 재배하는 야생 벼에서 작물에 적합한 특성을 지닌 개체를
선별
하는 데 오히려 도움을 줬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신석기 문화가 벼 작물화 촉진 이 과정에서 신석기 문화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1만 1700년 전 빙하기가 끝나고 홀로세가 시작하면서 양쯔강 하류 ... ...
[표지로 읽는 과학] '친구 추천'으로 정보 효과적 전파
동아사이언스
l
2024.05.05
연구팀은 네트워크의 모든 개인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지 않고도 최고의 전달자를
선별
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우정 추천'이라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고안했다. '나의 친구는 나보다 더 많은 친구를 가지고 있다'를 수학적으로 증명한 우정 역설(Friendship Paradox)을 토대로 한 알고리즘이다. 연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렌지 없는 오렌지주스 나올까
2024.03.06
됨에 따라 교배로 얻은 씨앗을 많이 뿌려 어린 식물체 상태에서 DNA 검사로 ‘될 놈’을
선별
하면 육종에 걸리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논문에 따르면 현재 미국 법은 오렌지 이외의 감귤류 과즙을 10% 넘게 섞으면 ‘오렌지 주스’라고 표시할 수 없다고 한다. 연구자들은 과일주스의 ... ...
[과기원NOW] KAIST, 인공지능 챗봇 이미지 데이터 훈련 비용 최소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02
기술은 레이블 오류를 스스로 수정하는 최신 재레이블링 학습법을 위해 핵심 집합
선별
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심층 학습 훈련 비용을 최소화한다. 연구팀은 "레이블 오류가 포함된 현실적인 훈련 데이터를 지원하므로 실용성이 매우 높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12월 국제학술행사 ... ...
[일상 속 뇌과학] 보잘것 없는 생물도 배우고 기억할까
2023.10.27
감각모를 건드릴 수 있는 모든 자극들에 입을 닫는 것이 아니라 덫에 들어온 곤충들을
선별
적으로 구분하여 입 형태의 덫 구조를 닫을 수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덫 구조 안쪽에 감각모들이 단순히 건드려지는 것이 아니라 2개 이상 건드려지거나 각 감각모가 일정 시간동안 충분히 건드려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사람들의 주의를 끈 것으로 보인다. 그 뒤 재배 과정에서 뿌리가 더 굵은 쪽으로
선별
했을 것이다. 여기에 결정적인 기여한 유전자는 CHE, TCP23, TCP7으로 작물 게놈 대다수가 변이형이다. 대략 6~10세기에 이런 변이를 지닌 개체가 선택되면서 작물 당근이 나왔을 것이다. 게놈 비교 분석에 따르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이 소중한만큼 남도 소중하다
2023.07.22
끌고 들어와서 괴롭힘을 당해도 손쉽게 대항하기 어려운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선별
해서 뒤탈이 없을 것 같은 피해자에게 훨씬 악랄한 괴롭힘을 선사한다. 그러다 보니 피해자는 억울함을 호소하지도 못하고 시름시름 앓다가 주어진 부당함에 대항할 방법이 없다는 무기력에 빠져들곤 한다.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것을 시사한다. 당연히 인간이 원하는 ‘머리가 좋다’는 것의 의미는 원하는 정보들을
선별
적으로 잘 저장하고 오래 유지하는 것이므로 두기 생쥐의 연구 결과로는 제대로 된 기억증강기술이 개발되었다고 보기 힘들다. 따라서 인지증강에 관심을 갖고 있는 후속 연구자들은 ‘두기 생쥐’의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