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배양기"(으)로 총 2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 연구실도 강타한 美 트럼프발 관세 공포동아사이언스 l2025.04.06
- 중국은 미국에 유리관, 시약 등 기본실험도구와 컴퓨터 칩, 액정 디스플레이(LCD), 세균배양기 등 첨단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독일과 일본은 현미경, 정밀분석장치 등 고급실험장비를 공급하고 있고 스위스와 영국은 진단도구와 특수 화학제품, 멕시코는 플라스틱 제품, 캐나다는 DNA 염기서열 ... ...
- 공기 중 박테리아 농도, AI로 3시간 이내에 탐지동아사이언스 l2025.03.05
- 어디에서나 실시간 미생물 분석이 가능하다. 소형 현미경 플랫폼이 장착된 휴대용 배양기에서 배양과 동시에 고해상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머신러닝 기반 이미지 분석 기술을 활용해 미생물 군집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연구를 이끈 정재희 교수는 “이번 기술은 시료 채취부터 데이터 ... ...
- "늘어나는 육류 소비…배양육 단가 낮추고 대량 생산 전략 필요"동아사이언스 l2024.07.12
- 잘 부착돼야 하고 배양액이 잘 흘러들어야 하며 스캐폴드 자체도 먹을 수 있어야 하고 배양기에서 1~2주 이상 버틸 수 있는 소재여야 한다”며 “가까운 미래에는 우선 동물의 세포와 식물 유래 단백질을 함께 섞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배양육이 주를 이루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스캐폴드 개발 ... ...
- 롯데바이오로직스, 한국생물공학회 기업 대상 수상동아사이언스 l2024.04.18
- 지난해 밝혔다"고 말했다. 대규모 항체 의약품 생산시설이다. 공장이 완공될 시점에는 배양기 용량규모 36만 리터를 달성할 예정이다. 이미 지난해 1월 글로벌 바이오 제약기업인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로부터 미국 뉴욕주에 있는 바이오 의약품 생산 플랜트를 인수하고 항체의약품을 수주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2023.12.17
- 바람에 배지가 실험대 위에 그대로 남아 있었고 여기에 곰팡이가 떨어진 것이다. 배지는 배양기가 아닌 실온에 노출되어 있었고 그 해 여름은 다른 해보다 온도가 낮았다. 그래서 플레밍이 휴가를 마치고 돌아왔을 때 세균은 많이 자라지 않았고 특히 곰팡이가 오염된 주변에는 세균이 자라나지 ... ...
- 우주에서 암세포 배양·항암제 효과 분석…국내 첫 시도동아사이언스 l2023.07.26
- 중형위성 3호에 탑재될 바이오캐비넷(BioCabinet, 바이오 3D 프린터 및 줄기세포 분화 배양기)을 개발 중이다. 우주인의 가장 흔한 질병인 심혈관 연구를 위한 탑재체다. 바이오캐비넷은 누리호에 탑재돼 2025년 발사 예정이다. 바이오캐비넷에는 두 종류의 바이오 모듈이 탑재된다. 첫 번째 바이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2023.01.10
- 흐름을 따라 순환하면서 미생물이 있는 배양기로 바로 공급되는 시스템이다. 물론 배양기의 미생물이 전극으로 넘어올 수 없게 중간에 필터가 설치돼 있다. 다음으로 푸티다 KT2440가 C2로 PHA를 좀 더 많이 만들 수 있는 환경을 찾고 대사회로를 재구성하는 연구도 진행됐다. 식물의 녹말이나 사람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탄소중립 앞당길 미생물 공장2022.03.22
- 않기 때문이다. 이들은 가장 효율이 높은 균주를 선별해 최적의 배양조건을 찾았고 2008년 배양기 용량이 200L인 파일럿 플랜트 실험에 성공했다. 2012년 실증 단계인 1만6000L 규모의 데모플랜트를 거쳐 2018년 마침내 중국 베이징의 한 철강 공장(배출가스에 일산화탄소가 많다)에 50만L 규모의 상업 ... ...
- [프리미엄 리포트] 고기, 이제는 ‘제조’합니다과학동아 l2021.11.06
-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씨위드는 미세조류로 자구책을 마련했다. 씨위드 실험실의 배양기에 가득 든 초록색 액체의 정체가 바로 배양에 활용하는 미세조류다. 이 CTO는 “FBS보다 농도는 낮지만 미세조류에도 세포 성장에 필요한 호르몬과 성장 인자들이 들어 있다”며 “게다가 FBS와 함께 넣어줘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식물 유래 코로나19 백신이 온다2021.08.17
- 대상으로도 비슷한 조작을 할 수는 있지만 시간이 더 걸리고 대량 생산을 위해서는 배양기에서 세포를 키워야 한다. 반면 분자농업에서는 아그로박테리움과 접촉해 외부 DNA를 받은 식물체를 온실에서 며칠 키운 뒤 수확해 단백질을 추출하면 되니 훨씬 간단하다. 분자농업에는 여러 식물을 쓸 수 ... ...
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