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중격"(으)로 총 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좌우 뇌 역할 달랐다…타인 고통 공감, 우뇌가 좌우동아사이언스 l2025.03.31
- 자극과 같은 직접적인 공포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회로로 작동했다. 연구팀은 “중격선조체핵과 중심편도체가 각각 공포 자극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로를 조절함으로써 뇌가 다양한 정서적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설명했다. 신희섭 명예연구위원은 "이번 ... ...
- 필리핀 심장병 환아, 세브란스병원서 수술 성공…JYP엔터, 수술비 후원동아사이언스 l2024.07.16
- 킴의 수술을 맡은 신유림 세브란스병원 심장혈관외과 교수는 킴의 심장에 있던 심실중격결손을 막고 폐 혈액 순환을 위해 심장에서 폐로 가는 혈관을 확장하는 수술을 진행했다. 이후 기존에 50-70%였던 킴의 혈중 산소 포화도는 99%로 올랐다. 수술을 마치고 하루만에 중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 ...
- 유재석 교수, 절개 최소 '3D 완전내시경 심장수술' 500례 달성동아사이언스 l2024.05.30
- 시행했다. 시행 6년 3개월만에 500례를 달성했다. 판막수술, 심장종양수술, 심방중격결손수술, 심방세동수술 등이 필요한 환자들이 3D 완전내시경 최소침습 심장수술을 받았다. 다만 여러 혈관을 연결하는 심장이식처럼 수술 부위가 넓을 땐 해당 수술을 적용하기 어렵다. 기존의 개흉 심장수술 ... ...
-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과학동아 l2024.04.20
- 분비하고 수용하는 경로는 총 네 가지로 각각의 역할이 다르다. 이중 복측피개영역과 중격의지핵을 연결하는 중뇌 변연계 보상회로(노란 화살표)가 즐거움, 중독, 보상추구 행동을 담당한다.게티이미지뱅크, 과학동아 제공 청소년의 뇌가 자극의 발화점이 낮은 이유는 뇌 성숙이 아직 진행 중이기 ... ...
- 타인 성체줄기세포로 만든 3D프린팅 '인공 기관' 이식 첫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4.03.07
- 공급원으로 사용했다. 초자연골(가장 흔한 연골) 재생을 위한 연골세포 역시 코중격 수술 과정에서 폐기되는 인체 연골조직으로부터 분리·배양했다. 실제 인체에 이식하는 임상 실용화 과정은 다양한 연구진 및 연구기관의 협력체계와 장기 목표 공유를 통해 성공했다. 줄기세포 연구진, ... ...
- [의학바이오게시판] 강남세브란스병원, 신경근육계 희귀난치질환 학생 입학·졸업 축하 外동아사이언스 l2024.02.16
- 삽입한 인공판막이 고장나 기능부전이 있을 때 다리 정맥으로 도관을 통과시켜 심방중격에 인공적인 구멍을 뚫은 다음 승모판에 인공판막을 삽입하는 시술이다 ... ...
- 심장 기형 미얀마 아동, 한국서 두 차례 수술 후 일상 되찾아 동아사이언스 l2023.09.13
- 흉부 중간을 절개해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에 판막이 있는 20mm 인공 도관을 연결했다. 심실중격결손을 막고 늘어난 상행대동맥 크기는 줄였다. 수술 3일 후에는 상태가 회복돼 중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옮겼고, 약 일주일간 입원했다가 지난달 22일 본국으로 돌아갔다. 김웅한 교수는 “성공적인 ... ...
- [의학바이오게시판] 심장이 몸 밖에 달린 인니 소년, 국내서 수술 성공 外동아사이언스 l2023.08.17
- 혈류를 보내는 폐동맥은 없었다. 병원은 심장을 체내로 넣기 위한 공간을 만들고 심방중격 절제술, 판막 성형술 등을 진행해 수술에 성공했다. 병원은 이번 수술 성공 사례가 동일 질환을 가진 많은 환자들에게 희망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강동경희대병원은 지난 5일 미국 텍사스주 ... ...
- [일상 속 뇌과학] 아는 음식 맛 참기 어려운 과학적 이유2023.02.24
-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방법은 아닌 것이다. 새롭게 밝혀진 ‘장-미주신경-내측 중격 연결’이 직접 해마의 활성을 조절하고 해마 내 기억 형성 과정에 관여할 수도 있다. 장과 연결된 해마 부위(등축 해마; dorsal hippocampus)에서 주로 처리되는 기억 정보들은 장소, 시간, 분위기, 물체나 사람, ... ...
- 김건희 여사 만난 캄보디아 소년 서울서 수술...'팔로 사 징후' 앓아동아사이언스 l2022.11.28
- 따르면 14세 소년 로타는 선천성 심장병인 ‘팔로 사 징후’를 앓고 있다. 이 병은 심실중격 결손, 우심실 유출 협착, 대동맥 기승, 우심실 비대 4가지 병변이 동반된 상태로 ‘팔로 4징증’이라고도 불린다. 전체 선천성 심장병 환자의 5~7%가 이 병에 해당한다. 발병 원인은 가족력에 의한 것으로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