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이
이격
d라이브러리
"
이각
"(으)로 총 72건 검색되었습니다.
6개의 별이 묶여 있는 카스토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이달 24일에 최고로 밝아진다. 비록 모양은 초생달 형태로 변해가지만 크기는 동방최대
이각
때보다 1.5배 가량 커진다. 그리고 이때부터 금성의 위상과 크기의 변화가 많으므로 확대촬영방식으로 사진 촬영하거나 직접 스케치를 해두면 좋은 기록이 될 것이다.■ 최고의 관측 적기가 되는 화성쌍둥이 ... ...
저무는 토성과 떠오르는 샛별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새해의 미래가 밝다는 느낌을 받는다.금성의 밝기는 1월 초 -5.0등급 정도에서 동방최대
이각
이 되는 20일 경에는 -5.2등급까지 증가한다. 이것은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큰개자리의 시리우스보다도 약○배 가량 밝은 광도○○...없으므로 금성이 하늘에서 ○○...빛나고 있는 것이다. 이때 금성의 ... ...
도형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세 삼각형의 크기는 어떤가. $\overline{AB}$=a, $\overline{BC}$=b, $\overline{AC}$=c라하고 a와 c의 사
이각
을 α라 하자.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해 ${c}^{2}$=${a}^{2}$+${b}^{2}$이다. 삼각형 1의 넓이는 사인(sine) 공식에 의해 $\frac{1}{2}$ac sin(180°-α ...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표, 틀리면 ×표 하시오.1. 화성은 언제나 가을철에만 보인다.( )2. 서방최대
이각
일 때 금성은 새벽에 볼 수 있다( )3. 외행성의 역행은 합의 위치에 있을 때 일어난다.( )4. 외행성의 역행은 행성이 지구로부터 가장 멀리 있을 때 일어난다.( )5. 외행성은 충의 위치에서 가장 밝게 보인다.( )6. 회합주기가 ... ...
밤하늘은 천체교육의 산 교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최대
이각
의 개념은 이해하기 쉽지 않다. 예를 들어 (그림3)에서는 왜 내행성이 동방최대
이각
일 때 저녁에 보여야 하는지 알기 어렵다. 모든 내용을 (그림3)식으로만 배운 학생은 틀림없이 선생님이 천문학 시간에 칠판에 동그라미만 잔뜩 그렸다는 기억밖에 남지 않게 된다. 암기과목이 ... ...
마차를 발명해낸 절름발이 왕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수 있으나 곧 처녀자리의 경계선을 지나 29일에는 스피카 옆에 있게 된다. 11월2일이 최대
이각
(각도상 태양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는 지점)이며, 그 밝기는 -4.1 등급이다.화성 태양에 너무 가까이 있어서 볼 수 없다. 11월 8일이 합(태양의 정반대편에 있게 되는 날)이다.목성 사자자리에 있으며 밝기는 - ... ...
세월따라 다양한 모습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행성중에서 가장 밝게 빛나 최대 -4.6등급까지 된다.금성도 수성과 비슷한 운동을 하지만
이각
이 크고 회합주기는 2백43일로서 좀 더 높은 고도에서 오랜 기간의 관측이 가능하다. 그 위상도 연속관측하면 약간 이그러진 원형에서 마치 초승달과 같은 모양까지 제법 긴 시기에 걸쳐 달의 모양변화와 ... ...
2.지자기의 힘이 떨어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않는 것이 보통이다. 엄밀히 말하면 자북(磁北)을 나타낸다. 흔히 이 진북과 자북의 사
이각
을 편각(偏角)이라고 한다. 콜룸부스(Columbus)가 대서양을 횡단했을 때의 일이다. 출발점 부근에서는 진북의 동쪽으로 치우쳤던 나침반이 서쪽으로 항해하면서 차차 진북방향으로 바뀌고 그후에는 진북의 ... ...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망원경을 통해 본 금성은 반달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었다. 즉 금성은 당시 동방최대
이각
근처에 위치하고 있었다고 말 할 수 있다. 반달처럼 보이는 금성의 모습은 천문학의 역사에서 매우 의미심장한 것이다. 왜냐하면 바로 이 관측 사실이 근세 천문학 혁명기에 천동설을 뒤엎은 결정적 증거가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쌍둥이자리에 보이고 점차 게자리를 지나 하순에는 사자자리에 있게 된다. 최대
이각
(태양에서 가장 큰 각도로 떨어지는 점)은 6월 13일이며, 그때의 밝기는 -3.9등급이다. 셋째주에는 희미해진 목성 곁에 보이며 마지막 주에는 화성에 가까이 간다.화성/2등급으로 초순경에 게자리의 벌집 성단(M44)을 ... ...
이전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