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tree"(으)로 총 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 모든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그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나눌 수 있다. 이처럼 꼭짓점을 남김없이 짝지을 수 있는 수형도를 ‘짝 수형도(paired tree)’라고 한다.그런데 위 여섯 가지 수형도 중에서 (6)번 수형도는 꼭짓점을 세 쌍으로 나눌 수 없다. 따라서 (6)번 수형도는 짝 수형도가 아니다. 따라서 (6)번 수형도를 제외한 나머지 다섯 가지의 수형도만이 짝 ...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폴리넬라 게놈을 분석하는 일이었고, 다른 하나는 홍조류의 계통수를 구축하는 ‘Red Algal Tree of Life’ 과제로 5년간 진행된다. 현재 홍조류는 6000여 종이 알려져 있는데 이 가운데 500여 종의 상관관계를 규명할 계획이다. 그리고 16종은 게놈까지 분석한다. 윤 교수는 지난해 성균관대에 부임했지만 이 ...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안 보인다고요? 그럴 겁니다. 저도 처음에는 있는 줄 몰랐으니까요. 회색나무개구리(gray tree frog)인데 나무 껍질 위에 있습니다. 숨은그림찾기놀이를 하는 것 같네요.위장술에 뛰어난 개구리들은 보통 야행성입니다. 낮에 잘 때 천적이 알아보지 못하게 이런 위장술을 진화시켜온 것이죠. 이 녀석들은 ... ...
- 상상력의 마술사, 피카소와 몬드리안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2호
- 그리기를 포기하고 추상화로 발전시킨 과정이 잘 드러나 있어요. 그는 , ...
- 인간을 품은 거대한 요람, 숲의 위기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코(KAW) 산 위의 만개한 분홍색 꽃나무 | 기아나, 프랑스PINK TRUMPET TREE IN FLOWER ON KAW MOUNTAIN숲은 현대인을 치료한다. 눈에 넓게 들어오는 푸른 풍경과 향긋한 피톤치드는 스트레스로 가득한 가슴을 한껏 뚫어준다. 때로는 직접적으로 병을 치료하기도 한다. 녹색 나무들 사이로 ... ...
- part3, 즐겁게 글쓰기과학동아 l2010년 07호
- 일상에서 과학을 흥미롭게 녹여내는 글을 쓰기란, 작고 단순한 작업에서부터 시작될 수 있다. 다만 그것이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무언가 약간의 지속성을 보장해줄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과학퀴즈 만들기나 과학잡지 만들기처럼 ‘나만의 프로젝트’를 해보는 건 어떨까. 우리는 일 ... ...
- 방귀대장 소돌이의 탄소마을 구출 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02호
- 그루?국립산림과학원의‘탄소나무계산기’를 이용해 탄소중립 개념을 이해해 보자(http://tree.kfri.go.kr/kor/forest/carbonC.html). 전기 요금과 각종 연료 양을 입력하면 가정에서 한 달간 배출한 온실가스량이 얼마인지, 그리고 이 온실가스를 없애 탄소중립을 이루려면 숲을 얼마나 가꾸어야 할지를 ...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과학동아 l2008년 01호
- 할 수 있다발견된 법칙 또는 조건문을 토대로 분류하는 분석 방법을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나무구조모형(tree-based model), 또는 나무모형(tree model)이라고 한다 의사결정나무는 누구나 이해할 수 있고 쉽게 설명될 수 있는 간결한 결과 때문에 많은 분야에서 선호되고 있다 의학분야뿐 아 ...
- 지구온난화가 전염병 부추긴다과학동아 l2007년 05호
- 할 수 있다발견된 법칙 또는 조건문을 토대로 분류하는 분석 방법을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나무구조모형(tree-based model), 또는 나무모형(tree model)이라고 한다 의사결정나무는 누구나 이해할 수 있고 쉽게 설명될 수 있는 간결한 결과 때문에 많은 분야에서 선호되고 있다 의학분야뿐 아 ...
- 꿈일까, 현실일까? 눈앞에 펼쳐지는 에너지 유토피아과학동아 l2006년 09호
- 새싹에서 에너지를 얻어 전쟁으로 파괴된 자연을 치유하는 과정을 그린 ‘트리 로보’(Tree Robo)를 상영하고 있다. 2005년 일본 아이치엑스포 한국관에서 상영돼 극찬을 받았던 작품으로 현재 전기에너지관에서만 볼 수 있다. 빛을 발견한 순간전시관으로 들어가려면 레이저 터널 이동보드를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