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역"(으)로 총 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군사분계선(MDL)으로부터 북쪽으로 42.3km 떨어진 지점에 황강댐을 건설했다. 임진강의 유역 관리와 전력 발전, 용수 공급이 목적이다. 하지만 황강댐 건설과 함께 또 다른 문제가 생겼다. 2009년 9월 북한이 황강댐 수문을 열어 기습적으로 방류하면서 임진강이 범람해 남한 야영객 6명이 숨지는 사고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민물고기에 대한 모든 것! 중앙내수면연구소 탐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중앙내수면연구소에서 복원에 성공한 절멸종 ‘종어’나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한강 유역에만 서식하는 ‘황쏘가리’ 등 희귀종들이 수조 속에서 안전하게 지내고 있었어요. 황쏘가리가 작은 물고기를 사냥해 먹는 장면을 목격한 대원들이 다함께 탄성을 지르기도 했지요. 마지막으로 방문한 곳은 ...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촉촉한 발효 빵은 언제, 어디서 탄생한 걸까. 전문가들은 기원전 2000년 경 나일강 유역의 이집트 시대로 본다. 당시 전쟁이 잦았던 탓에 군사들을 먹이기 위한 식량이나, 피라미드 건설 같은 노역에 동원되는 백성들에게 지불하는 수단으로써 빵을 만들었다. 특히 맥주와 빵을 임금으로 지불했다거나, ... ...
- [Issue] 반려앵무새, 사이테스 신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사이테스 안내서’도 내려 받아 읽어봤지만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다. 신고는 관할 유역 지방환경청 자연환경과로 직접방문, 우편, e메일로 접수가 가능하다고 안내돼 있었지만 더 이상 자세한 정보는 없었다.다시 검색을 시작했다. 더 많은 블로그와 카페를 들러서야 환경부 환경민원포털(minwon.me.go ... ...
- [Origin] 삼엽충 시대 태양계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충돌이 생기면 파편 일부가 지구로 날아와 운석이 된다. 특별히 러시아의 린나강 유역을 주목한 이유는 과거 러시아와 스웨덴, 중국 등의 오르도비스기 지층을 연구하던 다른 연구팀이 연구 가치가 높은 미소운석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당시 미소운석이 지구 전역에 광범위하게 떨어졌으며, 그 ... ...
- 기후변화의 비극 환경난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초승달 지대라 불리는 비옥한 농경 지대에 속해 있었어요. 이 지대는 이집트 나일강 유역에서부터 메소포타미아에 이르는 곳으로, 인류 문명을 꽃피운 비옥한 땅이었지요.연구팀은 과거 100년 동안 이 지역의 강수량과 기온 등을 분석해 가뭄의 원인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지구온난화로인해 지중해 ... ...
- PART 2. 빙하동물의 천국, 매머드 스텝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거의 대부분으로 확장돼 있었고, 이후 추워지면서 점차 면적이 줄어들어 지금의 아마존 유역 부근까지 줄어들었다. 하지만 빙하기가 한창이던 때에도 지금의 80%는 유지했다. 열대우림은 생물다양성을 유지시켰고, 건조한 빙하기에 물을 저장하고 대기 중에 순환시켰다. 빙하기 동물은 무얼 먹고 ... ...
- [Hot Issue] Eaten Alive! 산 채로 아나콘다에 먹히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생포하는 일이 가장 힘들었다. 나와 팀원들은 아나콘다를 찾기 위해 페루 아마존 서쪽 유역에 있는 울창한 늪을 두 달 동안 뒤졌다. 그러던 중 우연히 지역 주민의 도움을 받아 ‘부유하는 숲(floating forest)’이라는 장소를 알게 됐다. 깊이가 15m 정도인 웅덩이에 야자나무가 잠겨 자라고 있는 곳으로, ... ...
- Part 2 수학이 만든 “결혼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어떨까? 이게 무슨 말도 안 되는 뚱딴지같은 소리냐고? 실제로 호주 서쪽 데그레이강 유역에 사는 토속 원주민인 카리에라족이 그렇다. 결혼도 정해진 특정 분족하고만 해야 하고, 태어난 아기는 아빠, 엄마와 전혀 상관없는 분족이 된다. 그들은 대체 왜 이런 분족 결정 방법을 갖게 됐을까?겉보기에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처음에나 그렇지 뭐…. 이젠 별 느낌 없어요." 조 연구관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강 유역 모래톱에 사는 무척추동물을 조사하는 분류학자다. 20년 가까이 현장을 누비 고 있으니, 신종헌터계의 '살아있는 화석'쯤 되겠다. 새우, 게, 옆새우, 요각류 등이 속한 갑각류에서도 고하목(옛새우)이 전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