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기
d라이브러리
"
파내기
"(으)로 총 11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용암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용암 파쿠르 게임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놓아요. 다만 ‘외곽선’은 직육면체 공간 안쪽에 원래 있던 블록들을 그대로 두고 ‘
파내기
’는 없앤답니다. 두 번째 게임 이벤트 코드 작성하기이제는 게임 속에 용암이 차오르고 모루가 떨어지는 환경을 만들 거예요. 플레이어가 밟을 파쿠르 블록도 만들게요. 이를 위해 앞선 코드에서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천문대 갖고 싶어? 직접 만들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블록을 ‘석영’으로 바꾸세요.➐ 좌푯값을 화면과 같이 작성하세요. ➑ 옵션을 ‘
파내기
’로 바꾸어 지지대의 내부를 비우세요. 네 번째 마무리 건축하기 이제 플레이어를 직접 움직여 천문대를 세밀하게 꾸며 봐요. ➊ 코드 시작 버튼을 누르고 ‘Alt+Tab’을 눌러 마인크래프트로 ... ...
[기획] 다리가 무려 1306개? 가장 다리 많은 다지류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폴 마렉 교수에게 보냈지요.연구팀은 지하 깊은 곳에 사는 에우밀리페스가 땅을 잘
파내기
위해 수많은 다리를 갖도록 진화했을 것으로 추측했어요. 유전적으로 가까운 종은 아니지만, 이전에 발견된 가장 다리 많은 노래기인 ‘일라크메 플레니페스’도 지하 생활에 적응하며 다리가 많아졌다고 ... ...
눈에 보이지 않는 유물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거죠. 물리탐사를 이용하면 문화재를 보존하면서도 여러 번 조사할 수 있어, 유물을
파내기
전에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습니다. GPR로 천년 신라의 궁궐 배치도 그린다 실제 우리나라에서도 물리탐사를 이용해 그동안 몰랐던 역사적 사실을 알아낸 사례가 있습니다. 2000년 유네스코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짱구개미(Messor aciculatus)등은 지하 5m까지 개미굴을 뚫고 살아간다. 겨울에 언 땅을 5m까지
파내기
란 쉽지 않으므로, 개미굴을 파고사는 종은 겨울에 관찰하기 어렵다. 5분간 바위를 다섯 개쯤 들췄을까. 눈에 잘 보이지도 않을 만큼 작고 불그스름한 개미들이 얼핏 보였다. 동 씨는 “비늘개미속 ... ...
오선지에 숨은 비밀
수학동아
l
2017년 05호
것입니다. 이러한 음악적 기법은 ‘소제토 카바토’라고 하는데, 번역하면 ‘모음
파내기
’입니다.네덜란드의 작곡가 조스캥 데 프레는 ‘Hercules Dux Ferrarie’라는 곡에 소제토 카바토 기법을 이용했습니다. 곡의 제목에서 모음만 뽑아내, 음이름에 대입하고 기초 선율로 사용한 것이지요. 데 프레는 ... ...
[지식] 열대과일의 비밀, 파인애플은 알고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올라가는 나선을 따라 눈을 파내지요. 그런데 경우에 따라 반대편 위로 올라가는 나선을
파내기
도 해요. 그렇다면 왼쪽 나선과 오른쪽 나선으로 도려내는 경우에 파인애플의 눈의 배열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 걸까요?파인애플 눈의 배열에서는 피보나치 수열을 찾을 수 있어요. 피보나치 수열이란 1, ... ...
[Hot Issue] 셰일가스, 물과의 전쟁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많은 이유는 바로 물 때문이다. 셰일가스는 예전부터 알려져 있던 자원이다. 그러나
파내기
가 쉽지 않아 관심을 끌지 못했다. 그 단점을 극복한 것이 물을 이용한 수압파쇄법이다. 수압파쇄법을 자세하게 설명하면 이렇다. 먼저 지하의 셰일층을 깨고 많은 양의 물을 집어넣는다. 이 물이 셰일층에 ... ...
사람은 죽어서 ‘불멸의 업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많지 않았다. 해부학자들은 공공연한 비밀처럼 산 사람을 해부하거나, 갓 묻은 시신을
파내기
에 이르렀다.저자는 수많은 인체 해부실을 방문할 때마다 과연 연구원들이 ‘불과 얼마 전까지 살아 있었던 실습 재료’를 어떻게 대하는지 관찰했다. 다행히 현재 의대에서는 대부분의 연구원이 그들을 ... ...
원시인은 고구마를 좋아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인류의 조상이 고구마를 즐겨 먹었대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의 저스틴 애클 박사팀은 인류의 조상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파란스로 ... 즐겨 먹는 고구마와 토란 같은 구근류를 씹어 먹었다”며“이들은 땅 속에 있는 구근을
파내기
위해 간단한 도구를 이용했을 것”이라고 밝혔어요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