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지
배양액
뉴스
"
배양기
"(으)로 총 25건 검색되었습니다.
산업부 "백신 원부자재 중심으로 바이오 소부장 적극 지원"
연합뉴스
l
2021.06.01
세포배양백은 항체치료제, 백신 제조에 필요한 소재다. 기존 스테인리스 다회용 세포
배양기
에 비해 초기 설치비가 저렴해 세척·멸균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배지' 개발 주관기관인 에이비엘바이오는 항체·치료제 생산용 맞춤형 배지 개발 과제의 진행 상황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포고기는 동물고기를 대신할 수 있을까
2021.01.05
주장한 것만큼 친환경적인 방법은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대규모 생산이 이뤄지더라도
배양기
등 각종 설비를 가동하는 데 들어가는 에너지가 같은 양의 소고기를 얻을 때보다도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온실가스 배출량도 소고기보다는 적지만 돼지고기나 닭고기보다는 많다. 사실 육식이 ... ...
[의학바이오게시판] 삼성서울병원 심장뇌혈관병원, 3세대 인공심장 우수센터 지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8.12
80ℓ 수준의 줄기세포를 대량생산하는 공정을 개발할 예정이다. 3차원
배양기
는 2차원
배양기
에 비해 배양 시간이 짧고 균일한 품질의 세포를 대량생산 할 수 있어 상업화에 적합하다 ... ...
삼성바이오, 바이오 생산성 높일 자체 세포주 '에스초이스' 발표
연합뉴스
l
2020.08.05
걸리는 것보다 빠르다는 점도 강점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최근 도입한 최신 세포
배양기
'비콘'(Beacon)으로 에스초이스를 배양하면 세포주 개발에 드는 시간이 업계 평균 4개월에서 3개월로 단축된다.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장은 "에스초이스를 통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압도적인 속도와 ... ...
[프리미엄 리포트] "원숭이에게 코로나19 DNA 백신 시험 중"
과학동아
l
2020.05.01
처음 맞닥뜨린 대장균
배양기
가 바로 이런 대장균 증식을 유도하는 장치다. 대장균
배양기
가 작동하는 모습. 대장균의 증식을 통해 백신 원료로 사용되는 플라스미드를 대량으로 얻을 수 있다. 이병철 기자=alwaysame@donga.com 마지막으로 대량으로 증식한 대장균의 단백질과 RNA, DNA 등을 제거하면 ... ...
미생물로 플라스틱 원료 대량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4
데 성공했다. 세바식산을 만드는 미생물 공정이다. 식물유를 미생물이 가득한
배양기
에 넣으면 미생물이 세바식산을 생산해낸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연구팀은 한국 화학기업인 애경유화와 롯데케미칼, 스몰랩과 함께 세바식산을 고순도로 분리하고 정제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세바식산을 ... ...
17년 전 남태평양서 발견한 극한 미생물로 수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9
데 성공했다. 2017년부터는 태안 서부발전본부에서 경동엔지니어링 주관으로 50t 규모의
배양기
를 쓰는 실증(데모) 플랜트로 실험을 진행 중이다. 1년에 330t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수소자동차 1000~2000대가 1년간 쓸 수 있는 양이다. 강성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명공학연구센터장이 ... ...
미래 공장은 무엇으로 구성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1.13
치료제를 판매하는 제약사와 헬스케어기업들은 점점 더 작은 조직과
배양기
, 세포
배양기
를 운영하고 플러그 앤드 플레이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현재 제조업은 주로 생산성과 성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점점 더 많은 공급자와 제조사들은 소비자들이 원하는 정교한 제품을 생산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진핵생물 진화의 열쇠 쥔 고세균, 배양에 성공하다
2019.08.27
2006년 5월 6일 일본 남쪽 바다 난카이 해구의 수심 2533미터 해저에서 채취한 토양 시료를
배양기
에 넣고 10℃에서 무려 2013일을 배양했다. 5년 반에 이르는 긴 기간이다. 해저 미생물은 증식이 워낙 더뎌 두 배로 늘어나는 데 수개월이 걸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반면 대장균 같은 미생물은 조건만 ... ...
3D프린터로 만든 인공 암세포로 항암제 효능 검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5
이번 연구의 공동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현재 항암제 효능에 대한 연구는 편평한
배양기
에서 배양세포가 한 층을 이루는 단층 배양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배양세포를 한 층 세포층으로 만들어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정적으로만 보이기 때문에 암세포의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