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돌맹이"(으)로 총 11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세제를 넣었더니? 우유 속에 꽃이 피었습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나무 꼬챙이로 지퍼백을 뚫어도 그 틈으로 물이 흘러나가지 않았죠. 잔잔한 강에 넓적한 돌맹이를 던져서 멀리 보내는 물수제비나 둥근 비눗방울을 만드는 것도 물의 강한 표면장력을 이용한 놀이랍니다.표면장력이 가장 센 액체는 액체 금속인 수은입니다. 수은은 표면장력이 너무나도 강한 나머지 ... ...
-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과학동아 l2010년 03호
- 넓이를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 만일 거기에도 넓이가 있다고 대답하면 거꾸로 돌맹이의 넓이는 얼마냐고 물어볼 수도 있다. 이런 생각을 수학자들이 성공적으로 엄밀하게 다룰 수 있게 된 것은 20세기에 들어서였다. 수학적으로 엄밀하지 않으면에 x=1을 넣어서이라고 계산한 뒤 기적이라고 ... ...
- 5인의 과학자 무인도 서바이벌 실험노트과학동아 l2001년 08호
- 곧 미국 PBS방송에서도 방영될 예정이다. 무인도에 도착한 과학자들은 나무판자, 돌맹이로 이 섬의 위치를 찾는 일부터 시작했다.첫째주: 시간을 알아내다무인도의 경도를 알기 위해서는 기준점인 그리니치 천문대의 시간을 알아야 한다. 물리학자 조나단 해어는 라디오를 만들어 BBC의 시보를 듣기로 ... ...
- 1. 아틀란티스 대륙의 정체과학동아 l1998년 01호
- 도넬리의 책이다. 그는 '노아 홍수 이전의 아틀란티스 대륙'(1882)과 '신들의 황혼, 불과 돌맹이의 시대'(1883)를 출판했는데, 이 책들은 1963년까지 50회 이상 재판됐다. 도넬리는 플라톤의 얘기를 뒷받침하기 위해 전세계에 퍼져있는 전설을 수집해 정리했다.도넬리는 '아틀란티스 대륙'이 대서양 ... ...
- 원숭이는 살아남았을까?과학동아 l1997년 12호
- 운동에 작용하는 중력의 정도는 물체의 크기나 질량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그래서 돌맹이나 바윗돌을 떨어뜨렸을 때 바닥에 도달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같다.원숭이가 중력을 받아 떨어지는 동안 날아가는 총알도 역시 중력을 받아 아래쪽으로 휘어진다. 매순간 총알이 휘어지는 정도, 즉 원숭이를 ... ...
- 철학종교-죽음은 소멸이 아니라 소생과학동아 l1995년 12호
- 따라서 사람은 물론 다른 동물이나 심지어는 산이나 냇물 내지 이름 없는 풀이나 돌맹이까지라도 해쳐서는 안된다. 그래서 죽은 사체라고 해도본인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아무렇게나 취급할 수는 없다. 불교에서 '살생을 하지 말라'는 계율은 바로 이런 성질의 실천사항이다.다만 종교에서 자신을 ... ...
- 3. 세계 최소 분자 인물화 제작 성공과학동아 l1995년 10호
- 것이다.양자효과의 일예로 에너지준위를 들 수 있다. 고전적으로 웅덩이 속에 있는 돌맹이는 어떠한 에너지 준위에도 존재할 수 있다(총에너지는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합). 그러나 전자와 같은 모양의 위치에너지(워낙 작음)에 구속되어 있다면 이때 전자의 에너지는 아무 에너지준위에나 ... ...
- 1 세계 입자물리 실험의 총본산 CERN과학동아 l1992년 10호
- 확대해 본다면 전자들은 축구장 주위를 맴도는 반면, 가운데 있는 핵(nucleus)은 조그만 돌맹이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는 것이다. 핵을 빽빽하게 구성하고 있는 양성자(proton)와 중성자(neutron)들이 그 원자 총질량의 99.9%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도 말이다!이러한 핵의 내부 심층구조를 관찰하기 위해선 ... ...
- 행성지구 그 신비를 해부한다과학동아 l1987년 04호
- 산호에도, 뉴질랜드의 석회동굴 속에도, 알프스산의 높은 곳에서도, 황폐한 남극 대륙의 돌맹이에도 있으며 바다밑에 사는 미생물의 껍질속에도 있다.예를들어 뉴질랜드 북부에 있는 석회암동굴 속에는 지구상의 기후역사를 증명할만한 것들이 남아있다. 지구화학자들은 산소동위원소 분석에 쓰일 ... ...
- 지구과학 단원마다 주제에 대한 의문을 갖고과학동아 l1987년 04호
- 낮은 평지가 있을까?·우리가 뛰어노는 운동장의 흙과 모래는 어떻게해서 생겨났으며, 이 돌맹이는 어디서 굴러온 것일까?·시원한 계곡의 바위 덩어리, 도로변 절벽에 쌓여 있는 지층은 어떻게해서 생겨난 것일까?·어째서 우리 나라의 동해안에는 절벽이 많고 해안선도 거의 일직선인데 서해안과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