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깃
날개
뉴스
"
지느러미
"(으)로 총 144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생물 ‘넥토카리디드’ 50년 정체 논란에 마침표
동아사이언스
l
2025.07.31
연구에 참여한 이미리내 극지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은 넥토카리디드의 신경절에서 양쪽
지느러미
줄기로 이어지는 신경 섬유까지 시각화하는 데 성공했다. 세계적으로도 전례가 드문 사례다. 현재 EPMA 기반 분석 기술은 여러 해외 연구기관들이 벤치마킹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극지연구소가 개발한 ... ...
원래는 정자 배출구였다?…다시 쓰는 항문의 기원
과학동아
l
2025.07.12
더 섬세하고 다양한 역할을 갖도록 진화한 우리의 손도 좋은 예시입니다. 초기 어류의
지느러미
를 보고 누가 오늘날 온갖 정밀한 작업을 하는 인간의 손을 예상했겠어요. 제노 투르벨라 보키의 정자 분비선도 그렇습니다. 무궁무진한 항문의 가능성을 담은 원시 구조인 셈입니다. 이 연구는 아직 ... ...
"쉬는 거 아닙니다"…물속에서 호버링하는 물고기, 에너지 2배 사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Faucon 제공 물고기의 형태와 가슴
지느러미
의 위치도 호버링 효율성에 영향을 미쳤다. 가슴
지느러미
가 몸 뒤쪽에 달려 있으면 일반적으로 호버링에 에너지를 더 적게 소모했다. 연구팀은 체형에 따라 빠른 속도와 호버링 효율이 반비례한다고 분석했다. 일반적으로 물고기는 몸이 길고 얇을수록 고속 ... ...
5억년 전 눈 3개 달린 포식자 '모수라'…"게·투구게 친척"
동아사이언스
l
2025.05.14
설명했다. 모수라는 몸길이 약 6.4cm로 비교적 작다. 물속에서 날개처럼 펼쳐지는 넓은
지느러미
를 이용해 유영하며 먹이를 사냥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먹잇감을 포획할 때는 가시가 달린 앞발과 이빨로 덮인 원형 입을 사용했다. 연구진은 모수라가 다른 대형 포식자인 '아노말로카리스'나 ... ...
7m까지 자라는 대왕 오징어, 심해서 최초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뉴질랜드 오클랜드공대 생물학과 교수는 15일 뉴욕타임스를 통해 “어린 남극하트
지느러미
오징어가 발견된 곳은 수심 600미터 정도”라며 “성체가 거주하는 곳은 더 깊은 바다”라고 설명했다. 새끼 오징어는 투명한 몸체를 가지고 있어 포식자에게 잘 감지되지 않으며 이후 불투명한 색을 갖는 ... ...
전지구적 해양 생태계 지키는 고래 배설물
동아사이언스
l
2025.03.10
대부분 오줌의 형태로 열대 지방에 전달되며 고래 피부나 사체, 태반도 포함된다.
지느러미
고래라는 종은 하루에 약 950리터의 오줌을 배출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인간은 하루에 1.8리터 미만의 오줌을 배출한다. 고래가 오줌을 배출하는 장면. 고래의 배설물이 바닷속 영양분을 수천 킬로미터 ... ...
[표지로 읽는 과학] 유전체 시퀀싱으로 정리한 연체동물 계통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3.02
실렸다. 태평양과 인도양의 따뜻한 바다에 사는 큰
지느러미
산호초 오징어는 타원형의
지느러미
가 특징인 연체동물이다. 독일 젠켄베르크 연구소 및 자연사 박물관, 미국 클렘슨대 등 공동연구진은 ‘유전체 시퀀싱 기술’을 이용해 연체동물의 복잡한 계통도를 일부 정리한 결과를 ... ...
[동물do감] 인상착의로 사람 구분하는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도미의 이름까지 지어줬다. 그는 "등에 반짝이는 은빛 비늘이 2개 있는 버니와 꼬리
지느러미
가 튀어나온 알피가 있었다"고 말했다. 실험에 자원한 도미 제럴딘, 카시, 알피가 솔러 연구원을 따라가고 있다. Tomasek, Soller & Jordan.(2025) Biology Letters 제공 두번째 테스트 첫날에는 토마섹 연구원이 ... ...
[헷갈린과학] 걷거나 물을 튕겨내거나…물개 VS 물범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1.11
꼬리 근처는 짙은 회색을 띱니다. 물범은 물개와 달리 앞
지느러미
와 뒷
지느러미
가 짧아
지느러미
로 몸을 지지하거나 걸어 다닐 수 없어요. 대신 바닥에 배를 튕기면서 앞으로 나아가요. 바다에서는 헤엄을 쳐 명태와 청어 등을 잡아먹습니다. 물범 역시 물개처럼 환경오염과 먹이 부족 때문에 ... ...
[동물do감] 걸어 다니며 바다맛 보는 물고기 '바다로빈'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날개 같은
지느러미
, 가슴
지느러미
아래에 다리 6개를 가진 특이한 동물이다. 다리는
지느러미
처럼 양쪽에 3개씩 갖고 있다. 이 다리로 걷는 모습은 많이 관찰됐지만 정확한 기능이나 진화 과정 등은 밝혀지지 않았다. 먼저 연구팀은 바다로빈을 실험실 수족관에서 키우면서 바다로빈이 다리를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