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503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형모듈원자로 포함 원전 부지 안전규제 개선 추후 재논의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최원호 원자력안전위원장이 11일 서울 중구 원안위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221회 원안위 회의에서 위원들과 안건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원자력안전 ... 이 대통령은 "SMR도 기술 개발이 아직 안 됐다"며 "당장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건 재생
에너지
"라고 말했다 ... ...
정부 "반도체·바이오·원자력 등 과학기술에 AI 결합 집중"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모델, 원자력 분야에서는 원자로 운영 AI 에이전트 개발,
에너지
분야에서는 데이터센터
에너지
관리 모델, 소재 분야에서는 신소재 탐색 모델과 AI 자율실험실 등이 제시됐다. 연구지원 분과는 연구자들이 과도한 행정업무로부터 해방돼 연구에 몰입할 수 있도록 연구문헌 및 동향 분석, 과제 ... ...
GIST 교원창업기업 리셀, 과기특성화대학 기술창업투자 경진대회서 우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앞으로 기술 상용화를 가속화하고 전기 수요가 높은 전기차에도 태양전지를 도입해
에너지
생산형 모빌리티 실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실리콘 태양전지의 한계를 뛰어넘는 필름형 태양전지로 모빌리티 혁신을 주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李 대통령 "원전 놓고 이념 전쟁 말아야…
에너지
믹스 정책이 핵심"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이재명 대통령은 11일 열린 취임 100일 간담회 ... 필요하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결국 원전과 재생
에너지
를 합리적으로 잘 섞어 쓰는
에너지
믹스 정책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 ...
화성서 생명체 가능성 발견…"현재까지 가장 선명한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때 남는 흔적과 유사한 반점들이 발견됐다. 미생물이 암석 내 유기 탄소, 황, 인 등을
에너지
원으로 쓰면 화학반응이 일어나면서 생명의 흔적인 반점이 남을 수 있다. 숀 더피 미국 교통부 장관 겸 NASA 임시국장은 “퍼서비어런스의 이번 발견은 지금까지 화성에서 발견된 것 중 가장 선명한 ... ...
'재생
에너지
변덕' 보완할 '액체공기
에너지
저장기술' 핵심 자재 독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터보팽창기와 콜드박스 개발 성과가 대용량·장주기 액체공기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상용화와 보급 확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
흑연 국산화 전환점…폐자원 활용 고순도 음극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이차전지 산업의 자립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에너지
기술연구원(KIER)은 한유진 울산차세대전지연구개발센터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흑연 부산물을 정제해 이차전지용 고순도 흑연 음극재로 활용하는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 ...
철·칼슘·아연 체내 미량 영양소 인류 진화에 큰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미량 영양소는 체내에 극소량만 존재하지만 세포 기능을 조절하고 면역체계를 유지하며
에너지
를 생성하는 등 생명 유지에 반드시 필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국가 및 대륙별로 토양에 존재하는 미량 영양소의 종류 및 양에 차이가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오늘날 인류는 다른 지역에서 ... ...
[과기원NOW] UNIST, 전기나 태양광 없이도 그린 과산화수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10
에너지
화학공학과 교수팀이 바이오디젤 부산물인 글리세롤을 이용해 전기나 태양광
에너지
없이도 친환경 과산화수소(H₂O₂)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서동화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토머스 하라미요 미국 스탠퍼드대 화학공학과 교수 등이 참여한 국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17년 만에 부활 '과기부총리' 다음 정부에서도 살아남으려면
2025.09.10
방송통신위원회도 새 옷을 입는다. 산업통상자원부도 새로 생기는 기후
에너지
환경부에
에너지
정책 기능의 일부를 넘겨주고 산업통상부로 쪼그라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7년 만에 다시 부총리 부서로 화려하게 부활한다.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잠시 떠돌던 소문이 괜한 게 아니었던 셈이다.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