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돌멩이
바위 벼랑
반석 돌
뉴스
"
돌맹이
"(으)로 총 7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
2023.11.19
못 하고 2차감염의 위험도 도사린 상태에서 잘라내기도 어려울 정도로 딱딱한 머리뼈를
돌맹이
를 갈아 만든 칼(?)로 수술한다는 건 쉽지 않은 일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더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돌칼로 수술을 한 후 2차감염에 대한 예방조치도 제대로 받지 않은 사람들이 꽤 오랜 기간 동안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대단하지 않다"...'작은 자아'의 행복감
2023.02.25
존재는 영원하지 않다. 나의 실체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나는 작고 길가에 난 풀이나
돌맹이
와 다를 바 없는 존재다’ 하고 마음속으로 외워보았다. 그러자 의외로 마음이 가벼워짐을 느낄 수 있었다. 나라는 존재가 영원하지 않고 그 자체로 대단하지 않은 만큼 나를 향한 실망 또한 크게 의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리는 딱 하나이기보다 여러가지다"
2021.07.24
만다. 예컨대 나는 독수리팀이면서 얼마든지 사자팀일 수 있고, 양이나 오이, 가지,
돌맹이
이기도 한데 오로지 독수리팀이고 타인도 오로지 사자팀인 것처럼 생각하고 싸우는 일이 벌어진다. 이렇게 지나치게 단순한 정체화가 문제라는 점에 착안해서 미국 듀크대의 새러 게이더는 다음과 같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생각없이 해야 잘 되는 일
2021.06.19
이유는 언제나 산더미 같이 존재하므로 ‘하지 말자’가 이길 가능성이 높다. 애초에
돌맹이
와 바위의 싸움이랄까. ‘할까’와 ‘말까’ 사이에 싸움을 붙이는 시점에서 이미 후자가 반쯤 이긴 게임이 되고 마는 것이다. 이런 이유에서 뉴욕대 심리학자 피터 골위처(Peter Gollwitzer) 등의 학자들은 ... ...
소행성 베누, 표면은 살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것으로 나타났다. 베누는 4.3시간마다 자전하는데 해가 사라지는 부위에서 주로 작은
돌맹이
만한 돌조각들이 튀어나온다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두 가지 가설을 제안했다. 우선 열에 의한 균열이 돌조각을 만들었을 거란 주장이다. 베누 표면의 바위는 태양을 바라보는 낮에 가열되고 밤에는 ... ...
[이강운의 곤충記]은밀한 언어 '케미'
2018.10.31
수컷을 끌어들여 잡아먹는 공격적인 모방을 한다. 볼라는 남아메리카의 원주민이 끝에
돌맹이
를 매단 밧줄을 던져 동물을 잡을 때 사용한 도구를 뜻하는데, 볼라스 거미도 암컷 나방의 페로몬 덩어리를 짧은 거미줄에 끈적끈적한 액체 방울을 매단 볼라를 휘둘러 나방을 잡아먹는다. 거미줄을 쳐 ... ...
일상의 모든 것이 예술이 된다
팝뉴스
l
2017.10.25
세계에서는 평범한 꽃잎들이 모여서 평범하지 않은 핑크색의 합창이 되고, 평범한
돌맹이
들이 모여서 희고 검은 자연색의 조화를 만들어낸다. 그녀가 작품에 사용하는 꽃잎과 나뭇잎, 돌멩이와 플라스틱 쓰레기는 마치 원래부터 작품이 되기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처럼 서로 완벽한 조화를 이루며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