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이
이격
d라이브러리
"
이각
"(으)로 총 72건 검색되었습니다.
UN, 남극 개발붐 경고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28˚이고 금성은 48˚이다 외행성의
이각
은 최대 1백80˚이며 이는 곧 충을 의미한다행성의
이각
이 90˚일 때를 말하며 내행성은 구를 이룰 수 없다 태양의 동 서 어느 쪽에 있는가에 따라 동구와 서구로 나뉜다행성이 서에서 동으로(공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적경이 증가한다행성이 ... ...
별밭에 숨어 있는 보물 석호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다른 때에 비해 작게 보인다.27일에는 새벽 동쪽하늘에서 수성을 볼 수 있다. 서방최대
이각
을 맞이한 수성은 해뜨기 직전 고도가 18도나 돼 맨눈으로도 쉽게 볼 수 있다. 올해에는 동쪽하늘에서 모두 세번의 수성 관측기회가 있으며 이번이 가장 좋은 조건이다. 이날을 전후한 약 일주일 간은 보기 ... ...
컬럼비아호 참사와 관련된 내열타일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28˚이고 금성은 48˚이다 외행성의
이각
은 최대 1백80˚이며 이는 곧 충을 의미한다행성의
이각
이 90˚일 때를 말하며 내행성은 구를 이룰 수 없다 태양의 동 서 어느 쪽에 있는가에 따라 동구와 서구로 나뉜다행성이 서에서 동으로(공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적경이 증가한다행성이 ... ...
올여름 저녁은 금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태양과 행성이 떨어진 겉보기 각거리를
이각
이라 한다. 올해 여름 무렵 태양과 금성의
이각
은 약 40°다. 즉 금성은 태양으로부터 약 40° 가량 동쪽에 있다.하늘에서 각거리인 40°는 어느 정도일까. 밤하늘에서라면 북두칠성의 경우 국자 머리부터 자루까지의 거리가 약 25°이고, 오리온자리에서는 ... ...
4월 다섯 행성 한자리에 모인다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위로 떠오르는 추세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고도가 좀더 높아질 것이다. 금성이 최대
이각
에 이르는 시기는 8월 말이다. 이때까지 점점 더 고도가 높아져 해가 질 때 약 40˚에 이른다.외행성인 화성과 토성, 그리고 목성은 현재 순행중이다. 순행이란 천구에서 행성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진행하는 ... ...
① '수능 프리즘'을 통해 본 과학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태양과 가장 큰 각도로 떨어져있는 경우를 ‘최대
이각
’이라고 하는데, 금성의 경우 최대
이각
은 46°정도로 비교적 작다). 즉 항상 태양 부근에 위치해 있게 된다. 따라서 태양이 남쪽하늘 중천에 떠있는 경우 수성과 금성도 같이 떠 있겠지만, 하늘이 밝기 때문에 우리는 이를 관측할 수 없다. 수성과 ... ...
발빠른 수성 5월 22일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최대
이각
시점이 있는데, 이 중에서 수성을 가장 보기 쉬운 때가 오는 5월 22일이다.최대
이각
시점이라고 해도 지구에서 보기에 수성은 태양에 가까이 있기 때문에 해가 진 다음 얼마 되지 않아 수성도 이내 지평선 아래로 진다. 수성을 볼 수 있는 시각은 대개 일몰 후 30분이 경과하기 전이다. 이때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2001년 1월의 밤하늘은 맨눈으로도 볼 만한 천문현상이 세번이나 펼쳐진다. 가장 주목할 만한 현상은 역시 새해를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그리고 새해 벽두에 만나는 북두칠성 근처의 ... 가장 멀리 떨어질 때를‘서방최대
이각
’이라고 한다. 바로 17일이 금성이 동방최대
이각
인 시기다 ... ...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이각
이 클때 수성이 잘 보이는 이유를 쉽게 알 수 있다.올해 6월9일은 수성이 동방 최대
이각
(24도)에 이르는 날이다.이날을 전후로 며칠간은 해진 후 저녁 서쪽하늘 지평선 가까이 뜨는 수성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쌍둥이자리에서 0.5등급의 밝기로 빛난다.맨눈으로도 볼 수 있지만 쌍안경이 ... ...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금성보다 크게 떨어진다. 시인은 아마, 어느 가을철, 음력 초순, 해질 무렵에 동방최대
이각
근처에 있는 금성이 서쪽하늘에서 초승달과 함께 모습을 드러내는 상황을 보고 있었을 것이다.사람들은 흔히 시와 노래에서 과학이 있을 자리는 없다고 한다. 아폴로가 달에 착륙함으로써 토끼가 사라졌다고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