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이
이격
d라이브러리
"
이각
"(으)로 총 72건 검색되었습니다.
맥동하는 별로 밝혀낸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 배경의 결정적 증거들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TV가 잘 나오게 안테나를 움직였던 것과 비슷하다. 헬링스와 다운스는 두 펄사의 사
이각
에 따라 중력파 배경 신호의 세기가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한 공식을 이론적으로 유도했다. 두 펄스의 주기 변화 관측값에 상관분석 기법을 적용하면 중력파 배경의 신호는 증폭이 되고 성간물질의 잡음은 ... ...
[이달의 우주 날씨] 행성 관측 최적기는? 9월의 밤하늘!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행성과 지구, 태양 순으로 동쪽에서 이루는 각도가 최대일 때를 의미하는 동방최대
이각
에 놓이기 때문입니다. 하늘이 완전히 어두워지면 남쪽 하늘로 고개를 돌려보세요. 태양계에서 가장 큰 목성과 두 번째로 큰 토성이 자리하고 있을 거예요. 날씨가 좋은 날에는 소형 망원경으로도 목성의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태양 빛이 너무 밝기 때문이지요.동방 최대
이각
일 때는 초저녁 서쪽 하늘에서, 서방 최대
이각
일 때는 새벽 동쪽 하늘에서 수성을 볼 수 있답니다. 별빛미션왕으로 선정되면 어린이과학동아 기사와 온라인 클래스 ‘이달의 우주 날씨’에도 소개됩니다. 정해진 답이 없는 과학동아천문대의 ... ...
[이달의 우주 날씨] 수성 관측? 각도부터 알아야 해!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때는 동쪽 하늘에서 새벽에 볼 수 있다는 것도 기억해 주세요. 3월 6일은 수성이 서방최대
이각
에 있을 때로, 태양과 약 28°의 각도를 이룹니다. 이날 새벽 6시 20분 경 동쪽 하늘의 지평선 부근에서 태양계의 첫 번째 행성, 수성을 볼 수 있어요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춘분점에서 상승점까지 이르는 각도)는 113°를 중심으로 몰려있었다. 논문에는 “근일점
이각
과 상승점경도가 모두 우연히 같기는 힘들다”고 나와 있다. 공 6개를 각각 실에 묶어 돌리는데, 모두 비슷한 각도로 움직이는 셈이다. 연구팀은 칼텍 홈페이지를 통해 “시뮬레이션 결과 궤도가 이렇게 ... ...
금성과 달의 모양 변화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늦게 지기 때문에 일몰 후 약 3시간 동안 서쪽 하늘에서 볼 수 있다. 반대로 서방최대
이각
에 위치할 때는 하현달과 같이 왼쪽이 볼록하게 보이며 태양보다 일찍 뜨고 일찍 지기 때문에 일출 전 3시간 동안 동쪽 하늘에서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금성을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부른다. 초저녁에 서쪽 ... ...
먼지 따라 떠나는 지구과학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항상 초저녁이나 새벽녘에만 볼 수 있다. 금성이 태양에서 최대로 멀어지는 각거리(최대
이각
)는 태양의 동쪽이나 서쪽으로 48°이다. 망원경으로 금성을 꾸준히 관찰하면 달처럼 위상이 변하면서 크기도 변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화성 같은 외행성은 천구상에서 동쪽으로 움직이다가 ... ...
호주의 사막 한가운데서 별빛으로 샤워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카메라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길이다. 이달의 천문현상● 3월 3일 수성 서방최대
이각
태양에 가장 가까이 있는 행성인 수성이 지구에서 볼 때 가장 서쪽으로 치우친다. 태양과 수성 사이의 각거리는 27°지만, 새벽 해가 뜨기 전 동쪽 하늘에 고도 10° 정도(한 손을 앞으로 쭉 뻗어 손바닥을 폈을 때 ... ...
아파트 숲에서 달을 쫓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새벽 하늘을 수놓는 별똥별을 바라보며 한해 소원을 빌어보자.● 1월 22일 수성 동방최대
이각
태양에 가장 가까이 있는 행성인 수성이 지구에서 볼 때 가장 동쪽으로 치우친다. 저녁 해가 진 직후 서쪽 하늘에 고도 18° 정도(한 손을 앞으로 쭉 뻗어 손바닥을 폈을 때 엄지와 새끼손가락 한 뼘 높이)로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28˚이고 금성은 48˚이다 외행성의
이각
은 최대 1백80˚이며 이는 곧 충을 의미한다행성의
이각
이 90˚일 때를 말하며 내행성은 구를 이룰 수 없다 태양의 동 서 어느 쪽에 있는가에 따라 동구와 서구로 나뉜다행성이 서에서 동으로(공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적경이 증가한다행성이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