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동기
브레이크
부레이크
뉴스
"
제동장치
"(으)로 총 66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심사고 766 건 , 인정은 0건?…자동차 급발진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24.10.05
DALL-E 제공 2024년 7월 1일 저녁 서울 시청역 인근 교차로에서 끔찍한 사고가 발생했다. 한 차량이 인도로 돌진해 길가에 서 있던 행인들을 덮치면서 14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사고 직후 운전자가 차량의 급발진을 주장하며 논란은 빠르게 번졌다. 한 달 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고령이었던 운전자 ... ...
"정부, 의평원 무력화 시도"…대통령실 "의대 휴학 승인, 교육자 할 일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2일 서울대 의과대학 전경. 연합뉴스 제공 정부가 의과대학 교육의 질을 평가·인증하는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평원) 평가를 심의하겠다고 하자 의과대학 교수들이 3일 결의대회를 열고 정부가 의대 정원 확대를 무리하기 추진하기 위해 의평원을 무력화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4일 정부는 의료계가 ... ...
한국기업 참여 미국 첫 '소형모듈원자로' 구축 무산
동아사이언스
l
2023.11.12
뉴스케일파워의 소형모듈원전 발전소 조감도. 뉴스케일파워 SNS 미국 내 처음으로 건설될 예정이었던 소형모듈원자로(SMR) 발전소 프로젝트가 가격 문제로 전면 중단됐다. 1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보도에 따르면 미국 SMR 업체 뉴스케일 파워(Nuscale power)가 추진 중이던 SMR 발전소 프 ... ...
인간이 땅으로 내려온 이유…"팔·어깨 진화한 덕분"
동아사이언스
l
2023.09.07
어깨와 팔꿈치 관절이 발달했다. 어깨와 팔꿈치 관절이 미세한 움직임을 조절할 수 있는
제동장치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유인원별로 나무를 내려오는 방식에 차이가 확인됐다. 연구팀은 인간과 공통조상에서 분리된 영장류인 침팬지와 아프리카에 사는 원숭이인 검댕망가베이가 동일한 ... ...
"테슬라 오토파일럿, 안전성 개선 입증 자료 아직 없다"
연합뉴스
l
2022.06.09
오토파일럿이 주된 사고 요인이 됐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차라리 자동긴급
제동장치
(AEB)나 차선이탈경고시스템(LDWS) 등과 같은 구식 안전기술이 더 안전하다는 역설적 상황도 나온다. 미국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에 따르면 이런 구식 기술들이 안전성을 개선했다는 연구 결과는 있지만, ADAS가 ... ...
남극 빙하 밑 퇴적층이 스펀지처럼 거대한 지하수 머금어
연합뉴스
l
2022.05.06
밑에 물이 고여 윤활 작용을 하는 것을 막아 빙하가 바다로 밀려내려가는 것을 늦춰주는
제동장치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빙하의 두께가 얇다면 이에 따른 압력이 줄어들며 퇴적층의 물이 스며나와 윤활 작용을 함으로써 빙하가 흘러내리는 속도를 올리는 반대 현상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엘리트 과학자는 과학에 도움이 되는가
2022.05.05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당신이 엘리트라면 두 가지를 생각해보세요. 첫째, 엘리트가 되기까지 열심히 노력했지만 그것이 곧 당신이 이점을 누릴 자격이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는 겁니다. 또 실제로 당신이 원하는 바로 그 삶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당신이 엘리트가 아니라면, 그것은 당신 잘못이 아 ... ...
[표지로 읽는 과학] 작은 곤충에서 발견한 새로운 고속 비행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2.02.05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날개를 펴고 있는 딱정벌레의 모습을 3일 표지로 실었다. 몸체에 달린 날개는 마치 깃털처럼 보인다. 깃털을 아주 빠르게 흔들어 하늘을 나는 딱정벌레의 모습이 상상된다. 이 딱정벌레의 정체는 ‘깃날개깨알벌레’로 딱정벌레 중 가장 작은 축에 속하며 학명으 ... ...
세로토닌이 코카인 중독을 막는다
과학동아
l
2021.10.08
다시 세로토닌을 유도하자 중독률이 15%로 뚝 떨어졌다. 세로토닌이 코카인 중독에
제동장치
역할을 한 셈이다. 연구팀은 두 호르몬의 균형이 무너지고, 도파민이 세로토닌 분비량을 앞지르면 비로소 중독된다고 추정했다. 미야자키 카츠히코 일본 오키나와과학기술대학원대 연구원은 사이언스 ... ...
물방울의 움직임으로 전력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0
천홍구 고려대 바이오의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물이 표면에서 미끄러질 때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를 개발했다. 왼쪽은 물방울에 전기를 가하면 표면장력이 변화며 물방울이 미끄러지는 현상, 오른쪽은 이를 역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다. 고려대 제공 물방울에 전기를 가하면 표면에서 미끄러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