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전문대학
칼리지
대학
university
d라이브러리
"
유니버시티
"(으)로 총 83건 검색되었습니다.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구조를 갖고 있고, 이 구조에 따라 흡수할 수 있는 빛의 파장이 달라집니다.실제로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연구팀과 캐나다 몬트리올대 연구팀은 지구에서 약 124광년 떨어진 적색왜성 근처의 외계행성 K2-18b 대기에서 물의 존재를 찾아내 2019년 ‘네이처 천문학’(9월)과 ‘천체물리학 저널 ... ...
[이달의 수학자] 뇌는 누구보다 자유로웠던 스티븐 호킹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호킹은 어렸을 때부터 수학을 좋아했지만, 호킹이 진학할 당시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에서 수학 분야는 다른 분야만큼 세지 않아 물리학과에 진학했습니다. 물리학과 수학은 떼어놓을 수 없는 관계였기에 호킹은 1966년에 케임브리지대에서 응용수학과 이론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 ...
과학자와 떠난 ‘언택트’ 여름 휴가, 사이언스 바캉스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21세기 들어 수년 주기로 발생하고 있다”며 8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된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런던(UCL)의 연구를 근거로 들었다. 연구팀은 수백 종의 숙주 동물을 조사해 도시화로 인해 사람과 숙주 동물의 접촉이 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는 인수공통 감염병의 출현 가능성을 ... ...
한글날특집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능력을 말한다. 쉽게 말해 타인의 행동과 의도를 이해하는 과정이다.2014년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연구팀은 의인적 사고를 하는 뇌 부위가 정신화와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입증했다. 연구팀은 실험자 83명의 뇌 구조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분석한 결과, 실험자들이 ... ...
[한장의 과학] 미어캣은 귀엽지 않다 '전쟁 댄스'를 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3호
12월 18일, 이같은 미어캣의 침략 행동을 최초로 직접 관찰한 연구가 발표됐어요.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런던 인류학과의 마크 다이블 교수는 캠브리지대학교 연구팀과 함께 2008년 1월부터 11년간 아프리카 칼리할리 사막에서 미어캣을 연구했어요. 평균 20마리로 이뤄진 집단 총 10개가 공격적인 ... ...
[과학뉴스] 외계 행성에서 수증기 존재 가능성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행성의 대기에서 물의 존재가 확인됐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런던(UCL) 물리학및천문학부 연구팀은 사자자리에 있는 외계 행성인 K2-18b의 대기에서 수증기가 존재할 가능성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 9월 11일자에 발표했다.지구에서 약 111광년 떨어진 적색왜성 K2-18을 공전하는 K2-1 ... ...
[수학뉴스] 고전 걸작의 비밀을 들춘 인공지능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그림이 그려져 있어 X선으로는 분석하기 어려웠던 겁니다.최근 미구엘 로드리게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런던 전기전자공학과 교수팀은 인공신경망 기반 알고리듬을 개발해 ‘겐트 제단화’를 분석했습니다. 연구팀이 개발한 알고리듬은 데이터를 분해해 두 개의 별개 이미지를 만드는 인공지능 ... ...
RNA가 지구 최초 생명체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썩 다를 수도 있다는 가설을 제시한 것이다. 그러던 중 2017년 매튜 파우너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런던(UCL) 화학과 교수가 퓨린계 뉴클레오티드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현재 퓨린에 산소 하나가 덧붙여진 뉴클레오티드(8-oxo-퓨린계 뉴클레오티드)를 발견했다. doi: 10.1038/ncomms15270 파우너 교수는 ... ...
[영국유학일기] 현실 대학생이 알려주는 런던 문화생활 즐기기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조사해서 발표하는 ‘펍 순례(pub crawl)’를 했다. 학기 중에는 런던정치경제대(LSE)나
유니버시티
칼리지런던(UCL)에서 역사 교수님을 초청해 세미나도 진행한다. 역사 동아리에서 만난 친구가 “이렇게 재미있는 과목을 두고 화학공학을 택한 것이 후회스럽다”고 말할 만큼 동아리 친구들은 역사에 ... ...
영화 '레플리카'…신체도, 기억도, 감정도 복제할 수 있나요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없는 것이다. 이를 명확히 설명할 수 있는 과학적 이론은 아직 없다.1971년 존 오키프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런던 교수는 해마에서 위치를 인지해 기억하는 ‘장소세포’를 발견했다. 이후 현재까지 공간의 배치 상태를 패턴으로 인식하는 격자세포나 경계를 인지하는 세포, 속도를 인지하는 세포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