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니버시티"(으)로 총 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얼마나 행복할까? 행복 방정식수학동아 l2024년 04호
- 표현을 많이 한 경우 지금 당장 이혼하는 게 더 낫다는 결과가 나왔다. 한편 2014년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 런던 연구팀은 사람들이 순간순간 느끼는 행복의 크기를 예측할 수 있는 ‘행복 방정식’을 만들었다. 그들은 26명의 실험 참가자들에게 여러 상황을 주고, 선택에 따라 돈을 벌거나 잃을 수 ... ...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과학동아 l2024년 02호
- 016년의 알파고와 이세돌 대국 이후 딥러닝이란 AI 기술이 널리 세상에 알려질 무렵,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 런던, 셰필드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의 공동 연구팀도 새로운 재판 예측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때 ‘AI 판사’라는 단어도 언론에 공식적으로 등장했다. 이 재판 예측 시스템은 ... ...
- 국경부터 차단! 인천공항본부세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조치를 하기도 했지요. 인공지능(AI)이 X선 영상 분석 역량 높인다! 지난해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대학교 외 공동연구팀은 X선 장치를 개조하고 인공지능을 학습시켜, 보안 검사의 속도와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X선은 우리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 ...
- [인터뷰] “인류세의 표준 지층은 캐나다의 크로포드 호수”과학동아 l2023년 08호
- EAEH 2023) 참석차 방한한 인류세실무연구단의 사무국장 사이먼 터너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선임연구원을 인터뷰했다. Q. 투표가 세 차례나 진행된 이유가 궁금하다. “인류세 국제표준층서구역은 인류세실무연구단을 구성하는 34명 중 21명의 투표를 통해 정해졌다. 크로포드 호수는 매 ... ...
- 생명의 블록, 어떻게 맞춰졌을까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먼저 일어날 수 있었다는 것이 대사주의자들의 생각이다. 2016년 빅토르 소조 당시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연구팀은 염기성 열수분출공에서 올라온 염기성 물질들이 상대적으로 산성인 굴뚝 바깥과 구분되는 환경을 만들고, 이 차이로 인해 현재 세포 내부에서 일어나는 것과 비슷한 대사 ... ...
- [과학뉴스] 목길이만 15.1m인 마멘키사우루스 역대가장목긴공룡등극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목이 긴 공룡으로 입증됐다. 목 길이만 무려 15.1m에 달한다. 미국 스토니브룩대,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 중국 척추고생물및고생물학연구소 등 공동연구팀은 1987년 발굴된 마멘키사우루스의 화석을 재조사한 결과 목 길이가 15.1m로 추정된다고 ‘계통고생물학저널’ 3월 15일자에 보고했다. ... ...
- [뉴스&인터뷰] 남극, 호주, 일본, 캐나다… 인류세의 기준이 될 지역은?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의장과 서기를 각각 맡고 있는 콜린 워터스 영국 레스터대 명예교수와 사이먼 터너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교수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인류세의 기준이 될 GSSP를 뽑는 작업이 진행 중이라 밝혔다.doi: 10.1126/science.ade2310 약 13년에 걸친 인류세 선정 작업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것이다 ... ...
- 네, 그래서 이과가 힐링팩터를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신호조절인산화효소(ERK)’입니다. 활성화된 ERK는 세포가 증식하도록 유도합니다.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구조분자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은 도롱뇽의 다리에 있던 세포가 근육세포로 분화되고, 근섬유를 이루는 과정에서 어떤 효소들이 작용하는지 살펴봤습니다. 세포가 분화했다는 건, 아직 ... ...
- [특집] 생명체가 살까? 물이 있는 외계행성 후보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사는 생명체가 있다는 상상을 해볼 순 있다”고 말했습니다. 2월 11일,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 물리천문학과 제이 파리히 교수팀은 지구에서 약 117광년 떨어진 백색왜성 ‘WD1054-226’의 거주 가능 영역을 도는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65개에 달하는 천체 무리가 ... ...
- [특집] 거기 누구 없어요? 외계 생명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1972년 3월 2일 발사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탐사선 파이어니어 10호가 올해로 발사 50주년을 맞았습니다. 초기 목적인 목성 탐사를 마치고 인류의 메시지를 담은 금속판을 실은 채 황소자리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지요. 현재 파이어니어 10호는 지구로부터 약 195억 km 떨어진 우주를 날고 있습니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