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tree"(으)로 총 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개발한 미국 연방대법원 재판 예측 알고리즘이었다. 이 알고리즘은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라는 기계학습 기법으로 재판 결과를 예측했다. 그러나 당시의 판사나 법률가들은 기술이 법률에 응용되는 데 대해 매우 회의적이었다. 법률가들의 엄청난 저항에 직면한 롤러 연구팀은 경진대회를 열어 ... ...
- [연중기획] 학교에서 배우는 인공지능 교과서 훑어보기 3탄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데이터를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으로, 이 과정에서 그려지는 그림이 마치 나무(tree)의 모습과 비슷해 의사결정트리라고 부릅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수많은 데이터가 있어도 주어진 기준으로 분류해 인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준이 많으면 많을수록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그래서 더 ... ...
- [이달의 책] 생명의 나무는 계속 자란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저자의 저력이 이 책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영어로 ‘phylogenetic tree’나 ‘evolutionary tree’로 표기하는 계통수를 저자가 왜 ‘얽히고설킨(Tangled)’ 나무라고 표현했는지도 알게 될 것이다. 아, 복잡다단한 생명의 신비여 ... ...
- [GO! GO! 고고학자]유물의 나이를 알아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가장 큰 나무인 자이언트 세쿼이아의 나이테로 연대를 측정하는 과학자들. Laboratory of Tree-Ring Research, The University of Arizona 유물의 연대를 알아내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이에요. 1949년 미국 시카고대학교의 화학과 교수였던 윌라드 리비가 개발했지요. 이 업적으로 그는 ...
- 진화학자가 번역한 ‘종의 기원’ 자연 선택 이론은 왜 ‘혁명’이 됐을까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뻗어나가듯 진화한다는 사실을 밝혀준 데 있었다. 우리는 이를 ‘생명의 나무(tree of life)’라고 부른다. 그는 존재를 일렬로 줄 세우려는 모든 전통에 종지부를 찍는다. 그의 ‘생명의 나무’에서는 침팬지와 인간이 600만 년 전쯤에 어떤 공통 조상에서 갈라져 나온 사촌지간으로 인식된다. 즉, ... ...
- 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기계(FSM·Finite State Machine)’나 의사결정을 할 때 규칙이 정해져 있는 ‘결정 트리(Decision Tree)’, 문제를 해결할 때 전제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 는 ‘규칙 기반 시스템(Rule Based System)’ 같은 기술을 이용한다. 그래서 게임 속 캐릭터는 몇 가지 명령으로 설정돼 있는 것에 대해서만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in animals. Witnessing of chytridiomycosis in New ZealandA year later, while working in New Zealand, I found tree frogs, which had been introduced from Australia many years before, suffering f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프로그램 F(x)를 f(p(x), v(x))로 만들었다. 함수 f는 ‘몬테카를로 트리탐색(MCTS·Monte Carlo Tree Search)’ 알고리즘이고, 함수 p는 ‘정책망(policy network)’으로 구현된 분기결정 경험 함수, 함수 v는 ‘가치망(value network)’으로 구현된 승률계산 경험 함수다. x는 바둑판의 모양에서 ...
- Part 1. 인공지능, 바둑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사실 나 이전에도 바둑을 두는 인공지능 프로그램들은 있었어. 하지만 인간 챔피언과 공식적으로 대결해 이긴 인공지능은 없었대. 그건 바둑이 ‘인공지능이 도전할 수 있는 최후의 영역’으로 여겨질 만큼 엄청 어려운 게임이기 때문이야.바둑은 가로, 세로 19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격자 모양에서 ... ...
- 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왕 밝힌 김에 내 약점을 하나 더 알려 줄게. 난 모니터 밖의 세상을 보지도 듣지도 못해. 혼자서는 실제 바둑판에 돌을 올리기는커녕, 바둑판에 돌이 어떻게 놓여 있는지도 모르지. 나에게는 외부 환경을 인식하는 ‘센서’가 달려 있지 않거든.목소리 인식도 척척, 농담도 척척알파고의 대국을 처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