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역"(으)로 총 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불빛에 몰려드는 벌레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대량발생은 해가 지는 대여섯 시경 하루살이 유충의 주요 서식지인 북한강과 한강 유역이 만나는 곳에서 주로 일어납니다. 이 때문에 서식지 근방에 있는 경기도 남양주시나 서울 성동구, 송파구에서는 동양하루살이를 흔히 볼 수 있지요. 동양하루살이는 더 빨리, 더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 ...
- [과학뉴스] 전 세계 호수 절반이 말라가는 중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미친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세계 인구의 4명 중 한 명인 20억 명이 수량이 줄어든 호수 유역에 살고 있다”며, “호수 수자원이 체계적으로 관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
- 소리없는 전쟁의 새로운 국면들... 인간vs.곤충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남양주, 양평 등에서도 애용하는 무기다. 동양하루살이가 대량 발생(대발생)한 한강 유역은 상수원보호구역이라 살충제를 살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김 팀장은 “낮에는 집중 방역을 시행하는 한편, 밤에는 퇴치기를 가동해 동양하루살이를 쫓는 식의 방제가 이뤄진다”고 설명했다.물대포를 쏘면 ... ...
- [파고캐고 지질학자] 사라지는 지구의 역사를 지켜라! 지질유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유역입니다. 저는 제주도는 물론, 가장 최근에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받은 한탄강 유역의 세계지질공원 신청서를 작성하였지요. 지질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는 저를 좋게 봐준 것인지, 세계자연유산을 심사하는 국제자연보전연맹에서는 2009년부터 제게 세계자연유산을 신청한 나라에 ... ...
- [특집] 기후 이민을 떠나세요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중앙아시아, 서남아시아는 모래 폭풍과 가뭄 위험이 있는데, 그중 인더스강, 갠지스강 유역은 심각한 물 부족 문제를 겪을 것으로 예측하죠.인기 여행지로 꼽히는 유럽은 더위가, 북미 지역은 가뭄이 문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보고서는 “북미 지역은 눈이 빨리 녹아내려 유출되면서 정작 여름철 ... ...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① 서울 한복판 ‘아포칼립스’ 빗물터널은 도시를 홍수에서 구원할까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강남역 인근 하수관로를 바로잡는 공사가 빨리 이뤄져 2018년 완공됐다. 같은 해 반포천 유역분리터널 공사를 착공해 올해 6월 완공했다. 배수구역 경계조정 공사는 예산 등 문제로 2024년까지 연장된 상태다. 그러나 모든 공사가 계획대로 이루어졌다고 해도 이번 집중호우의 피해를 막을 순 없었을 ... ...
- 한강, 그 흐름의 기록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따라 흐르다 군사분계선을 넘는다. 임진강은 경기 연천에서 한탄강과 만난다. 한탄강 유역에서는 약 54만~12만 년 전에 화산폭발이 일어나 용암이 빚어낸 화산 지형이 한탄강과 임진강을 따라 형성돼 있다. 특히 한탄강과 임진강의 합류 지점으로부터 임진강 상류로 거슬러 수km에 걸쳐 발달해 있는 ... ...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사라질 것으로 예측됐다. 시나리오 대로라면 겨울철 눈 녹은 물의 양이 줄어들면서 한강 유역은 봄에 극심한 가뭄이 찾아올 수도 있다. doi: 10.5389/KSAE.2013.55.5.037 ●강우량 │ 강줄기까지 바꾼 식생 잠식인공물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 패턴변화도 강의 식생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김원 ... ...
- [에디터노트] 사람은 강을 넘지 못하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약 40%를 유역에 품은 한강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다뤘습니다. 1파트에서는 한강과 그 유역을 만들고 품은 존재인 땅의 역사를 수십억 년 지질학의 시간 관점으로 차분히 되짚어 봤습니다. 특히 지질학의 시간으로는 지극히 최근인 1만~2만 년 전 한강은 물이 빠진 황해의 초원을 달리는 큰 강의 ... ...
-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뜻이다.집중호우로 유량이 증가하면 부유 물질이 급격히 증가한다. 게다가 한강 유역의 지질은 퇴적암과 화강암이 풍화돼 만들어진 푸석푸석한 새프롤라이트가 기반암인 곳이 대부분이다. 이 입자는 강을 따라 이동하기 쉬운 특성이 있다. 이 때문에 장마철이 지나고 유량이 감소해 유속이 점점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