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수관
d라이브러리
"
배수관
"(으)로 총 25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위기에 처한 소인국?!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9호
씻겨 내려가는 거예요. 대소변을 씻어낸 물은 바로
배수관
으로 빠지지 않아요. 변기통과
배수관
사이에 있는 ‘트램’이라는 구불구불한 통로를 지나야 하죠. 트램은 S자 모양으로 위로 꺾여 있는 구조예요. 변기통에 적은 양의 물이 있으면, 물이 트램을 따라 위로 올라가지 못하고 그대로 고여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기체가 방울방울! 입안대고 풍선불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9호
포일의 표면을 감싼 채로 알루미늄이 다른 물질과 반응하는 것을 방해해요. 이때
배수관
세척제의 성분인 수산화나트륨이 수산화알루미늄과 반응해 물에 잘 녹는 화합물을 만드는 대신, 수산화알루미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덕분에 알루미늄은 수산화 이온과 지속적으로 반응해, 수소 기체가 ... ...
[르포] '씨즈' 숏다큐 : 물에 잠기는 도시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비상 대피 시스템을 촘촘하게 짜는 것이다. 이중에 쉬운 해결책은 없다. 그린 인프라도
배수관
만큼은 아니어도 시간과 돈이 드는 일이다. 뉴욕시는 수질 개선을 목적으로 그린인프라를 11년째 짓고 있지만, 목표 개수 달성 연도는 2030년에서 2040년으로 늦춰졌다. 홍수 대비를 위해 목표량을 더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먹어서 사라지는 마술 아님! 음료수 마술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7호
검은색 고체 물질이 남아요. 그래서 음료수 캔의 금속 알루미늄은 없어지고
배수관
세척제가 검은색으로 변한 거죠.그러면 캔 안쪽에 남은 투명한 막은 뭘까요? 알루미늄 캔이 산성을 띠는 콜라에 부식되지 않도록 콜라와 반응하지 않는 플라스틱으로 안쪽을 코팅한 거예요. 그래서 금속 알루미늄이 ...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① 서울 한복판 ‘아포칼립스’ 빗물터널은 도시를 홍수에서 구원할까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비가 스미지 않는 땅에 대한 책임 언제까지 기후변화에 맞춰 더 큰
배수관
, 더더 큰
배수관
을 건설해야 하는 걸까. 한무영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가장 기본으로 돌아가 생각해야 한다”며 공식 하나를 소개했다. ‘Q=CIA’란 공식이다. 그는 “수자원공학 전공도서 1장 1절에 나오는 가장 ... ...
[가상인터뷰] 겨울에도 모기가 얼어죽지않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22년 02호
수학 모형을 만들고 싶다며 찾아왔어요. 먼저 우리가 자주 가는 수도 계량기와 빗물
배수관
등에 온도 측정기를 설치하더니 2018년 5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온도를 측정했지요. 그리고 미국 해양대기청에서 번식지 주변의 온도 데이터도 얻었다고 하더라고요. 위의 두 가지 데이터를 가지고 두 변수의 ... ...
[화장실의 변신 ②] 물을 적게 쓰는 변기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수세식 변기의 내부는 S자 모양 배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많은 양의 물이 강한 압력으로
배수관
의 꼭대기를 지나가면 물의 압력과 표면장력에 의해 내려가던 물이 보울부에 있는 물을 잡아당겨 함께 내려가는 현상이 일어난다. ‘사이펀의 원리’라 불리는 이 현상 덕분에 구불구불한 관에서 물과 ... ...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컸다. 또한 오븐 안쪽에 전자기파를 쏘는 전자관을 물로 식히는 시스템이었기 때문에,
배수관
시설이 필요했다. 게다가 가격이 지금의 가치로 5000 달러(약 550만 원)로 비싸서 가정에서는 구입할 엄두도 낼 수 없었다. 하지만 냉동식품을 빠른 시간 안에 해동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레스토랑이나 ... ...
아름다운 층간소음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뛰거나 물건을 떨어뜨리면 저주파가 생겨나요. 다른 소리와 달리 저주파는 벽과 천장,
배수관
등을 타고 퍼지기 때문에 소리가 멀리까지 크게 울리지요. 예를 들면 7층에서 나는 소음이 6층뿐 아니라 멀게는 3층까지 들릴 수도 있어요.소음진동을 자주 겪으면 불쾌할 뿐만 아니라 두통이나 어지럼증도 ... ...
Part 2. 우주 아파트 건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화초를 심는다. 나무를 키우는 데 필요한 물도 현지에서 생산했다. 달의 극지역까지
배수관
을 설치한 뒤 극지 얼음을 녹여 물을 조달했다.달 지하의 흙속에서 물을 추출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달 지하 흙을 가열하면 흙속의 물 분자들이 기화한다. 기화한 물을 냉각해 정수하면 물을 얻어낼 수 있다 ... ...
1
2
3
다음
공지사항