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니버시티"(으)로 총 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초콜릿 분수에 수학이?!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전 초콜릿 분수에도 수학이 있다는 놀라운 연구 결과가 나왔답니다.지난해 11월,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수학과 학생 아담 타운센드가 초콜릿 분수에서 초콜릿이 움직이는 원리를 수학적으로 밝혀냈습니다. 초콜릿 분수는 아래에서 위로 올라와 가장 높은 점에서 바깥으로 흘러내립니다. 이 때 ... ...
- [Tech & Fun]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➊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MRC)와 국립의학연구소(NIMR), 영국암연구소(CRUK), 임페리얼칼리지(ICL), 킹스칼리지(KCL), 유니버시티칼리지(UCL) 등 6개 기관은 7억 파운드(약 1조7000억 원)를 공동 출자해 지금의 위치에 연구소를 지었다.연구소는 실제로 런던의 지하철 6개 노선이 지나는 킹스크로스 역에서 걸어서 5분 거리다. 인접한 ... ...
- [과학뉴스] 물 분자, 그래핀 위에선 ‘서핑’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런데 최근 그래핀의 또 하나의 놀라운 특성이 발견됐다.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밍 마 박사는 그래핀 표면에서는 물 분자가 다른 물질 표면에서보다 최소 10배 더 빨리 확산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일반적으로 물 분자는 물질 표면의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 ...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알지 못했다. 2007년에 비로소 그비밀이 한 꺼풀 벗겨졌다. 비밀을 밝힌 사람은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토목환경공학과 게르트 반 데르하이덴 교수와 유진 스타로스틴 교수다.고무줄을 잡아당기면 줄이 원래대로 돌아가려고 하는 것처럼 종이 띠도 휘었을 때 원래대로 펴지려는 성질이 있다. ... ...
-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955년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동물학과의 메이너드 스미스 교수는 유럽초파리를 연구하다가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수컷은 교미를 마친 뒤 연이어 다른 암컷과 교미할 수 있는 반면, 암컷은 교미가 끝나고 24시간이 지나서야 다시 교미를 하는 것이었다. 수명이 한 달도 채 안 되는 ... ...
- 광우병 막을 유전자 돌연변이 발견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단백질에 변형이 생기면서 주변에 있는 다른 단백질까지 변형되는 것이 원인이다.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의 존 콜린지 교수팀은 쿠루병에서 살아남은 사람에겐 이런 변형 프리온 단백질에 저항성을 가진 단백질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아냈다. 연구팀은 “병을 앓는 과정에서 유전자에 ... ...
- [Fun] 이 책을 여는 순간, 당신의 뇌가 열린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과학 그림을 전문으로 하는 일러스트레이터다. 놀라운 건, 파리넬라 역시 2013년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에서 신경과학 박사 학위를 받은 과학자라는 사실. 그들이 표현해 낸 뇌 신경과학의 세계는 정확하면서도 기대만큼 위트가 넘친다. 신경 세포 하나하나는 살아 있는 생명체처럼 다가온다. ... ...
- 짜디 짠 라면이 좋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9호
- 어쩌지? 뚱뚱하다고 놀림을 받으면 더 뚱뚱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말해주세요.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의 하라 잭슨 박사 연구팀이 4년간 3000명을 조사한 결과, 다른 사람에게 ‘살이 쪘다’거나 ‘뚱뚱하다’는 말을 들은 사람은 오히려 몸무게가 늘어나고 비만이 될 확률도 6배나 높아진다는 ... ...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정확히는 뇌 속에 있는 장소세포(place cell)와 격자세포(grid cell)를 발견한 공로로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존 오키프 교수와 노르웨이 과학기술대(NUST) 에드바르드 모세르, 마이브리트 모세르 부부 교수에게 돌아갔다. 협동해서 지도 그리는 장소세포 존 오키프 교수는 캐나다 맥길대에서 ... ...
- [생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풍의 비밀 복잡계 연결망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문제를 다룬 것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이후 1852년 런던의 유니버시티 칼리지 학생인 프랜시스 구드리가 한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많은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 질문은 바로 “지도를 색칠할 때 인접한 국가를 다른 색으로 칠한다면 어떠한 ... ...
이전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